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nial Korea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2초

일제시대의 두 간호단체에 관한 고찰(考察);조선간호부회(朝鮮看護婦會)의 간호수준 향상 노력과 조선간호부협회(朝鮮看護婦協會)의 사회 활동 (A Study on Two Nursing Organization;Choseon Ganhoboohoi(賴健看議婚會) Tried to Improve the Standard of Nursing and Choseon Ganhoboohyophoi (朝鮮看護婦協會) Tried to do Social Activities)

  • 이꽃메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21-429
    • /
    • 2000
  • Two nurses' assications were organized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One was Choseon Ganhoboohoi(朝餘看護續會,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started in 1923 and the other was Choseon Ganhoboohoiphoi started in 1924. Two nursing associations were very different in their members and activities. Choseon Ganhoboohoi was organized and lead by Western missionary nurses in Korea and their Korean pupil nurses. The aim of Choseon Ganhoboohoi was to become a member of ICN. Choseon Ganhoboohoi united with the Western Graduate nurses' Association in Korea, tried to raise the standard of nursing education, and became a branch of Japan Imperial Nurses' Association. All was to become a member of ICN. It continued 15 years and was quite active. But after the half of 1930s Japan's ruling policy became more and more suppressive and western missionaries were expelled from Korea so it could not but discontinue it's activities. Choseon Ganhoboohoiphoi(朝鮮觸護續協會) was organized and lead by Korean nurses. The aim of it was to do the role of nurses by social activities. So it tried health education for the public, It continued only about 2 years, But the leaders of Choseon Ganhoboohoiphoi moved to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Korean liberation movement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lonized women.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Choseon Ganhoboohoi and Choseon Ganhoboohoi were two trends to develop Korean nursing during Japaneses Colonial period. The former asked for international cognizance by the raise of nursing standard, and the latter asked for national cognizance by social activities. Although two nurses' associations were different in their ways but quite same in the aspect that both tried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 Korea. But the colonial situation prevented them from continuing their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 colonial situation of national level influenced deeply 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ofession.

  • PDF

일제강점기 전후 대산평야 농촌경관의 형성과 변화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Landscape of Daesan Plain Around the Japanese Colonial Era)

  • 정재현;이유직
    • 농촌계획
    • /
    • 제30권1호
    • /
    • pp.15-31
    • /
    • 2024
  • The study primaril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from natural landscape to modern agricultural landscape on the Daesan plain in Dong-myeon, Changwon-si,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The periods covered in the transition includ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concluded the following: It was found that the Daesan Plain used to function as a hydrophilic landscape before it formed into a rural landscape.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various water resources in the Plain, primarily by the Nakdong River, with its back marsh tributaries, the Junam Reservoir and Jucheon. To achieve its recent form, the Daesan Plain was subjected to human trial and error. Through installa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such as embankments and sluices, the irregularly-shaped wetlands were transformed into large-scale farmlands while the same irrigation facilities underwent constant renovation to permanently stabilize the rural landscape. These processes of transformation were similarly a product of typical colonial expropri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ese capitalists initiated the construction of private farms which led to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policy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These landscape changes are indicative of resource capitalism depicted by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value by the application of resource capital to undeveloped natural space for economic viability. As a result, the hierarchical structure was magnified resulting to the exacerbation of community and economic structural imbalances which presents an alternative yet related perspective to the evolution of landscap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considering Daesan Plain's vulnerability to changing weather conditions, natural processes have also been a factor to its landscape transformation. Such occurrences endanger the sustainability of the area as when floods inundate cultivated lands and render them unstable, endangering residents, as well as the harvests. In conclusion, the Daesan Plain originally took the form of a hydrophilic landscape and started significantly evolving into a rural landscap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uman-induced land development and geophysical processes significantly impacted this transformation which also exemplifies the several ways of how undeveloped natural landscapes turn into mechanized and capitalized rural landscapes by colonial resource capitalism and development policies.

The Post-Jeungsan Grassroots Movements: Charismatic Leadership in Bocheongyo and Mugeukdo in Colonial Korea

  • David W. KIM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3권1호
    • /
    • pp.57-85
    • /
    • 2023
  • The politico-economic waives of Wester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long with Christianity, affected East Asia's geopolitical landscape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While the Korean people (of the Joseon Dynasty) witnessed the incompetence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folk religions in maintaining social cohesion with a sense of frustration, the new religious movements (NRMs) emerged to provide altrnative teachings of hope through historical figures like Choe Je-u, Kang Il-sun (or Kang Jeungsan), Na Cheol, and Pak Chungbin. In terms of popularity, colonial Korea (1910-1940) was impressed by the native groups of Cheondogyo (=Donghak), Bocheongyo, and Mugeukdo. Son Byong-hee (1861-1922) was the third leader of the first Korean NRM, but both Cha Gyeong-seok (1880-1936) and Jo Cheol-Je (= Jo Jeongsan) (1895-1958) participated in the post-Jeungsan grassroots movements. How, then, did both of these new religions originate? How did they conceptualise their deities and interpret their teachings differently? What was their policy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article explores the socio-religious leaders, historical origin, organizational structure, deities, teaching and doctrines, patriotism, and conflicts of both NRMs in a comparative context. As such, this article argues that they both maintained patriotic characteristics, but that Cha's Bocheongyo community with its ' 60-executives' system (60 bang) failed to manage their internal conflicts effectively. Meanwhile, Jo Cheol-Je of Mugeukdo had the charismatic leadership needed to maintain Mugeukdo, despite being seen as a pseudoreligion under the colonial pressure of Shintoism.

'식민지적 공공설'과 8.15 해방 공간 ('Colonial Public-nes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Forced Occupation)

  • 원용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7권
    • /
    • pp.50-73
    • /
    • 2009
  • 전통적으로 한국 언론사 논의는 언론을 수동적 존재로 파악하는 태도를 견지해왔다. 특히 해방 전후 언론 연구에서 그런 경향은 더욱 짙다. 언론을 수동적으로 대한다 함은 언론을 수단 혹은 도구로 보는 태도를 말한다. 언론사 논의는 그 같은 경향 내에서 언론을 민족 해방, 민족국가수립에 기여했는지 혹은 아닌지로 분류하고 평가하려 했다. 민족언론, 친일언론 등과 같은 친근한 구분법은 그로부터 나왔다. 최근 들어 그 같은 경향을 벗어난 연구들이 등장하고는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그 같은 민족주의적 시각으로부터 자유스럽지 않다. 덕택에 언론의 독자적문화, 민중들의 언론 습관, 일상 속의 언론 논의는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 글은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언론현상을 논의할 경우 해방당시를 섬세하게 설명할 방도가 없어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민족주의적 관점을 넘어선 국면 분석을 통해 새로운 언론사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1945년 8월 15일이라는 해방 국면에서의 언론 상황을 점검하고 그를 통해 새롭게 대안적으로 포착해야 할 언론 단면들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 점검을 통해 해방 국면에서 제한된 형태이긴 하지만 언론이 해방의 의미를 나누었고 민중들은 그 같은 의미를 언론을 통해 받아들이는 습관을 나름으로 형성한 식민지적 공공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 공공성은 왜곡되고 식민지적인 것일 수밖게 없었지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당시 민중들에게는 감정적 구조를 전달해주고 있었으며 삶의 지침이 되기도 하는 영역이었다. 식민지 근대화론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일제에 의해 선사된 근대성의 공간도 아니고 민족주의자들의 주장대로 식민화된 공간만도 아닌 그 둘이 혼효된 공간이었다. 그리고 그 공간은 이후 한국 언론 문화, 관습, 언론을 받아들이는 습관 등 언론규율로 연장되었을 것이다. 혹은 새롭게 등장하는 서구적 근대성과 조우하면서 전혀 새로운 형태로 변해갔을 수도 있다. 지금의 언론 문화를 정리해내는 데 있어 식민지적 공공성에 대한 관심은 더 늦출 수 없는 중요한 지점이 아닐 수 없다.

  • PDF

일제강점기 서울 지역사회와 의례 주도 집단의 변화 -장충동 지역과 관성묘 영신사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Regional Community and the Main Group of Ritual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 With Emphasis on Gwanseongmyo in Jangchung-dong -)

  • 김태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16-31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서울 지역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지역 의례의 주도 집단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하는 점을 장충동 지역과 관성묘 의례 주도 집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제가 식민지 수탈과 군사 기지화를 위해 전면적으로 실시하였던 도시 계획 사업은 거의 모든 지역에 영향을 미치며 지역사회를 재편해 나갔다. 특히, 장충동 지역은 일본인 중심 지역으로 변모하면서 전통적인 지역사회의 구조가 크게 흔들리고 새롭게 재편되었다. 일제의 문화정치하에서 지역 공동체 의례의 경우 지역 신사로의 병합을 위해 지역 의례를 의도적으로 활용한 경우나 친일 인사들의 지원하에 지역 의례가 시행되면서 일제의 정책에 일정 정도 부합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의례의 전반적인 현황은 일제강점 전과 다름없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 중에 장충동 지역에서는 관우 신앙 집단인 '영신사'가 관성묘 의례를 주도했으며 차츰 장충동을 중심으로 한 지역 의례의 성격도 지니게 되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는 지역 공동체 의례를 주도하던 세력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과거 지역 토착 세력에 의해 주도되던 지역 의례는 일제의 식민지 정책과 도시화, 상업의 발달, 지역의 분화 등을 거치면서 다양한 세력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다. 특히, 관성묘 영신사의 사례는 관우 신앙을 매개로 한 신앙 집단이었다는 점에서 주도 세력의 다변화가 한층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콜로니알 주택과 실내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tyle of American Colonial Housing)

  • 김정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61-268
    • /
    • 2004
  • 지금까지 미국의 주택은 주로 현대 양식에 대해서 알려져 있고 전통적 주택과 실내 양식에 대해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미국의 전통적 주택인 콜로니알 시대 주택의 표현 특징과 실내의 요소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콜로니알 양식을 규명하고자 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디자인과 제작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콜로니알 주택은 영국의 죠지안 주택 양식을 그대로 모방하기보다 미국적 기후와 지역 특성에 조화하는 방식으로 정립되었으며 주택과 실내의 많은 요소가 유사한 표현 특징을 나타내었으나 그 바탕에는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디자인이 배경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주택의 발전은 오랜 시간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상자형의 2층 목조의 측면 박공 지붕 형태에 비늘판벽 마감을 하였으며 전면의 가장 중요한 장식 요소로는 현관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은 일실에서 2실과 4실 구조로 발전하였고 실내는 초기에는 바닥, 벽, 천장이 모두 나무를 주재료로 하는 방식에서 점차 죠지안의 영향으로 패널, 벽지를 사용하였고 벽난로가 있는 면을 제외하고 플라스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가구는 영국 영향의 치펜데일, 퀸 앤의 의자가 대표적이었으나 지방 특색이나 종교적 영향에 의해 등장한 소박한 형태의 가구가 배치되었으며 영국 영향의 가구에도 융통성과 편리성이 고려된 디자인이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은사기념과학관(恩賜記念科學館)과 식민지 과학기술 (Eunsa Memorial Science Museum and Colonial Science Technology)

  • 정인경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69-95
    • /
    • 2005
  • 이 글은 일제에 의해 이식된 은사기념과학관의 사회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식민지 과학관은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정치적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일제는 과학사상을 보급한다는 미명아래 과학관을 식민지 지배에 이용하였던 것이다. 식민지 과학관은 '위대한 과학제국' 일본을 부각시켜 열등한 조선을 지배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였다. 과학관의 전시와 강인 실험, 과학영화 등은 이러한 식민지 지배이데 올로기를 선전하였다. 식민지 과학관의 이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남았다. 첫째, 과학관이 정치권력의 선전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식민지 과학관의 건축, 전시, 운영의 모든 면이 공공연하게 권력의 정책방향을 선전, 옹호하고 그것이 '개발, '발전'이라는 장미빛 환상을 심었다. 둘째, 식민지 과학관에서 과학기술은 '결과와 '도구'로 취급되었다. 일제는 과학이 사회적 위기를 해결했던 역사적, 문화적 산물임을 부정하고 '도구적 합리성'만을 주입시켰다. 셋째, 식민지 과학관에서 다루었던 과학기술은 매우 수준 낮은 것이었다. 생활의 과학화를 내세우며 교육했던 것은 근대적 규율을 내면화시켜 권력이 요구하는 노동자형 인간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 PDF

『동서의학요의(東西醫學要義)』 간행으로 본 1920년대 한의학 정체성 변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Medicine in the 1920s: Focusing on the publication of Dongseo uihak youi)

  • 김현구;안상우;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9-59
    • /
    • 2023
  •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ormation of the knowledge system of Korean medicine in the early 20th-century colonial context of the 1920s in terms of 'identity formation'. At the time, newly introduced Western medicine was the dominant form of medical knowledge due to strong support from the colonial government but had did not enjoy popular support from the general public especially when compared to Korean medicine. Furthermore,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needed to utilize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labor due to a serious shortage of Western medicine doctors. In this context, Dongseo uihak youi (Essentials of Eastern and Western Medicines) provides an overview of the role of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in the colonial healthcare system of the time. The book contains a figure of a 'modern' Korean medicine practitioner working within a healthcare system influenced by colonial modernity.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doctors at that time not only published Dongseo uihak youi but also attempted to establish a school specializing in both Eastern and Western medicines or integrated Korean medicine, which would produce "the Chosŏn doctors" (Chosŏn ŭisa) on a par with doctors trained in Western medicine. Although their attempts did not materialized, they provide a clue as to how and in what direction Korean medicine pursued its identity in the 1920s.

『조선(朝鮮)の특산(特産)』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식품 특산물 현황 분석 (Analysis of Regional Food Specialities Statu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Specialities of Joseon (朝鮮の特産)』)

  • 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51-670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food specialtie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Specialities of Joseon (朝鮮の特産)』. The book recorded a total of 164 areas and 317 specialties, focusing on five railway lines and branch lines on the Gyeongbu, Honam, Gyeongui, Gyeongwon, and Hamgyeong. Among the specialities, 211 species were included, excluding overlapping ones. The food specialties accounted for 100 kinds in 159 regions or 47.4 percent of the specialties. There were 47 food specialties in 47 areas of the Gyeongbu Line, 21 food specialties in 20 areas of the Honam Line, 32 food specialties in 40 areas of the Gyeongui Line, 26 food specialties in 15 areas of the Gyeongwon Line, and 33 food specialties in 42 areas of the Hamgyeong Line. Among the specialties, the amount of fish and their workpiece was overwhelmingly the largest. Next came processed goods of fruits, grains, and vegetables. In modern factories, corn, tomatoes, blueberries, and sardines were made of processed goods. Factories have been constructed for glass noodles, sugar, and soju. Specialities and processed goods produced in each region were brought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 순회문고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Deposit Stations in Japanese Colonial Era)

  • 조용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19-150
    • /
    • 2022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국내 도서관 인프라가 빈약한 상황에서 도서관을 대신하여 널리 활용되었던 순회문고 활동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조사 방법을 실시하였는데, 각종 역사 관련 데이터베이스, 도서관, 아카이브 등을 대상으로 당시의 신문자료, 관보, 잡지 기사, 통계자료, 관련 도서와 연구논문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제강점기 순회문고의 운영주체는 일제의 중앙행정기관과 지방행정기관을 비롯해 일제 통치를 지원하는 일제 관변단체, 일제에 저항하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계열의 항일독립단체, 기타 민간단체와 종교단체 등과 같은 민간단체, 그리고 부립도서관과 사립도서관 등의 공공도서관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순회문고들을 설치시기, 설치목적, 봉사대상과 봉사권역, 운영방식(운영비, 순회구역, 운영기간, 이용자격, 이용방법, 대출일수와 대출권수, 이용 주의사항 등), 장서의 주제와 장서량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에 순회문고는 당시 부족한 도서관 인프라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기관과 단체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