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totrichum truncatu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Colletotrichum spp. Isolates Associated with Leguminosae Using Multigene Loci, RAPD and ISSR

  • Mahmodi, Farshid;Kadir, J.B.;Puteh, A.;Pourdad, S.S.;Nasehi, A.;Soleimani, 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10-24
    • /
    • 2014
  •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50 Colletotrichum spp. isolates from legume crops studied through multigene loci, RAPD and ISSR analysis. DNA sequence comparisons by six genes (ITS, ACT, Tub2, CHS-1, GAPDH, and HIS3) verified species identity of C. truncatum, C. dematium and C. gloeosporiodes and identity C. capsici as a synonym of C. truncatum. Based on the matrix distance analysis of multigene sequences, the Colletotrichum species showed diverse degrees of intera and interspecific divergence (0.0 to 1.4%) and (15.5-19.9), respectively. A multilocu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clustered Colletotrichum spp. isolates into 3 well-defined clades, representing three distinct species; C. truncatum, C. dematium and C. gloeosporioides. The ISSR and RAPD and cluster analysis exhibited a high degree of variability among different isolates and permitted the grouping of isolates of Colletotrichum spp. into three distinct clusters. Distinct populations of Colletotrichum spp. isolates were genetically in accordance with host specificity and inconsistent with geographical origins. The large population of C. truncatum showed greater amounts of genetic diversity than smaller populations of C. dematium and C. gloeosporioides species. Results of ISSR and RAPD markers were congruent, but the effective maker ratio and the number of private alleles were greater in ISSR markers.

콩, 팥 및 녹두에서 분리한 탄저병균류의 동정과 병원학적 특징 (Identification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Fungi Isolated from Soybean, Small Red Bean and Green Bean)

  • 한경숙;이두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0-38
    • /
    • 1995
  • Anthracnose fungi associated with soybean (Glycine max), small red bean (Vigna angularis), and green bean (Phaseolus radiatus var. aurea)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cultural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aspects, and pathogenicity. From the legumes, four different species of Colletotrichum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 C. truncatum, C. destructivum, C. trifolii and C. gloeosporioides. Colonies of Colletotrichum spp.on culture media varied in colour and growth habits depending upon the media and isolates. In general, formation of conidia, setae, and perithecia on water agar leaf medium was better than that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under near ultraviolet light. In cross inoculation tests, isolates of C. truncatum, c. destructivum, C. trifolii and C. gloeosporioides could infect soybean, small red bean, and green bean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athogenicity or susceptibility depending on crops tested. C. truncatum was the most virulent and major pathogenic species among the four species.

  • PDF

무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속의 종 동정 및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Colletotrichum Species Causing Anthracnose of Korean Radish (Rhaphanus sativus) in Korea)

  • 최효원;김점순;홍성기;이영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93-406
    • /
    • 2019
  • 2017년 8월경, 강원도 홍천군, 정선군, 평창군 소재 무 재배 포장에서 잎자루와 잎의 주맥에 형성된 탄저병 병징이 관찰되었다. 회색 내지 짙은 갈색을 띤 1-2 mm 크기의 점무늬가 아래 잎과 잎의 주맥에 형성되었다. 이러한 점무늬는 점차 확대되고 합쳐지면서 갈색을 띤 불규칙한 병반으로 나타났다. 병든 무 잎에서 10개의 Colletotrichum균을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의 형태적 특성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intervening 5.8S rDNA (ITS), partial beta-tubulin gene (TUB2), partial actin gene (ACT) 및 partial chitin synthase-1 gene (CHS-1) 부위를 사용한 다자위 분자 계통 분석(multilocu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에 의해 8개 균주는 Colletotrichum higginsianum, 2개 균주는C. truncatum으로 동정되었다. 무(시래기무, 오사리무)와 배추(품종: 추노, 스마트)를 대상으로 상처와 무상처로 구분하여 포자현탁액을 떨어뜨려서 접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무에서는C. truncatum 1개 균주를 제외하고 상처와 무상처 접종에서 모두 병징을 나타냈고, 배추의 경우는C. higginsianum 접종구에서만 상처의 유무에 관계없이 병이 발생하였다. 국내에는 기존에 C. higginsianum은 무와 배추의 탄저병균으로 보고되었으며, C. truncatum에 의한 무 탄저병의 발생은 본 연구에서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Pseudomonas sp.를 이용한 콩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Soybean Anthracnose by Pseudomonas sp.)

  • 오정행;김규홍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74-178
    • /
    • 2003
  • 콩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하여 병원균 Colletotrichum truncatum과 C. gloeosporioieds에 대한 길항세균 Pseudomonas sp.를 분리 동정하였다. Pseudomonas sp.의 균사생장 억제효과는 탄저병 살균제 benomyl, fluazinam과 비슷하였으며, 콩에 대한 병원성은 거의 없었다. Pseudomonas sp. 의 종자처리는 C. truncatum 을 접종한 콩 종자의 출현율을 현저히 증가시켰고, 경엽처리한 경우 잔효성은 낮았지만 처리 2주 후의 방제효과는 benomyl, fluazinam과 비슷하게 높았다.

콩 탄저병균의 생장 및 병 진전에 미치는 온도, 수분 존재시간, 살균제의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Wetness Duration and Fungicides on Fungal Growth and Disease Progress of Soybean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 오정행;김규홍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31-136
    • /
    • 2003
  • 콩 탄저병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병원균의 병원성을 비교하고, 포자발아, 부착기 형성, 균사생장 및 병 진전에 미치는 온도와 수분존재시간의 영향, 그리고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C. gloeosporioides의 종자병원성은 C.truncatum과 비슷하게 높았으나 경엽에서의 병원성은 현저히 낮았다. C. gloeosporioides의 포자발아, 부착기 형성,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였고, C. truncatum의 적온은 $30^{\circ}C$였으며, $15^{\circ}C$에서는 매우 낮았다. 살균제에 대한 반응은 C. truncatum은 fluazinam과 benomyl에 대해, C. gloeosporioides는 fluazinam과 triflumizole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C. truncatum에 의한 병의 진전율은 수분존재시간이 8시간이면 $30^{\circ}C$에서, 32시간 이상이면 $25^{\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0^{\circ}C$에서는 매우 낮았다.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병원균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Colletotrichum spp. 의 중복감염에 의한 콩 탄저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살균제의 정확한 선택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콩 종자(種子)에서 분리(分離)한 사상균(絲狀菌), 그 병원성(病原性) 및 종자(種子) 소독(消毒)에 관한 연구(硏究) (Fungi Associated with Soybean Seed, their Pathogenicity and Seed Treatment)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1984
  • 콩 종자(種子) 14개(個) 시료(試料)를 Blotter법(法)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부생성(腐生性) 사상균(絲狀菌)은 Alternaria tenuis, Arthrobotrytis sp., Aspergillus spp., Cephalosporium sp., Cladosporium sp., Cylindrocarpon sp.,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semitectum, F. solani, Pennicillium spp. 및 Rhizopus sp. 등이 검출(檢出)되었고, 병원성사상균(病原性絲狀菌)은 Cercospora kikuchii, Colltotrichum truncatum, Diaporthe phaseolorum sojae 및 Fusarium oxysporum 등이 검출(檢出)되었다. C. kikuchii,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의해서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로부터 유묘(幼苗)의 병징발현(病徵發現)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조사(調査) 논의(論議)하였다.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의해서 병든 종자(種子)는 발아율(發芽率)이 유묘생육(幼苗生育)에 영향을 미쳤다. 병원성(病原性) 사상균(絲狀菌)의 인공접종(入工接種) 결과(結果) 모두 병원성(病原性)이 나타났으나 F. oxysporum은 약하게 나타났다. C. kikuchii,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대한 효과적(效果約)인 종자소독제(種子消毒劑)는 Benlate-T, Homai, Tecto 및 Sisthane이었으며, Arasan, Captan, Busan-30 및 Mercron은 C. kikuchii에는 효과(效果)가 낮았으나 기타(其他) 병원균(病原菌)에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본(本) 실험(實驗)에 공시(供試)된 약제(藥劑)는 병든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을 증진(增進)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환경조건(環境條件)이 대두(大豆) 탄저병균(炭疽病菌)(Colletotrichum truncatum)의 부착기형성(附着器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Appressorium Formation of Colletotrichum truncatum)

  • 도은수;백수봉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2-148
    • /
    • 1987
  • 대두(大豆) 탄저병(炭疽病)(C. truncatum)을 공시(供試)하여 In vitro에서 광(光), pH 및 영양원(營養源)과 In vivo에서 시비수준(施肥水準)(P, K 및 Ca)이 부착기형성(附着器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바는 다음과 같다. 1. 3시간(時間) 및 6시간(時間)이 지난후의 조사(調査)에 따르면 광처리(光處理)를 한 것이 암처리(暗處理)를 한 것보다 부착기형성률(附着器形成率)이 양호(良好)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진행(進行)됨에 따라서는 각처리(各處理)에서 부착기형성률(附着器形成率)이 높아졌다. 2. 부착기형성(附着器形成)에 적정 pH는 $pH\;6{\sim}8$이었다. 3. 탄소원(炭素源) 및 질소원(窒素源) 공(供)히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 부착기형성률(附着器形成率)이 양호(良好)하였고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억제되는 경향이었으며 질소원(窒素源)에 비(比)하여 탄소원(炭素源)에서의 부착기형성률(附着器形成率)이 양호(良好)하였다. 그리고 시간(時間)이 경과함에 따라서 부착기형성률(附着器形成率)이 상승했다. 4. 3시간(時間) 경과후의 조사(調査)에서는 인산 및 칼륨처리(處理)는 증시(增施)했을 경우 다소 부착기형성(附着器形成)이 억제되었으나, 칼슘처리(處理)에 있어서는 무비구(無肥區)<표준비구(標準肥區)<2배비구(培肥區)의 순(順)으로 부착기형성(附着器形成)이 상당히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시간(時間)이 경과함에 따라서는 부착기형성률(附着器形成率)이 시비수준(施肥水準)과 관계없이 상당히 증가(增加)됨을 보였다.

  • PDF

Efficacy of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in the Suppression of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the Causal Agents of Seed Decay in Soybean

  • Oh, Jeung-Haing;Kang, Nag-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16-220
    • /
    • 2002
  • Seed decay of soybean caused by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is a serious disease when soybean is harvested under warm and wet weather conditions. Benomyl has been used for controlling the disease, however, benomyl application may be limited due to common occurrence of resistance. The efficacy of 21 fungicides against the pathogens was evaluated in vitro. Among the fungicides tested, benomyl, carbendazim, fluazinam, iprodione+propineb, thiophanate-methyl, and triflumizole were found effective and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control the seed pathogens. Fluazinam completely inhibited mycelial growth at a concentration of 100 $\mu\textrm{g}$/$\textrm{m}{\ell}$ for D. phaseolorum; and at a concentration of 500 $\mu\textrm{g}$/$\textrm{m}{\ell}$ for C. truncatum and C. kikuchii. $EC_90$ values of fluazinam were similar to that of benomyl. Because fluazinam, iprodione+propineb, and triflumizole were found effective against the seed pathogens, these were subjected for field-testing. Suppression of pod and seed infection by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was as high as that of benomyl without any reduction in agronomic characters of soybean. This study shows that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benomyl to control seed pathogens, manage resistance, and ensur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oybean seeds.

Fungicide Sensitivity among Isolates of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Fusarium incarnatum-equiseti Species Complex Infecting Bell Pepper in Trinidad

  • Ramdial, Hema;Abreu, Kathryn De;Rampersad, Sephra 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118-124
    • /
    • 2017
  • Bell pepper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crop worldwide; however, production is restricted by a number of fungal diseases that cause significant yield loss. Chemical control is the most common approach adopted by growers to manage a number of these diseases.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to resistance to fungicides in pathogenic fungal populations is central to devis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rategies. Two fungal species, Fusarium incarnatum-equiseti species complex (FIESC) and Colletotrichum truncatum are important pathogens of bell pepper in Trinida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of 71 isolates belonging to these two fungal species to fungicides with different modes of action based on in vitro bioassa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g effective concentration required to achieve 50% colony growth inhibition ($LogEC_{50}$) values when field location and fungicide were considered for each species separately based on ANOVA analyses. However, the $LogEC_{50}$ value for the Aranguez-Antracol locationfungicide combination was almost twice the value for the Maloney/Macoya-Antracol location-fungicide combination regardless of fungal species. $LogEC_{50}$ values for Benomyl fungicide was also higher for C. truncatum isolates than for FIESC isolates and for any other fungicide. Cropping practices in these locations may explain the fungicide sensitivity data obtained.

황련추출액의 항균활성과 항균성물질의 동정 (Antifungal Activity or Coptis japonica Root-stem extract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0-268
    • /
    • 1999
  • 황련(Coptis japonica)의 추출액을 공시하여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dematium, C. truncatum, Botrytis cinerea, Botryosphaeria dothidea과 Alternaria porri에 대해 항균 활성 검정, 몇가지 작물에 대한 병해 방제 효과를 조사하고 항균 활성 물질을 동정하였다. 황련 추출액은 P. capsici, F. oxysporum, C. dematium, B. cinerea, B. dothidea 및 A. porri에 대해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Methanol을 용매로 추출하여 분리된 물질과 berberine-Cl 표준품의 항균활성을 비교할 때, 황련추출액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은 표준품 berberine-Cl과 비슷하게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련 추출액은 고추 역병(83.3%), 참깨 모잘록병 (92.0%) 및 파 검은무늬병(87.5%)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고추 잎과 과실, 파 잎 및 딸기 과실에는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농도에서는 고추 및 참깨의 발아를 억제하거나 유근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hanol로 추출한 황련 추출액으로부터 황색 분말 4.24g/100g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물질을 HPLC로 분석한 결과 항균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berberine-Cl로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