•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hromaticity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초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모담방장(毛毯房帳) 직물 분석 (A Textile Analysis of Woolen Tapestry Curtain in Seoul Museum of Craft Art)

  • 안보연;이장존;이량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12-620
    • /
    • 2019
  • 서울공예박물관에 소장된 모담방장(毛毯房帳)은 경사에 면사를 두고 위사에 모사를 두어 평직(平織)으로 짠 것이다. 문양 부분은 타피스트리(Tapestry)로 제직하고, 안료를 덧칠하였다. 색도를 측정하고, X선 형광분석에 의한 성분 분석 결과 진한 붉은 색의 문양에서는 수은(Hg)이 검출되어 주사(Cinnabar)나 합성안료인 주(Vermilion)로 추정하였다. 직물의 경사와 위사, 선단 및 후면 직물 등 총 7개의 직물 시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담방장의 경사는 섬유단면에 가운데 중공(루멘)이 있는 면섬유로, Infrared 피크도 마찬가지로 O-H 결합과 C-O 결합이 나타난다. 위사인 모섬유는 원형과 타원형의 단면이 확인되며, Infrared 피크는 N-H/O-H Stretching, Amide(-CONH-)을 보였다. 모섬유에 사용된 동물종을 확인하기 위해 문화재청의 동물털 시료와 대조분석 결과, 산양이나 염소털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방적에 용이한 삽살개 털도 사용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들기름 기반 야외 금속 조형물 보존용 혼합 Wax의 개발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철제 조형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illa Oil Based Compound Wax Agent for Preserving Outdoor Metal Sculpture: A Case Study on Iron Sculptures)

  • 오승준;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1-130
    • /
    • 2017
  • 현재 야외 철제 조형물 보존용 코팅제로 사용되고 있는 wax는 장점도 있지만 낮은 내구성 및 안정성 등의 단점으로 인한 사용상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손상원인으로는 대기오염에 의한 대기가스와 산성비, 공기 중의 수분, 미세먼지, 황사 등에 의해 wax가 노화되어 코팅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보존처리 후 짧은 시간 내에 재 부식이 발생한다. 또한 wax의 노화로 색상변화 및 광택변화가 일어나 표면 이질감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장기간 지속되어 왔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재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wax 코팅제들을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과 용도별로 부족한 점들을 파악하여 보다 개선된 wax 코팅제를 개발하였으며, 야외 폭로실험과 인공 산성비 실험을 통해 환경 변화에 따른 표면 코팅 변화양상을 확인해본 결과 기존 재료들 보다 야외 폭로실험결과 약 4배, 인공 산성비 실험 결과 약 1.5배 이상의 우수한 부식방지 및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색도 및 광택도, 접촉각, 박막두께 등의 물성 측정을 통해 기존에 사용되어온 wax보다 박막두께는 약 1.3 ~ 1.8배 두껍지만 고른 피막을 형성해 외부 환경으로 부터의 차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색도 및 광택도도 기존의 재료와 유사한 물성을 보여주어 기존에 사용되어온 wax 코팅제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판단된다.

감미료의 종류를 달리한 치아씨 첨가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added with Chia Seed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Sweetener)

  • 김자경;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5-103
    • /
    • 2017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healthier sweeteners for brown rice Dasik with chia seed powder. The quality feature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tested for brown rice Dasik with chia seed powder added with five different sweeten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asik (DS)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and starch syrup received the highest scores on moisture content tests. The results from hardness tests identified the DS with agave syrup as the hardest, and the results from the adhesiveness test verified that the DS with agave syrup as well as the DS with starch syrup produce the most adhesive DS. The results of the springiness test show that the DS with starch syrup has higher springiness than other sweetners. The highest score for the chewiness and cohesiveness tests was the DS with starch syrup, while the DS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received the highest score on the gumminess test. The results of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test found that the DS with starch syrup showed the highest score of 'L' and the lowest score with fructo-oligosaccharide. In addition, the highest score of 'a' was DS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and the lowest score of 'b' was the DS with starch syrup. The results of sugar content displayed that the DS with starch syrup was the highest and the DS with fructo-oligosaccharide was the lowest score.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verified that color did not influence evaluators' preference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sweet flavor test found that the DS with honey and the DS with agave syrup had the most preferred by participan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five different sweeteners from the sweet taste test. Furthermore, the DS with agave syrup received the highest score while the DS with agave syrup scored the lowest from the hardness preference test. General preference evaluation identified the highest score with the addition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lowest score with the addition of isomalto-oligosaccharide. Thu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the meaningful results to demonstrate the DS with fructo-oligosaccharide is the most suitable sweetener to manufacture brown rice DS added by chia seed powder, and this result will help marketers with creating meaningful strategies and with developing similar products using chia seed powder.

구절초 분말을 첨가 제조한 양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Chrysanthemum zawadskii Powder)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7-125
    • /
    • 2017
  • 구절초 분말을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절초 분말첨가 양갱의 pH는 구절초 분말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감소하였다. 산도는 구절초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구절초 분말을 첨가할수록 양갱의 색도인 명도 L값은 낮아지고, 적색도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exture 측정에서 경도, 탄력성, 부서짐성은 대조군보다 구절초분말 첨가군이 더 낮았으며, 응집성, 씹힘성은 대조군보다 구절초 분말 첨가군이 더 높았다. 구절초 분말첨가 양갱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구절초 분말첨가량이 많을수록 항산화성이 증가하여 2% 첨가군에서 62.40%로 가장 높았다. 구절초 분말 0.5~1%를 함유한 첨가군에서 색, 냄새, 맛, 질감 및 전반적인 선호도에 대한 관능 평가 점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1% 이내의 구절초 분말 첨가 양갱이 가장 좋은 대체률임을 알 수 있었다.

강황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식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ksik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Turmeric (Curcuma longa L.) Powder)

  • 민숙희;황은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7-1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황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약식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약식의 수분함량은 41.45~44.93%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강황 함량에 비례하여 수분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회분과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군과 강황 분말 2.8% 첨가군이 다른 실험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약식에 첨가한 부재료의 특성 때문으로 생각한다. 강황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pH가 5.83으로 가장 낮았고,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는 강황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약식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강황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조직감의 경우, 강황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약식의 경도, 탄성, 검성, 탄력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였으나, 부착성과 응집성은 강황 분말 함량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약식의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식에 첨가한 강황 분말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은 강황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맛, 색,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에서는 대조군과 강황 분말을 1.7% 첨가한 약식이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강황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소재이며, 강황 분말을 첨가하여 약식을 제조할 때 첨가하는 적정 수준은 전체 중량 대비 1.7% 수준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생각한다.

쌀누룩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고추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with Different Ratios of Rice-nuruk)

  • 김유진;최윤희;박신영;최혜선;정석태;김은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9-346
    • /
    • 2012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with additives of different ratios of rice-nuruk (at 1:0.7, 1:1.0, 1:1.3) were studied. The kochujang was stored for 8 weeks at $20{\pm}3^{\circ}C$. The brix tended to increase by increasing mixing ratio of rice-nuruk in all treatments. It increased rapidly up to 4 weeks fermentation and then showed a slight change after 6 weeks. The more mixing ratio of rice-nuruk increased, the more salinity of samples decreased. The initial pH value of kochujang was 5.08-5.10., however, the pH value decreased to 4.82-4.83 after an 8 weeks of storage period. The initial acid value was 0.66-0.68 and increased from 0.66-0.68 to 0.87-0.89. It had slight reduction phenomenon in the sixth week. As the aging period passed, chromaticity such as $a^*$- and $b^*$-values decreased gradually except for $L^*$-value. The moisture content of samples decreased gradually by adding rice-nuruk. but increased by passing an aging period. The initial amino nitrogen content of sample was 304-315 mg%. It increased to 399-442 mg% during the aging period. As the aging period passed, the total cell number increased from 6.81 log CFU/mL to 7.01 log CFU/mL in the fourth week and then steadily decreased to 6.66 log CFU/mL in the eight week.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 that, as more rice-nuruk was added, the kochujang received a lower mar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avor in all treatments. Color and sweetness with increasing amounts of rice-nuruk showed the lowest score. Saltiness rice-nuruk at the ratio of 1:1.0 was the highest at 6.22 points. Texture scor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rice-nuruk Based on these result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1:0.7 rice-nuruk treatment which received the highest score is considered excellent.

분광기를 이용한 우라늄산화물(UOX) 소결체의 밀도 분석 (Analysis of Sintered Density for Uranium Oxide Pellet Using Spectrophotometer)

  • 이병국;양승철;곽동용;조현광;이준호;배영문;이영우
    • 공업화학
    • /
    • 제28권3호
    • /
    • pp.345-350
    • /
    • 2017
  • 원자력연료 제조공정에서 생산되는 우라늄산화물(uranium oxide, UOX) 소결체의 밀도 분석은 일반적으로 소결공정을 거친 후, 소결체의 표본을 가지고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라늄산화물의 중간물질인 중우라늄산암모늄(ammonium diuranate)의 색도를 분광기(spectrophotometer)로 측정함으로써 소결공정 이전에 우라늄산화물 소결체의 밀도를 분석해 보았다. 중우라늄산암모늄 표준 샘플 5개를 통해 얻은 명도 및 색의 좌푯(L, a, b)값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얻은 소결체 밀도의 상관관계 추세선을 바탕으로 표적 샘플의 밀도를 분석한 결과, L 값에 대한 소결체의 밀도 분석이 결정계수 $R^2$ 값 0.9967로 가장 신뢰성이 높게 나왔음을 확인하였다. a 값에 대한 결정계수 $R^2$ 값은 0.9534로 상관관계가 높은 편이나 L 값보다는 낮았다. 이에 반해 b 값에 대한 결정계수 $R^2$ 값은 0.4349로 상관관계가 거의 없었다.

아로니아즙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 황은선;이예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20-12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즙을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제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아로니아즙 첨가 양갱의 수분함량은 29.5~31.2%로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갱의 pH는 6.0~5.2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산도는 0.2~0.5%로 증가하였다. 양갱의 당도는 아로니아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5.3{\sim}5.6^{\circ}Brix$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군과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양갱의 색도 측정에서 명도(L)와 황색도(b)는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에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아로니아즙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경도가 1.6배~2.6배까지 증가하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아로니아즙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대조군 및 각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모든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radical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나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능검사에서 맛, 색,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AJ 100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는 새로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이며 아로니아즙을 첨가하여 기능성 양갱을 제조할 때 첨가하는 아로니아즙의 양은 AJ 100이 가장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질필름의 장기사용이 참외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 Time Usage of Soft Film on the Growth and Yield i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연일권;이지은;도한우;정종도;박종욱;최성용;정두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5-139
    • /
    • 2010
  • 참외 하우스 피복필름 장기사용을 위하여 필름두께, 적외선 흡수율, 자외선 투과율이 다른 polyolefin계 film(일본산, J-1, J-2, J-3)을 2006년 1월 16일 피복하여 3년 사용한 처리와 우리나라의 참외 재배농가에서 관행으로 사용하는 polyethylene계 film(K-1)을 2009년 1월 16일 피복하여 1년 사용한 처리를 대조로 설치하여 피복필름의 장기사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보온성은 J-2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J-3, J-1 순이었으며, 초기생육모 J-2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개화 및 수확소요일수는 K-1 처리에 비하여 J-2 처리에서 15일 단축되었다. 과피의 색도 및 당도는 K-1에 비하여 J-2, J-3, J-1 처리에서 높았고 상품과 수량은 J-2, J-3, J-1 처리 순으로 높았다.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and Deterioration Degree for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Korea)

  • 이찬희;전유근;조영훈;서만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3-164
    • /
    • 2012
  • 반구대암각화의 주암면은 열변성을 받아 혼펠스화된 암갈색 셰일이 주류를 이룬다. 이 암석의 표면은 일정 깊이의 풍화층(평균 공극률 25%)을 형성하고 있으며 신선한 면(평균 공극률 0.4%)과 광물조성 및 화학조성의 차이를 보인다. 암각화가 새겨지기 이전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주암면의 손상된 영역은 약 23.8%로 산출되었다. 또한 박리가 발생한 면적은 전체면적의 약 1.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측정 결과, 암각화의 주암면은 생물학적 및 화학적 훼손요인에 의해 백색 및 황색도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암각화 주암면의 초음파속도는 평균 2,582m/s로 측정되었다. 이는 2003년도의 값보다 감속한 것으로, 특히 암각화 하부 영역에서 물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각화 암반을 구획하여 사면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1구역과 2구역은 평면, 전도 및 쐐기파괴에 의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구역은 전도파괴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는 등 암각화 및 주변암반은 구조적으로 불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영상분석을 통해 암각화 하부에 있는 공동부위를 모델링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공동부위의 안정에 적합한 지질공학적 보강공법이 도입된다면 암각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