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foodservice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2초

현 영양표시제도로 파악할 수 있는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 정보의 범위: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Study of the Coverage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on the Nutrient Intake of Koreans - using th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 박지은;이행신;이윤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127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verage of the current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system on the nutrient intake of Koreans. Methods: KNHANES dietary intake data (2013) of 7,242 subjects were used in the analysis. KNHANES dietary intake data were collected by a 24-hour recall method by trained dietitians. For analysis, all food items consumed b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and other foods). In the next step, all food items were re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ood type and nutrition labeling regulations: raw material food, processed food of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processed foods without mandatory labeling, and processed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The intake of energy and five nutrients (carbohydrate, protein, fat, saturated fat, and sodium) of subjects from each food group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overage of the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system among the total nutrient intake of Koreans. Results: The average intake of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were 384g/day, which was approximately one quarter of the total daily food intake (1,544 g/day). The proportion of energy and five nutrients intake from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was 18.1%~47.4%. The average food intake from the 4 food groups were 745 g/day (48.3%) for the raw food materials, 54 g/day (3.5%) for the processed food of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391 g/day (25.3%) for the processed foods without mandatory labeling, and 354 g/day (22.9%) for the processed foods with mandatory labeling. Conclusions: Although nutrition labeling is a useful tool for providing nutritional information to consumers, the coverage of current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system on daily nutrient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is not high. To encourage informed choices and improve healthy eating habits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nutrition labeling system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more food items and foodservice menus.

병원급식 위탁관리의 운영 실태조사 (A Study on the Status of Contract Managed Hospital Food Services)

  • 김진수;양일선;김현아;박문경;박수연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2호
    • /
    • pp.128-137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ontracted hospital food service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beds in hospitals. Thirty six hospitals having more than 100beds in Seoul, Inchon and Kyungkido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March and April in 2002.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 36 directors of dietetic departments of the hospitals and 36 managers of contracting patient food servic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Win(11.0)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Ⅰ. Hospital perspective : The range covered by contract food service was 63.3% and 36.7% in hospital food services, and medical nutrition services. The patient and employee food services were in 83.3%, and patient food services were in 6.7%. The methods selecting contractors are general, limited, selected and competitive biddings, and private contracts. The responsibility for supervision of contract food services was the dietetic department (51.7%) in most cases. Hospitals having personnel responsible for contracting affairs were in 75.9% of the cases and 24.1% did not have personnel. The biggest reason for contracting was facilitation of personnel management. The most important criteria on selecting food services contractors was the professionality of the contractor. Ⅱ. Contractor's perspective : The cost per meal in the year 2001 was composed of 1,905 won for food cost, 1,081 won for labor cost, 222 won for expenses, 114 won for VAT, 14 won for rent and 146 won for miscellaneous or controllable expense, representing 109 won loss per meal. The profit-and-loss contract cost is higher than the fee-contract cost. The ratios of food cost, labor cost and expenses are higher and the ratios of miscellaneous or controllable expense, VAT, rent and profit are lower in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compared with those less than 400 bed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present between these two groups of hospitals. The actual contract period was 2.2 years upon initial contract and 1.2 years upon renewal. The initial investment cost was 53 million won and the cost of renovation and repair was 8.5 million w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 between two groups of hospitals. The conditions of employment and number of personnel hired by contractors for contract patient food servi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ds.

  • PDF

연근가루를 첨가한 청포묵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y with White Lotus(Nelumbo nucifera) Root Powder Added)

  • 박진희;김은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0-190
    • /
    • 2010
  • 본 연구는 연근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청포묵을 제조한 후 $4^{\circ}C$에서 5일간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근가루를 첨가한 청포묵의 수분 함량은 86.78~88.88%이었다. L값은 연근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색과 맛은 연근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향미와 광택은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투명도와 탄력성은 무첨가군과 연근가루 5% 첨가할 때 가장 높았다. 단단한 정도는 연근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전반적인 수용도는 무첨가군과 연근가루 5% 첨가할 때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직감은 경도, 검성, 씹힘성은 저장 1일째에 유의하게 급격히 감소하였다(p<0.05). 응집성은 연근가루 첨가량에 따라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부착성은 무첨가군과 연근가루 5, 10, 15%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수율은 저장 기간 동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연근가루를 첨가한 청포묵을 제조할 때 녹두전분 19 g, 연근가루 1 g, 소금 0.1 g, 물 160 mL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다.

  • PDF

향토음식점의 운영 형태와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 전주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of Local Restaurant Management and the Activation of Food Tourism - Focused on Jeonju Area -)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58
    • /
    • 2009
  • 최근 생활수준의 상승에 따라 여행관광객들은 지역음식 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향토음식을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주지역 향토음식을 음식관광으로서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주지역에서 향토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는 경영자들에 대한 향토음식점 운영 실태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는 10만원 미만의 일별 매출액과 음식점의 홍보는 팜플랫과 브로셔 등의 통해 홍보를 하였다. 음식점의 음식개발은 대부분 음식점의 경영자가 하고, 음식점의 경영형태는 단독경영으로 나타났다. 전주지역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으로는 명소로서의 전주지역 대표 향토음식점 개발, 전문적인 음식체험시설 조성, 테마를 가진 음식관광 마을과 농가 레스토랑 조성, 새로운 음식축제 개발, 지역별 음식관광 코스 개발, 각종 음식재료 및 양념장 패키지 상품 개발이 필요하겠다.

  • PDF

식생활 교육활동이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ietary Education Activ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Respect)

  • 한지수;김성수;고미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6-250
    • /
    • 2015
  • 본 연구는 식생활 교육활동과 교육만족도를 학력증진, 심리-정서발달로, 자아존중감으로 구성하였으며, 식생활 교육 지식 정도,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한 부문인 식생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식생활 교육에 대한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식생활 교육활동이 교육만족도 중 '학력증진', '심리-정서발달'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만족도 중 '학력증진'과 '심리-정서발달'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 교육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생활 교육활동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뿐 아니라, 학교 교육과정,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식생활 교육을 실시하여,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닌 청소년들의 식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이를 통한 자아존중감이 형성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상주 및 인근지역 단체급식소의 다량조리 실태 연구 -식단분석 및 다량조리 실태- (A Study on the Quantity Food Production Practices of Foodservice in Sangju and Near-by Region)

  • 박모라;김귀영;박필숙;강우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6-5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ntity food production practices in foodservices by analysing the menus of April, 1996,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responded to by 96 dietitians in Sangju, Munkyung, Gumee, Kimchun, and Andong during November, 1996. The survey was performed by simple random samplings. The results were as follosw; 1. Hospitals and industry served food for thirty days and schools for twenty days. Kimchi was a select-menu for hospitals and one side dish for industry and schools. The type of menu was a single use menu which consisted of cooked rice, soups and three side dishes. 2. The most frequently used ingredients were green onions, rice, carrots, onions, Korean radish roots, pork, eggs, glutinous rice, and milk. Kimchis were served most frequently in all food services and cooked rices and soups were next. 3. The age of most of the respondents was 26 to 30.54.2% of subjects were juniou college graduates and 77.1% were single. Fifty seven point three percent of the dietitians lived with family relatives, or friends. 87.5% of the dietitians had been working for 1 to 5 years. 4. Most foodservices were self-operated. The number of meals served was determined by meal coupon counting in hospitals(37.5%), meal board counting in industry(29.2%), and attendance card counting in schools(41.1%) The cost of sales per meal was approximately 2,450 won in hospitals and was approximately 1,100 won in industry and schools. The average number of days per menucycle was 7.4 in hospitals. 10.3 in industry and 25.5 in schools. Hospitals, industry, and schools held about 118, 265 and 263 recipes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dietitians was 2.6 in hospitals and 1.0 in industry and schools. Except for the number of recipes, the general practices of foodservi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5. In the general quantity food production, food and seasonings measuring was hardly done. the percentage of foodservices using chemical seasonings was higher in hospitals and industry than in schools. the most important concern was taste, Registered cooks were employed in 75% of schools but only 50.0% in hospitals and 20.8% in industry. Most of the dietitians respinded that their cooks skill was not bad. The education of unregistered cooks was performen once or two times a month in hospitals and industry, and in schools performed everyday. The problem when educating cooks was the lack of cooking skill of the dietitians in schools, and the lack of time in hospitals, and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education in industry. The method for improving cooking in all foodservices was OJT, or the extension of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tandard recipes. The frequency of throwing away leftovers was higher in hospitals. But in industry, the frequency of saving leftovers was higher. 6. Though all foodservices have standard recipes, the number that used them was low, Another problem is that standard recipes resulted in leftovers. The inconveniences of using standard recipes were the difficulty of applying standard recipes to various numbers of customers the complication of use, or facility insufficiency.

  • PDF

외식기업의 해외 시장 진입 방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ntry Mode in the Overseas Market for Food Service Enterprises)

  • 이진;한경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5-27
    • /
    • 2010
  • 세계의 많은 기업들이 세계 시장을 목표로 다국적 경영 활동을 전개함에 따라 외식기업도 해외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외식기업들이 시장 조사 및 진입 전략, 마케팅, 현지화 등 경영 전략을 장악하지 못하므로 인해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진출할 때 고려되는 여려 가지 요인을 종합하여 국내 외식기업의 해외 진출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제조업을 중심으로 검증되어 왔던 해외 시장 진입 방식 선택에 관한 이론적 모형이 외식기업의 해외 진출을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 모형이 될 수 있는가를 검증하고, 외식기업의 해외 시장 진입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직접 투자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2008년 7월 현재 한국에 본사가 있고 해외 시장에 진출한지 2년 이상된 외식기업으로 한정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이용하였다. 실증 분석은 SPSS win 15.0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타당성분석, 신뢰성분석, 카이 제곱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외식기업의 해외 시장에서의 진입방식 결정 모형의 설명력은 85.0%로 나타났다. 외식기업 특성 요인은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제품 차별화 정도가 높을수록,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높을수록 해외 시장에 단독 진입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현지 시장 환경 요인의 경우 수요 불확실 정도가 낮을수록, 무역 장벽이 낮을수록, 사회 문화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 시장에 단독 진입 방식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저염 장아찌 개발을 위한 연령별 소비자 인식, 기호도 및 섭취빈도 조사 (Consumer's Perceptio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Jangachi(Korean Pickle) by Age for Developing Low Salt Jangachi)

  • 원미경;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249-263
    • /
    • 2013
  • 본 연구는 저염 식단을 통한 건강 식생활 실천을 목적으로 그 기능성과 식품학적 가치가 뛰어난 장아찌를 소재로 저염 장아찌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종류별 기호도 및 섭취실태 및 향후 개발 방향 등을 연령별로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좋아하는 장아찌의 절임형태는 간장절임이, 장아찌와 곁들여 먹으면 좋은 메뉴로는 밥 종류가, 장아찌와 함께 주로 먹어본 음식스타일은 한식이, 장아찌를 주로 섭취하는 용도는 밑반찬으로가, 장아찌를 즐기는 이유로는 입맛을 돌게 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판 장아찌의 문제점은 높은 나트륨 함량과 짠맛이, 저염 장아찌에 대한 관심도는 보통이다가, 향후 저염 장아찌 개발 시 구매 계획은 고려해 보겠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저염 장아찌 개발 시 향후 장아찌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장아찌에 대한 기호도와 섭취빈도는 마늘, 깻잎, 무말랭이 장아찌가 높은 반면에, 톳, 미삼, 산초 장아찌 등은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50대이상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시판 장아찌의 개선 사항은 "위생적으로 유통되었으면 한다."(4.07점), "너무 짜지 않게 짠 맛의 농도를 조절했으면 한다(4.06점)."가 높게 나타났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40대 집단이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해 개선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저염 장아찌 개발 제조 시 요구되는 제조 품질 속성의 중요도는 제조 부문에서는 안전성이 가장 높았고, 품질 부문에서는 위생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향후 저염 장아찌를 개발할 때 조리법에서는 나트륨 함량을 줄이고, 제조법에서는 저염 장아찌를 담는 용기와 저장 온도를 표준화하여 위생적인 면을 우선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염장아찌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마늘, 깻잎, 무말랭이, 고추, 마늘쫑, 양파, 오이를 이용한 저염식 장아찌의 표준화된 레시피 개발과 이들 장아찌의 기능 우수성과 식품학적 가치를 홍보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한 조리방법의 습득 기회를 부여하여 손쉬운 장아찌 조리법의 개발보급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이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for Jeonju Hanok Village on the Image of Traditional Cultures and 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s)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6-4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이 전통문화이미지와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 기간은 2013년 6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한옥마을에 있는 한정식 레스토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주시민을 제외한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 요인은 3개요인으로 음식 요인, 한국미 요인, 역사성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이미지에 대한 요인은 2개의 요인으로 전통이미지 요인, 문화이미지 요인으로 명명하여 가설 설정 후 검증을 하였다. 가설 I의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전통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전통미 요인이 전통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은 채택이 되었다. 둘째, 가설II의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문화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음식 요인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I는 채택이 되었다. 셋째, 가설 III의 "전통이미지와 문화이미지는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 결과, 전통미 요인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II은 채택이 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업종별로 레스토랑 만족도 연구가 다양한 연구방법에 의해서 활발하게 진행이 되어야 하며, 한정식 레스토랑 만족을 위해서 한옥마을 이미지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 PDF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자녀의 영양소 섭취 수준과 비만 유병률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3-2015년) 활용 - (Children's Food Intake and Nutrition Levels, and Obesity by Maternal Employmen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 강근영;이윤나;엄미향;계승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1-34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and working hours of their mothers. Methods: The married women in the source data from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classified into full-time working mothers, part-time working mothers and housewives according to the working type and the data on their children from 3 to 18 years old were analyzed using SAS 9.4. Results: The group from 3 to 5 years old was the smallest group with 682 children (20.2%), followed by the group from 6 to 11 years with 1,345 children (39.8%) and the group from 12 to 18 years old with 1,355 children (40.1%). The lowest rates for having no breakfast and dinner were observed in the group with housewives (p<0.05). The calcium and phosphorous intakes were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housewives at 61.9% and 126.8%, respectively, and the lowest in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at 54.7% and 115.3%, respectively (p<0.05).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had the highest rate in the calcium and iron intake less tha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 at 74.9% and 30.0%, respectively. It indicated that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did not have sufficient nutrients a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Moreover, the group with the part-time working mothers showed the high vitamin A intake ratio of 41.4% (p<0.05).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evidence of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n's diet quality. The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will continuously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a national nutrition policy is required to provide quality nutrition care for children in the househo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