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student life stres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중학생의 정신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Needs for mental health educ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전성숙;허은희;하수정;한미화;김미영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23
    • /
    • 2016
  • Objectiv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face a turbulent period between the stage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If effective mental health education can be provided over this period, it can help prevent behavior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studen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iority of mental health education as demanded by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12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ive schools in the P city. A questionnaire arranged mental health education into 39 items for use as a tool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follow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of Scheffe. Results: For general students, demand was highest for education on "Communication and Healthy Life," followed by "Self-esteem,"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Conclusions: If education on mental health shall be offered at middle schools based on this study, education on how to communicate and lead a healthy life and improve self-esteem should go to general students to prevent behavior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n the other hand, education and group programs for "Stress," "Mental Problems in the Adolescent Period" and "Addiction"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to help prevent behavior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대학생 일상생활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aily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 박정혜;강세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23-4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생활사건에 대해 개인의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도구 개발과정은 DeVellis의 도구 개발 단계와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2020년 일 대학 재학생 1,242명에게 수집된 자료를 무작위로 2개(A, B)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A그룹의 표본 (N=620)으로 문항검사, 탐색적 요인분석, 다특성-다방법 행렬, 준거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한 후 B그룹의 표본(N=622)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재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33문항, 8개 하위요인의 최종 도구가 개발되었다. 최종 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KMO 값은 0.92,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는 유의하였고(χ2=12532.42, p<.001), 초기 고유값 1.0 이상인 요인수는 8개, 누적 요인적재량은 71.5%, 각 문항의 공통성은 0.56 이상이었다. 신뢰도 검증에서도 도구 전체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0.94, 요인별로는 0.78~0.90이었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재검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대학생의 일상 스트레스 수준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5차원 전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Five Dimensional Education -Focusing on Freshmen Student of College of Nursing-)

  • 배익렬;허명륜;안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7-65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 스트레스 감소, 인성 함양을 돕기 위해 5차원 전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전인지수(DQ),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은 심력, 체력, 지력, 자기관리, 인간관계 5가지 차원의 내면을 골고루 향상시키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고, 지침서를 제작하여 1주일에 2회씩 총 56회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은 2014년 3월부터 12월까지 적용하여 운영하였고,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시작 전 1회, 프로그램 종료 후 1회 이루어졌으며, 대상자는 K시에 소재한 간호대학 신입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28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전인지수(DQ)중 지력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따라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증진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고 학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5차원 전면교육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며, 인성 함양을 위한 5차원 전인지수 향상을 위해서는 시행 횟수 증가 및 참여 유도를 위한 운영방법의 보완이 필요하다.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Academic Stress, Ego-resilienc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 박지현;김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93-20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조사하고, 제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3일부터 21일까지 일 대학교 간호학과의 1학년과 2학년 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업스트레스는 평균 $3.17{\pm}0.55$점, 자아탄력성 $2.70{\pm}0.38$점, 건강증진행위는 $2.47{\pm}0.32$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수면상태,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아탄력성은 주거형태, 전공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수면상태,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증진행위는 주거형태, 전공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건강상태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건강증진행위는 학업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관계(r=-0.36, p=0.000), 자아탄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60, p=0.000).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만족도, 거주형태, 건강상태와 전공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3.3%(F=27.38 p=0.000)이었다. 간호대학생 초기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해 학업스트레스의 경감과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중재와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간호대 여학생의 음주실태, 음주동기와 문제음주의 상태 비교 (Comparison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State of Drinking,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83-19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여학생의 음주실태, 음주동기와 문제음주의 상태 비교를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181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정상음주 군과 문제 음주 군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고, 문제음주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음주횟수, 마시는 속도, 음주동기, 생활스트레스, 음주문제발생경험이 문제음주에 대한 위험비가 높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음주횟수로 볼 때 음주횟수가 일 년에 1-4회인 군보다 일주일에 2-3회인 군에서 문제음주에 대한 위험비가 21.53배 높았으며, 음주동기는 음주동기가 낮은 군 보다 음주동기가 높은 군에서 5.96배, 음주문제발생경험은 음주문제발생경험이 낮은 군에 비해 음주문제발생경험이 높은 군에서 8.80배 문제음주에 대한 위험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대생의 문제음주 관련 요인은 음주횟수, 마시는 속도, 음주동기, 생활스트레스, 음주문제발생경험이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음주실태와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주기적인 절주교육, 문제음주선별과 예방프로그램을 통해 문제음주가 될 위험성을 낮추고, 건전음주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Oral habits and Stres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High school students)

  • 이가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93-200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울산지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33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턱관절 장애지수는 구강 악습관 지수, 학교생활 스트레스 지수, 가정생활 스트레스 지수, 대인관계 스트레스 지수, 자아 영역 스트레스 지수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구강 악습관 및 각종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계선택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 악습관 지수가 턱관절 장애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아 영역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학생일수록 턱관절 장애지수가 높았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즉, 구강 악습관이 지속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학생일수록 성인이 되었을 때 턱관절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는 Y(턱관절 장애지수)=2.563+.550X1(구강악습관지수)+.134X2(자아영역 스트레스지수) 의 회귀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구강 악습관과 스트레스가 성인으로 이어지는 턱관절 장애의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구강 악습관을 개선하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국내 수의과대학생의 스트레스 경험 연구 (A study on stress experiences of Korean veterinary students)

  • 김재은;주설아;천명선;이동혁;남상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69-77
    • /
    • 2020
  • The quality of a veterinary service depends on the veterinaria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However, a veterinarian's mental health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more vulnerable than that of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many veterinary students will enter the veterinary profession in near futu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ir psychological status. This study examined stressors affecting student life in one veterinary school.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levels were assessed using questionnaires and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The results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veterinary students with psychological distress was higher than expected. The major stressors experienced by the veterinary students were academic, economic, and environmental. Qualitative study using a photovoice method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this study felt relatively deprived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veterinary schools. In addition, they were distressed by the school environment and limited human relationship. Our results suggest that veterinary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be aware of students' psychological distress and should undertake systematic improvement in their educational system by altering counseling programs, curricula, and school culture principles.

한의과대학생의 유급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Korean Medicine Students who have academic failure)

  • 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3-67
    • /
    • 201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ademic failure experiences of Korean Medicine Students. The academic failure in a medical school is defined as the situation the student who have academic failure need to repeat their academic year again.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from April to May 2016 and analyzed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wice, for 30minutes to 60minutes per interview. Results : Eight theme-clusters of were identified from 21 themes. The theme-clusters were 'Dream of university life and freedom', 'Meeting Stranger academic field and growing study stress', 'Difficulty of self-management', 'Weak supporting system', 'Feeling of guilty, sense of isolation and decreasing in self-esteem', 'The experience during the vacation after the academic failure', 'The experience of returning to school' and 'Self growing through hard experience'. Conclusions : Understanding of academic failure experience of Korean Medicine Students is an important approach to counsel them and an important way to reach a good model of education at a medical college.

대학생의 항산화에 대한 인식 및 항산화 식품 섭취 실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Consumption of Antioxidant in Seoul Area)

  • 이영순;방현호;두신이;이혜원;이풍초;전효주;전영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58-771
    • /
    • 2012
  • This research contains awareness of antioxidant and intakes of antioxidant foods for the present evaluate college students in Seoul, 375 patient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the woman college student more than male's responded, showed a uniform distribution in the allowance, grade and the most type of residence is living apart from their family. All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cognize a lot about health, but male college students ha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terested in the health, on the other hand, female college students had higher than male college students for the health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a healthy. Awareness about the oxide and active oxygen is moderate level, but knowledge about active oxygen is low level, they responded that active oxygen was caused when received stress or do strenuous exercise. General Health Functional Foods recognized that the usual intake, but intake of antioxidant was when the activity was caused by active oxygen. They recognized that the antioxidant effect is anti-aging and vitamin, wine and tea, were perceived as antioxidant foods, are popularly known. Usually, people was initially recognized through the internet in university or high school, they desire to obtain information was high but the effort to gain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antioxidant are relatively low.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natural antioxidant foods and antioxidant healthy functional foods, recognizes of effects and absorption rate are similar, but recognizes that natural food intake is better recognition in the economics and health functional food is better recognition in the easy intake and nature foods was more preferred than functional foods because of nature friendly. Trying to intake of antioxidant foods is low, but people is expected anti-aging and fatigue recovery through the intake of antioxidant food. People think that intake is irrelevant to the season, but summer is higher than other seasons. Showed that efficacy perceptions about health supplements are higher, but efficacy perceptions about antioxidant health supplements when ingested are at a moderate level, which is lower, due to low antioxidant for understanding. Antioxidant functional health food intake will be affected the gifts or the people around them and purchase is also more influenced by surround people than themselves. So showed that most college students prefer natural antioxidant foods than antioxidant health supplements, in case of ingested antioxidant health supplements also showed that it was consumed by surround people than personal will.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Affecting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 양태연;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921-946
    • /
    • 201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진로결정의 패턴과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을 부모(부모의 사회적 지지), 학교(대학생활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개인특성(문제해결 능력, 진로결정 효능감, 전공선택 확신)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를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02, 2003년도에 교육을 받은 수료생 93명과, 대통령 과학 장학생에 선정되어 장학금을 받고 있는 국내외 대통령 장학생 264명 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부모의 사회적 지지검사, 문제해결능력 검사, 대학생활 스트레스 검사, 대학생활 적응 검사, 진로결정 효능감 검사, 전공선택 확신 검사이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Program과 AMOS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TLI=.928, CFI=.941, RMSEA=.059로 연구모형이 대학생 과학영재 집단에 수용되는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세운 가설이 하나의 경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결정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