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totrichum orbicular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복분자딸기 탄저병균의 병원성과 기주범위 (Pathogenicity and Host Range of Pathogen Causing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Anthracnose in Korea)

  • 정우성;김주희;이기권;정성수;이왕휴
    • 식물병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1-123
    • /
    • 2013
  • 사과, 호박, 고추에서 분리된 탄저병균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orbiculare, C. acutatum)이 복분자딸기에 병원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사과에서 분리된 탄저병균은 무상처 접종에서도 병원성을 나타냈다. 복분자 딸기에서 분리한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coccodes, C. acutatum)은 사과와 딸기에서는 dropping 접종에 의해 병원성을 보였으나 고추와 토마토에서는 낮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고추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방제를 위한 길항 미생물의 분리 및 항진균 활성 (Screening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for Control of Red-pepper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박성민;정혁준;유대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0-426
    • /
    • 2006
  • 노르웨이의 Oslo시 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p. KMU-991를 이용하여 고추탄저병균인 Colletotruchum gloeosporioides KACC 40804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위한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항진균 물질의 생산은 기본배지로 TSB를 사용하였으며 탄소원으로 1.0% mannitol과 질소원으로 1.0% ammonium chloride를 첨가하였을 매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양조건으로는 $30^{\circ}C$, 180 rpm,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30{\sim}60%$ ammonium sulfate 침전물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utanol을 이용하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항진균 물질을 회수하여 다양한 작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spectrum을 조사한 결과 B. cinerea KACC 40573, C. orbiculare KACC 40808, F. oxysporum f. sp. radicus-lycopersici KACC 40537, P. cambivora KACC 40160, 그리고 R. solani AG-4 KACC 40142등에 대하여도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Colletotrichum orbiculare에 대한 길항세균 Pseudomonas aurantiaca YC4963의 분리 동정 및 항균물질 Phenazine-1-carboxylic acid의 생산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Bacteria, Pseudomonas aurantiaca YC4963 to Colletotri­chum orbiculare Causing Anthracnose of Cucumber and Production of the Antibiotic Phenazine-l-carboxylic acid)

  • 채희정;김루미;문석식;안종웅;정영륜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42-347
    • /
    • 2004
  • 경남 지역의 근권 토양 및 식물뿌리 에서 다양한 길항세균을 분리하여 오이 탄저병원균 Colletotrichum orbiculare에 대한 길항효과를 조사하였다. 그중 국화과에 속하는 털진득찰 (Siegesbeckia pubescens Makino)뿌리에서 분리된 YC4963 균주가 병원균의 균사 생장에 대한 억제 능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도 C. orbiculare의 발아관 형성과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다. 이 균은 Gram음성과 양성세균에 대 해서도 억제 능력이 있었으며, Botrytis cinerea, Fusal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 등의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해서도 억제 능력이 좋았다. 이 균주의 형태, 생리$\cdot$화학적 특성과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seudomonas aurantiaca로 동정되었다. 이 길항 세균이 분비하는 항생물질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대량 배양 후 물질 분리와 여러 종류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분리 정제하여 얻은 순수 물질은 노란색 바늘 모양의 결정체이었고, 질량 분석, FT-IR spectrum분석 및 NMP spectrum 분석을 바탕으로 구조를 추정한 결과 phenazine-1-carboxylic acid로 확인되었다. 이 항생물질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농도를 달리하여 C. orbiculare의 발아관 및 부착기 형성을 조사한 결과, 처리 18시간 후 발아관 생장은 103 ${\mu}m$로 대조구의 798 ${\mu}m$보다 8배 정도 억제되었으나 발아관과 부착기 형성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P. aurantiaca에 의한 phenazine-1-carboxylic acid의 생산과 이 항생물질에 의한 탄저병군의 억제효과는 본 연구에서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생산 유전자가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와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분석을 사용하여 genomic DNA에 대한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균주간의 유전적 연관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한 병원에서 발견되는 균주는 clonal spread에 의한 것이라는 일반적인 보고와 다른 결과를 얻었다., 체외순환을 시작한 이후부터는 2군에서 지속적으로 더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1군 $48.5\~64$ mL/min100 g, 2군 $65.8\~88.3$ mL/min/100 g), 특히 30분에서의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군$47.5{\pm}18.3\;mL/min100\;g,$ 2군$83.4{\pm}28.5\;mL/min100\;g,\;p=0.026$). 혈액 뇨질산, 크레아티닌, 그리고 혈장 용혈헤모글로빈의 변화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일정한 펌프 혈류 조건에서 박동성 혈류의 평균 혈압이 더 높다는 것은, 비박동성 혈류보다 조직관류압(Tissue Perfusion Pressure) 측면에서 우수하여 말초장기의 조직관류 효과에 유리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장시간의 체외순환에서는 신장기능을 대표하는 수치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예상되며, 신장 이외에 다른 주요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더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의 무기물질(Zeolite)이 첨가되어진 Modified California putting green system이 최적의 putting green 조건과 우수한 Bentgrass 잔디품질을 4년 동안 유지하였음을 이 실험을 통해 조사되어졌다.

작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Bacillus lichentformis KMU-3의 항진균활성과 배양조건 (Culture Conditions and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licheniformis KMU-3 against Crop Pathogenic Fungi)

  • 박성민;한선희;유대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2-116
    • /
    • 2005
  • 스웨덴 산림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분리한 Bacillus licheniformis KMU-3의 작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항진균물질의 생산조건에 대하여 검토했다. B. licheniformis KMU-3은 Rhizoctonia solani KACC 40101에 대하여 높은 항진균활성을 나타냈었다. 항진균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은 탄소원으로 $1.0\%$ sodium acetate, 질소원으로는 $1.0\%$ ammonium sulfate, $24^{\circ}C$, pH 8.0, 180 rpm, 24시간 진탕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활성를 나타내었다. TLC상에서 Rf값이 0.49인 밴드에 나타난 물질에서 항진균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물질은 Rhizoctonia solani AG-4 KACC 40142, Colletotrichum orbiculare KACC 40808,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KACC 40804, Cladosporium cucumerinum KACC 40576, Fusarium graminearum KACC 41040, Fusarium oxysporum KACC 40052에 대하여서도 높은 항진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오이 잎에서 Chlorella fusca 처리에 의한 오이탄저병 발생 억제 기작 (Illustration of Disease Suppression of Anthracnose on Cucumber Leaves by Treatment with Chlorella fusca)

  • 이윤주;고윤정;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4호
    • /
    • pp.257-263
    • /
    • 2016
  • 클로렐라는 광합성을 통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녹조류로서 작물의 생육촉진효과와 더불어 식물병 발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클로렐라에 의한 식물병 억제 기작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클로렐라 일종인 C. fusca의 현탁액을 오이 잎에 전처리하였을 때 오이탄저병 진전이 억제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C. fusca를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 오이탄저병 억제 기작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무처리한 잎에 비해 C. fusca를 전처리한 잎에서 C. orbiculare의 부착기 형성률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접종 부위에서 발견된 포자수도 무처리한 잎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한편, 살균제 $Benomyl^{(R)}$을 전처리한 오이 잎에서도 C. orbiculare의 부착기 형성률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포자수도 C. fusca를 전처리한 잎과 유사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들 결과를 통해 C. fusca 전처리에 의해 오이탄저병 발생이 억제되며 이는 C. fusca에 의한 식물잎 표면에서 생화학적 또는 구조적 작용으로 인한 C. orbiculare의 부착기 형성 감소가 그 원인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Ultrastructures of Colletotrichum orbiculare in Cucumber Leaves Expressing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Mediated by Chlorella fusca

  • Kim, Su Jeung;Ko, Eun Ju;Hong, Jeum Kyu;Jeun, Yong Chul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13-120
    • /
    • 2018
  • Chlorella, one single-cell green algae organism that lives autotrophically by photosynthesis, can directly suppress some plant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re-spraying with Chlorella fusca suspension could induce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SAR) in cucumber plants against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orbiculare. In order to illustrate SAR induced by algae, infection structures in host cells were observed unde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Cytological changes as defense responses of host mesophyll cells such as accumulation of vesicles, formation of sheath around penetration hyphae, and thickness of cell wells adjoining with intracellular hyphae were demonstrated in cucumber leaves. Similar defense responses were also found in the plant pre-treated with DL-3-aminobutyric acid, another SAR priming agent. Images showed that defense response of host cells was scarcely observed in untreated leaf tissues. These cytological observations suggest that C. fusca could induce SAR against anthracnose in cucumber plants by activating defense responses of host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