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genase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1초

진범 약침이 collagenase로 유도된 흰쥐 골관절염 모델에서 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onitum pseudo-laeve on Nitric Oxide Synthase in the Periaqueductal Gray of Collagenase-induced Rat Osteoarthritis Model)

  • 김현수;서일복;박세근;김정선;서정철;최선미;구성태;김이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1호
    • /
    • pp.87-94
    • /
    • 2006
  • 목적 :본 연구는 collagenase로 유도된 흰쥐의 골관절염 모델에서 진범약침자극이 흰쥐 dorsolateral periaqueductal gray (DL-PAG)에서 NOS 및 n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방법 : 흰쥐의 관절강내로 collagenase 용액을 주사하여 골관절염 모델을 만들고 정상군, 대조군 및 진범약침군으로 실험군을 분류한 후, nNOS(neuronal NOS)와 NOS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nNOS immunohistochemistry와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diaphorase(NADPH-d) 검사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골관절염이 유발된 흰쥐의 DL-PAG 영역에서 nNOS와 NOS의 발현억제가 관찰되었으며, 진범약침군이 collagenase로 유도된 골관절염에서 감소된 nNOS와 NOS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진범약침자극은 골관절염이 유발된 흰쥐의 DL-PAG에서의 nNOS와 NOS의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Polygoni Multiflori Radix on the Elastase, and Collagenase Activities and the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 Kim, Myung-Gyou;Leem, Kang-Hyun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2
    • /
    • 2014
  • Objectives : Polygoni Multiflori Radix (PMR), the roots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is used to nourish the blood and yin and used for preventing premature greying of the hair. There are some articles on its preventing effects on the melanogenesis. However, there is no report about its effects on the collagen and elasti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collagen metabolism and elastase activity. Methods : The effects of PMR on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in human normal fibroblasts Hs68 after UVB (312 nm) irradiation were measured by ELISA method. Cells were pretreated with the PMR for 24 hours prior to UVB irradiation. After UVB irradiation, cells were retreated with the sample and incubated for additional 24 hours. The amount of collagen type I was measured with a procollagen type I C-peptide assay kit. The activity of collagenase was measured with a MMP-1 human biotrak ELISA system. The elastase activities after treatment of PMR were measured as well. Results : In the present study, the collagen production was not increased. However, the increased collagenase activity after UVB damag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to $50.2{\pm}14.5%$, $8.2{\pm}3.1%$, and $10.0{\pm}3.3%$ (10, 30, and $100{\mu}g/ml$). The elastase activities (10, 100, and $1000{\mu}g/ml$) significantly reduced to $75.2{\pm}5.2%$, $40.3{\pm}1.2%$, and $27.0{\pm}1.9%$, respectively. Conclusion : PMR showed the inhibitory effects on collagenase and elastas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MR may have potential as an anti-aging ingredient in cosmetic herbal treatment.

침투성 상피암세포주와 비침투성 상피암세포주의 TGF alpha에 대한 반응의 차이 (Differential Responses to TGF Alpha in between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and Noninvasive One)

  • 손영숙;최명재;;정명희;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9-148
    • /
    • 1993
  • SCC 12와 SCC 13 세포주는 피부의 상피암 조직에서 유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배양으로 in vivo 피부의 거의 모든 특징들을 재현할 수 있는 raft 배양법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상피 암세포주의 진피 침투성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SCC 12 세포주의 raft 배양에서는, collagen matrix로 침투하는 많은 세포군들이 관찰되었고, 또한 기저세포와 유사한 세포들이 분화층 중간에 관찰되었다. 그러나 SCC 13 세포주의 raft 배양에서는 침투성 세포들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어떤 인자가 SCC 12 세포주의 침투성에 관여하였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이동 또는 matrix 파괴에 관여하는 각종 단백질 즉, type 1 collagenase, Fn, Fn 수용체와 EGF 수용체 등의 기본 생합성속도를 침투성과 비침투성 세포주에서 측정하였다. 그 중 type 1 collagenase의 생합성만이 침투성 세포주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침투성 SCC 12 세포주에서 관찰된 높은 type 1 collagenase 생합성과 이들 세포주의 침투성과의 연관관계 및 그 기작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 세포주에서 TGF alpha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비침투성 세포주에서는, TGF alpha에 의해 type 1 collagenase의 생합성이 처음 12시간 동안에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24시간부터 그 유도가 down-regulation되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침투성 세포는 TGF alpha에 의해 계속적인 type 1 collagenase의 유도를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EGF 수용체의 down-regulation으로 인해 type 1 collagenase의 down-regulation이 유도되고, 이와 같은 regulation의 결함으로 인해 SCC 12 세포주가 collagen matrix로 침투하는 현상을 나타낼 것으로 제시하였다.

  • PDF

화장품 개발을 위한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innaeus) 가지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 Cosmeceutical Development from Lagerstroemia indica L. Branch)

  • 이병근;김종협;함상경;이창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4
    • /
    • 2014
  • 배롱나무 가지가 기능성화장품 소재 및 천연물 의약품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해 보고자 그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 Nitrite 소거작용,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배롱나무 가지의 아세톤 추출물은 50 ppm에서 73%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A는 50 ppm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50 ppm에서 78% 이상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며 BHA의 경우 50 ppm에서 96% 이상 활성을 보여준다. Nitrite 소거작용 측정은 대조군인 합성항산화제 BHA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은 50 ppm의 저농도에서 63% 이상의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1000 ppm에서 73%의 활성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여 저농도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대조군인 천연물 (-)-epigallo-catechin-3-gallate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collagen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50ppm의 저농도에서도 85% 이상의 높은 collagen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대조군인 인공 합성 항산화제인 BHA와 비교하여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작용 그리고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산업 및 천연물 의약품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적합한 천연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흑효모를 이용한 참도박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티로시나제 및 콜라게나제 저해효과 (Evaluation of Antioxidant, Tyrosin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of Grateloupia elliptica Extracts after 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ation)

  • 부반빈;이경은;강상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
    • /
    • 2020
  • 연구에서는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를 이용한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발효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및 발효하지 않은 참도박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과 항산화, 티로시나제와 콜라게나제 저해효과,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흑효모 발효 참도박 추출물과 참도박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발효에 관계없이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시료 중 참도박 발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참도박 발효 에탄올 추출물(GEFEE)이 9.8%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모든 추출물에서 10%이하의 낮은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발효와 관계없이 열수추출물에서는 collagenase 저해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collage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참도박 발효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0 ㎍/mL에서 50.3%의 시료 중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인간세포(HaCaT, keratinocytes)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참도박 및 참도박 발효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증식률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다. 모든 시료 중 참도박 발효 에탄올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참도박 발효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 화장품의 생리활성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Rat Model에서 Thermal Hyperalgesia에 대한 전침(電鍼)의 진통효과(鎭痛效果) 및 기전연구: Adrenergic Mechanism에 대(對)한 연구(硏究) (The Analgesic Effect and the Mechanism of Electroacupuncture on Thermal Hyperalgesia in the Rat Model of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Mediation by Adrenergic Receptors)

  • 서병관;박동석;백용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57-67
    • /
    • 2011
  • 목적 : Collagenase-induced osteoarthritis(OA) 동물 모델에서 전침의 adrenergic mechanism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Collagenase-induced arthritis(CIA)를 유발하기 위하여 5주령의 male Sprague-Dawley rat의 뒷다리 좌측 무릎 관절에 0.05ml의 4mg/ml collagenase solution을 intra-articular 주입하고, 다시 4일 후에 같은 부위에 같은 농도의 collagenase solution을 intra-articular boosting injection 시행한 뒤, gross, histopathological features 및 biomarker activity 변화를 관찰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CIA rat model에서 진통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한, 족삼리(足三里) ($ST_{36}$)에 대한 저빈도 train pulse EA stimulation (2Hz, 0.07 mA, 0.3ms)을 침치료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전침의 진통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1$-adrenergic antagonist (prazosin, 1 mg/kg, i.p.), ${\alpha}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yohimbine, 2mg/kg, i.p.), ${\alpha}1$-adrenergic receptor agonist(phenylephrine, 2mg/kg, i.p.), ${\alpha}2$-adrenergic receptor agonist(clonidine, $40{\mu}g$/kg, i.p.)을 전침시행 20분 전에 복강 내로 전처치하였다. Tail flick unit(Ugo Basile Model 7360)을 이용하여 열자극에 대한 통증역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 퇴행성관절염 징후(gross, histopathological features)와 통증역치의 변화가 최대값을 나타내는 CIA 유발 4주차에 저빈도 전침자극(train pulse, 2Hz, 0.07mA, 0.3ms)을 족삼리($ST_{36}$)에 적용하였으며, 족삼리 전침의 진통효과는 ${\alpha}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yohimbine, 2mg/kg, i.p.)전처치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alpha}1$-adrenergic antagonist(prazosin, 1 mg/kg, i.p.)전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또 ${\alpha}2$-adrenergic receptor agonist(clonidine, $40{\mu}g$/kg, i.p.)의 전처치를 통하여 유의한 synergistic analgesic effect가 관찰되었으나, ${\alpha}1$-adrenergic receptor agonist(phenylephrine, 2mg/kg, i.p.)의 전처치는 전침의 진통효과에 synergistic effect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저빈도 족삼리 전침은 CIA로 유발된 염증성 통증에 대하여 진통효과를 발휘하며, 이는 ${\alpha}2$-adrenergic receptor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보이며 ${\alpha}1$-adrenergic receptor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 (Anti-Melanogenesis and Anti-Wrinkle Effects of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s)

  • 박원민;김꽃봉우리;김민지;박지혜;배난영;박선희;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25
    • /
    • 2016
  •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1.20 mg/g 및 11.70 mg/g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 모두 0.5 mg/ml 농도에서 83.68% 및 79%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금속봉쇄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높게 나왔으나 대조구인 EDTA보다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1 mg/ml 농도에서 80% 이상으로 높은 효소 저해능을 보였다. 따라서, 잔가시 모자반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능,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나 피부 노화 억제를 위한 소재로서 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의 cytokine이 사람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prostaglandine $E_2$, leukotriene $B_4$ 및 collagenas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CYTOKINES ON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 $E_2$, LEUKOTRIENE $B_4$ AND COLLAGENASE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IN VITRO)

  • 김정호;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71-883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study possible roles of $interleukin-1\beta$,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bone remodeling by measuring their effects on $PGE_2,\; LTB_4$ and collagenase production when they were administered to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were collected from first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y were incubated in the environment of $37^{\circ}C,\;5\%\;Co^2,\;and\;100\%$ humidity. They were treated with $0.25\%$ trypsin-EDTA solution and centrifuged. PDL cells in the fifth to seventh passage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Cells were seeded onto the culture dishes and when they were successfully attached, human recombinant $interleukin-1\beta$,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were administered, alone or in combination. They were incubated for 4, 8 and 24 hours and the levels of $PGE_2,\;LTB_4$ and collagenase released into the culture media were assessed by enzymeimmunoassay and collagenase activity assa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L-1\beta\;and\;TNF-\alpha$ were very active in stimulating the production of $PGE_2$ and collagenase by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while IL-6 increased $LTB_4$ production. 2. $IL-1\beta$ significantly increased $PGE_2$, but $LTB_4$ Production was not increased. $IL-1\beta$ is thought to act mainly via the cyclooxygenase pathway of arachidonic acid metabolism. 3. IL-6 tended to inhibit $IL-1\beta$ in the production of $PGE_2$ and collagense whereas IL-6 and $TNF-\alpha$ showed auditive effect in the level of $PGE_2$. The above cytokines increased the release of at least one of $PGE_2,\;LTB_4$ and collagenase. It suggests that cytokines are involved in bone remodeling process by stimulating PDL fibroblasts to produce various bone-resorptive agents. The roles of cytokines in bone remodeling as a whole would need further study.

  • PDF

Collagenase와 esterase가 상아질 접착강도와 nanoleakag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AGENASE AND ESTERASE ON DENTIN BOND STRENGTH AND NANOLEAKAGE)

  • 정영정;한세현;김종철;이상훈;김정욱;김영재;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89-398
    • /
    • 2008
  •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계면에서 collagenase와 esterase가 접착강도와 극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발치된 치아의 교합면 상아질에 Single Bond 2(SB)와 Clearfil SE bond(SE)를 사용하여 상아질-레진 접착시편을 제작하고, 시편을 인산완충용액(PBS)에 24시간(I), 또는 PBS(II), collagenase 용액(III), esterase 용액(IV)에 4주간 보관 한 후 질산은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시편의 미세인장접착강도(${\mu}TBS$)와 질산은 침투 면적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B군의 접착강도가 $II{\sim}IV$군에서 SE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SB군은 $II{\sim}IV$군의 접착강도가 I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나(p<0.05), SE군의 접착강도는 $I{\sim}IV$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SB군의 질산은 침투 면적이 SE군에 비해 높았으며(p<0.05), SB군과 SE군에서 질산은 침투 면적은 $I{\sim}IV$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접착강도와 질산은 침투 면적은 SE군의 I, II, III군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