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ve Efficac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컴퓨팅 사고력 수업이 학습몰입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Course on Learning Flow and Collective Self-Efficacy)

  • 이경희;박혜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67-17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 수업이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양교육으로써 컴퓨팅 사고력 수업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남의 4년제 대학 1학년 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학습몰입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IC 14를 사용하여 ��2 test와 t-test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 수업을 수강한 학생의 학습몰입은 수강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해 유의(t=3.837 p<.001)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컴퓨팅 사고력 수업을 수강한 학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수강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해 유의(t=2.277 p<.01)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팅 사고력 수업은 학습몰입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 수업의 중요성과 효과,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김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59-68
    • /
    • 2021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S군 S노인요양시설에 입소 중인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총 28명을 대상(실험군 14명, 대조군 14명)으로 2020년 11월 14일 부터 2021년 3월 6일 까지 주1회씩 16회기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2×2 혼합변량분석, 대응표본 T-test, 집단 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들의 우울과 의사소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eacher Efficacy as an Affective Affili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Park, Soon-Hy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743-754
    • /
    • 2007
  • Whether This paper argues that teacher efficacy is an affective affili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based on empirical data of a study on the nature and construct of PCK. This study was a collective case study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re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in the U.S. Data was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classroom observation, interviews, teachers' written reflection, students' work sample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n-depth Analysis of Explicit PCK" developed by the author.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eacher efficacy played a critical role in developing PCK by facilitating the movement from PCK to the enactment of PCK.

대학생의 외모관리태도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신체만족 (Self-efficacy and Body Satisfaction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s Typology)

  • 박은희;조현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4호
    • /
    • pp.515-5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s into groups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and body satisfaction by the group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55 college students living in Deagu Metropolitan City and Kyungbook provinc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OVA, Duncan-test, t-test, and ${\chi}^2$-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uch as group health body, low body interest group, emphasizes collective body. The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and body satisfaction. Mal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by the groups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one in task performance which was a sub-variable of self-efficacy. Both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ce of difference in the gap between actual and ideal weight which was a sub-variable of body satisfaction by the groups. Gender of college students showed distinc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factors such as task performance, and anxiety and body satisfaction such as BMI,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height and ideal height,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weight and ideal weight.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Perceived Firm-Efficacy, Policy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SMEs and Startups: Focusing on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SMEs and Startups

  • Jong-Han Lee;Myung-Soo Kang;Jeong-Hoon Le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6호
    • /
    • pp.31-52
    • /
    • 2023
  • The government's various support policies have helped Korea's SMEs and startups to grow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from domestic companies to exporters. In particular, direct business support policies such as financial support, R&D projects, and export support have been effective in helping a large number of entrepreneurs and startup companies to establish themselves in the market and have achieved tangible results every ye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s such, the government is making significant efforts to create and promote various types of support policies and to help companies utilize them in their business. Howev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e achievement of managerial performance from the companies' perspective and to suggest the purpose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the direction companies should take. Specifically, this study categoriz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to marketing, innovation, management, risk-taking, and financial management, using the relationship model of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to ultimately lead to practical results for SMEs and startups support policies. It uses perceived firm efficacy as a variable to reveal the influenc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policy satisfaction on managerial performance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at SMEs and startups support policies should do.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mong the five componen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novation, and risk-taking efficacy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firm efficacy. Second, the specific componen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marke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policy satisfaction. Third, we found that perceived firm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policy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which are factors of SMEs and startups' policy performance. Specifically, perceived firm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policy satisfaction managerial performance. Fourth, we found that policy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managerial performance.

재가노인의 가족생활 만족도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ing on Family Life Satisfaction of Old Adults Living at Home)

  • 허영미;석소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34-54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model on family life satisfaction of aged individuals living at home. The conceptual model wa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1977; 1986) and Bowen's (1976) family systems theory. Methods: From January 25 to March 5, 2016, 227 older adults living at home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to calcul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family life satisfaction. SPSS WIN 20.0 and AMOS 20.0 were used. Results: The hypothetical model was a good fit for the data. The model fit indices were ${\chi}^2=78.05$, ${\chi}^2/df=1.35$, RMSR=.02, GFI=.98, AGFI=.96, NFI=.94, CFI=.98, and RMSEA=.05. Family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ffected by perceived collective family efficacy, status of physical health,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support. Depress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Family 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e model explained 76% of variance in family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Perceived collective family efficacy, status of physical health, depression, family differentiation,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support were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family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staying at hom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seek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family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t home by focusing on the respective contributing factors.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 (V): 교육적 성취를 통한 미래 한국 사회의 모색 (Korean societ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V):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e future of Korean society)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427-468
    • /
    • 2008
  • 이 글에서는 교육적 성취를 통한 미래 한국 사회의 모습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경험과학적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크게 네 가지 주제 즉 신뢰, 효능감, 삶의 질, 사회적 비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교육적 성취를 통해 신뢰에 기반하는 사회를 형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람들의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고, 한국 사회의 다양한 기관들에 대한 신뢰 수준을 살펴본 결과, 한국 사회에서 신뢰의식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기관으로서 학교, 교육자로서 교사에 대한 신뢰도 마찬가지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적 성취를 통해 효능감 있는 사회의 형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집단효능감의 개념을 탐색하고, 청소년기 집단효능감 및 성인들의 정치효능감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집단효능감 향상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더불어 개인효능감의 측면에서는 교사효능감 및 자녀양육효능감의 개념구성과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교육적 성취를 통해 삶의 질을 지향하는 사회로 나아가야함을 지적하였다. 한국 사회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삶의 질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교육적 성취가 삶의 질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학교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검토하고, 학생들의 스트레스 등 개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교육적 성취를 통해 비전을 가진 사회로 발전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세대집단별 통일에 대한 견해와 남한 및 북한에 대한 의식 등을 검토함으로써, 국민적으로 합의된 비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외에도 교육적 성취의 맥락에서 미래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할 기타 과제들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들을 종합해 볼 때, 교육적 성취를 통해 미래 한국 사회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한국 사회의 현상들에 대한 토착심리적 접근과 이해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 PDF

장애인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Disabled Person's fear of crime: Focused on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 이상열
    • 시큐리티연구
    • /
    • 제46호
    • /
    • pp.141-16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장애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경찰활동과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고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장애인들의 범죄두려움을 낮출 수 있는 정책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기존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진 집합효율성이론과 취약성이론에 기초하여 경찰활동과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인 지체장애인의 설문의 한계로 실무자 집단인 서울시 지체장애인협회 25개 지부에 근무하는 지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장애인과 관련된 설문을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각 지부 5명씩 총125명으로 설문조사는 2015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15일간 진행하였으며, 125명의 대상자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3인을 제외한 122명의 응답자들로부터 얻은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집합효율성의 경우 범죄두려움과 유의미한 부적인 관계를 보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와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피해경험의 경우 간접피해경험의 경우 정적인 관계를 보이나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접적인 피해경험의 경우 정적인 관계로 기존 연구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신뢰와 경찰활동의 인식의 경우도 기존의 연구결과와 같이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Review of the Efficacy of Ultraviolet C Irradiation for Decontamination of Pathogenic and Spoilage Microorganisms in Fruit Juices

  • Ahmad Rois Mansur;Hyun Sung Lee;Chang Joo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419-429
    • /
    • 2023
  • Ultraviolet C (UV-C, 200-280 nm) light has germicidal properties that inactivate a wide range of pathogenic and spoilage microorganisms. UV-C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as an alternative to thermal decontamination of fruit juice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efficacy of UV-C irradiation in reducing microorganisms in fruit juices is greatly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microorganisms, juice matrices, and parameters of the UV-C treatment procedure, such as equipment and processing. Based on evidence from recent studies, this review describ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microorganisms (e.g., type of microorganism/strain, acid adaptation, physiological states, single/composite inoculum, spore, etc.) and fruit juice matrices (e.g., UV absorbance, UV transmittance, turbidity, soluble solid content, pH, color, etc.) affect the efficacy of UV-C. We also discuss the influences on UV-C treatment efficacy of parameters, including UV-C light source, reactor conditions (e.g., continuous/batch, size, thickness, volume, diameter, outer case, configuration/arrangement), pumping/flow system conditions (e.g., sample flow rate and pattern, sample residence time, number of cycles), homogenization conditions (e.g., continuous flow/recirculation, stirring, mixing), and cleaning capability of the reactor. The collective facts indicate the immense potential of UV-C irradiation in the fruit juice industry. Existing drawbacks need to be addressed in future studies before the technique is applicable at the industrial scale.

작업선호도, 자아효능감이 간호대학생의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ork Preference and Self-efficacy on Creative 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 최미정;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9-22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사회적, 문제해결적 리더십의 총체인 창의적 리더십 발현에 작업선호도 즉, 내적·외적동기와 자아효능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G시의 간호대학 학생들 195명을 대상으로 Amabile의 작업 선호도 검사, 자아효능감 검사, 창의적 리더십 검사가 진행되었으며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의 방법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리더십은 내적동기와 자아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요인들을 중심으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효능감과 내적동기로 나타났으며, 60.0%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창의적 리더십 향상을 위해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내적 동기를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