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ix lacryma-jobi L.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3초

노루궁뎅이균사발효 율무 열수추출물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in hot water extract from fermented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by Hericium erinaceum (Bull. : Fr.))

  • 윤경원;김경제;진성우;고영우;임승빈;하늘이;정희경;정상욱;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28
    • /
    • 2020
  • 노루궁뎅이균사로 발효한 율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NO 생성저해, tyrosinase 합성 억제, melanin 생성 저해 및 유용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열수추출물의 ergosterol 함량은 740.2 mg%으로 나타났으며, 원료로 사용한 율무 열수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의 β-glucan 함량은 245.3 ± 5.1 mg%으로 나타났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은 100%, 104.1%, 107.2%, 105.3%, 102.1%, 101.3%, 100.4%의 세포생존율이 측정되어, 율무열수추출물보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B16F10 cell 500 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은 8.9 μM의 NO 생성율을 보여, 율무 추출물(10.6 uM)의 NO생성율 보다 낮은 NO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10, 30, 50, 100, 200, 300 및 500 mg/mL 모든 농도에서 율무 열수추출물보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이 유의적으로 tyrosinase 및 melanin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에 따른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결과 노루궁뎅이 균사발효 율무열수추출물이 율무 열수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노루궁뎅이균사발효 율무열수추출물은 기능성식품 원료와 식품 첨가물,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율무 새싹 추출물의 Riboflavin과 Coixol의 동시 분석법 검증 및 항산화 활성 (Validation of a Method and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iboflavin and Coixol in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Sprouts)

  • 이지연;박정용;박춘근;김동휘;지윤정;최수지;오명원;황호섭;이윤지;정진태;이정훈;서경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452-458
    • /
    • 2019
  • 율무 새싹 추출물의 riboflavin과 coixol의 원료표준화를 위한 동시분석 조건을 검증하고, 율무 새싹의 전초와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함량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1. HPLC 분석을 위한 riboflavin과 coixol의 피크가 각각 분리되어 특이성을 확인하였고, 일내 및 일간 정확성은 모두 회수율이 100.28%에서 103.98% 사이이며 정밀성은 모두 1.93%이하를 나타내므로 본 실험의 분석조건은 높은 정확성과 정밀성을 가지고 있다. 2. Riboflavin과 coixol의 동시분석 조건의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를 조사한 결과 검출한계는 0.71 및 0.31 ㎍/mL, 정량한계는 2.71 및 0.94 ㎍/mL이므로 확립된 HPLC 분석조건은 riboflavin과 coixol의 동시분석하기에 무리가 없는 분석법으로 조사되었다. 3. 율무 새싹의 전초와 잎의 riboflavin과 coixol의 함량을 본 연구에서 얻어진 동시분석법을 적용하여 잎의 환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4. 항산화 활성 측정 시, DPPH와 ABTS+ 소거능에서 모두 율무 새싹의 전초보다 잎에서, 상온 추출보다 환류 추출이 더 낮은 IC50값을 나타내었다. 율무 새싹 추출물의 riboflavin과 coixol 및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coixol이 증가할수록 DPPH와 ABTS+ 소거능의 IC50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므로 원료표준화 지표뿐만 아니라 기능성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율무 재배(栽培)에 대(對)한 삼요소(三要素) 시비적량시험(施肥適量試驗) (Study on the Optimum Rate of N. P. K Fertilizers for Pearl Barley(Coix Lacryma-Jobi L.))

  • 조진기;장남일;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5-250
    • /
    • 1976
  • 율무의 재배(裁培)에서 시비량(施肥量)을 결정(決定)하는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기 위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N, $P_2O_5$, $K_2O$, 를 0-0-0, 6-3-3, 12-6-6 및 18-9-9kg/10a로 증가(增加)시킬 때 율무의 수량(收量)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했다. 2. NPK 중 다른 두 성분의 수준(水準)을 제삼수준(第三水準), 즉 N는 12kg/10a, $P_2O_5$$K_2O$는 6kg/10a로 고정(固定) 시키고 비료(肥料) 수준별(水準別) 수량(收量)을 보면 NPK의 제삼수준(第三水準)(N는 12kg/10a, $P_2O_5$$K_2O$는 6kg/10a)에서 최고(最高) 수량(收量)이 되고 그 이상(以上)에서는 수량(收量)이 감소(減少)했다. 3. 따라서 본시험(本試驗)만으로는 율무의 삼요소적량(三要素適量)을 지적(指摘)해 낼 수 없어 시비량(施肥量)을 늘려 새로운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할 필요(必要)가 있다. 그러나 본시험(本試驗)에 쓰인 것과 유사(類似)한 토양(土壤)에서는 N, $P_2O_5$, $K_2O$를 18-9-9 kg/10a 이상(以上) 시용(施用)해도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식물체(植物體)의 N와 K의 흡수면(吸收面)에서는 두 성분(成分) 간(間)에 배항작용(培抗作用)이 있음이 관찰(觀察)됐다.

  • PDF

질소시비수준과 시비방법이 율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Levels and Treatment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Job's Tears(Coix lacryma-Jobi L.))

  • 권병선;박희진;성낙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13-418
    • /
    • 1992
  • 질소시비수준과 추비방법이 율무의 생육과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애원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비량과, 추비 횟수가 증가할수록 초장, 엽수, 주당경수, 정립비율, 1$\ell$중, 100립중, 10a당 종실중의 수량형질은 질소 14kg / 10a의 적은 량을 기비로 40%, 1차 추비로 30%, 2차 추비로 20%, 그리고 3차로 10%를 시용했거나 180kg / 10a의 많은 량을 전량기비로 시용했을 때 모두 높게 나타났다. 3. 분산분석에서도 시비량간, 시비방법간, 시비량과 시비방법간의 교호작용에서도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 PDF

국내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 추출물이 벼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Native Plant Resources and Medicinal Plants on Early Seedling Growth of Rice(Oryza sativa L.))

  • 지기수;김용훈;박지성;김건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21-334
    • /
    • 2014
  • 국내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들의 식물 생장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4종 65점의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벼(Oryza sativa)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1종 12점의 쑥(Artemisia princeps) 경엽,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전초,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가지와 잎, 갈대(Phragmites communis) 줄기, 율무(Coix lacrymajobi var. mayuen) 전초, 싸리(Lespedeza bicolor) 가지와 잎, 산수국(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전초, 속단(Phlomis umbrosa) 전초,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근경, 감초(G. uralensis) 경엽, 당귀(Angelica gigas) 뿌리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근경 추출물은 벼 유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에 따라 상기 식물 종의 부위들은 식물 생장촉진용 농가 자가제조 액비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활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율무 잎마름병과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Effects of Seed Disinfectant Treatments on Leaf Blight and Smut Disease in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장석원;김희동;전대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9-82
    • /
    • 2000
  • 본 연구는 율무 주산단지인 연천지역에서 율무 종자전염병인 잎마름병 및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 실태와 종자소독제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율무의 잎마름병 종자감염율은 연천지역 농가에서 수집한 종자를 검사한 결과 $32.7{\sim}45.7%$였으며, 율무종자 소독기간은 율무 1호가 $0{\sim}7$일, 연천 재래종이 $0{\sim}20$일이었다. 농가별 종자소독기간 분포 비율은 무소독 20%, $1{\sim}5$일 20%, $6{\sim}10$일 55% 그리고 11일 이상이 15%였다. 종자소독처리제인 후루디옥소닐종자처리액상수화제의 잎마름병에 대한 종자소독효과는 97%,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효과는 93.4% 로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 PDF

율무의 조명나방 방제체계 (Control System of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enee) in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장성원;김희동;강창성;김성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4-78
    • /
    • 2000
  • 본 연구는 율무 주산단지인 경기도 북부의 연천 지역에서 율무에 크게 피해를 주는 조명나방에 대한 발생 생태 조사 및 방제적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율무 조명나방은 연천지역에서 성충 발생은 년간 $2{\sim}3$ 회였고 1, 2, 3 화기 발생최성기는 각각 5월 하순${\sim}$6월 중순, 7월 하순${\sim}$8월 상순, 8월 하순이었으며, 율무 조명나방에 의한 줄기 피해는 $7{\sim}8$월부터 시작하여 10월에 가장 심하였다. 조병나방에 대한 방제약제는 할로스린유제가 93.9%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효과적 방제적기는 할로스린유제를 7 월하순 fb 8 월 상순 , 8월상순 fb 8월 중순 2회 처리시 방제가가 92.4, 93.5% 로 높았으며 10a당 수량은 무처리구 216kg에 비하여 각각 81%, 82% 증수하였다.

  • PDF

신개간지에서 삼요소와 토양개량제 시용방법이 율무수량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Application Methods of NPK Fertilizer and Ameliorator on Job′s Tears(Coix Lacryma-Jobi L.) Yield and Soil Properties at Newly-reclaimed Land)

  • 허봉구;한영희;김주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79
    • /
    • 1994
  • 신개간지에서 삼요소비료시용시 몇가지 물리화학적인 개량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율무재배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신개간지에서 율무를 1985년부터 4년간 재배하면서 율무에 대한 삼요소의 수량반응과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율무의 초장은 종합개량처리구에서 가장 컸는데 2년차까지는 컸으나 3년차부터는 작아졌다. 2. 율무수량은 종합개량처리가 평균 2.16 t/ha로 가장 많고 삼요소 시용 대조구에 비하여 49% 증수되었으며 다른 처리구의 수량은 심경구>인산구>석회구>퇴비구>대조구 순으로 많았다. 3. 토양의 용적밀도나 경도는 표토에서 3년차까지 계속 낮아지다가 개량제 시용이 없었던 4년차에는 높아졌다. 토양산도는 토심이나 년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HDDM, a formula consisting of seven herbs, had anti-diabetic but no immunomodulatory activities in multiple low doses of streptozotocin-treated female of B6C3F1 mice

  • Zheng, Jian Feng;Guo, Tai L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1호
    • /
    • pp.20-38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rb formula HDDM, a modification of Huangdan decoction tha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glomerulonephritis and chronic renal failure, on the blood glucose levels in multiple low doses (MLD; 50 mg/kg for five consecutive days) of streptozotocin (STZ)-treated female B6C3F1 mice. Initial studies were performed to compare diabetes induction in five strains (e.g., B6C3F1, NOD, CD-1, C3H/HeN and C57BL/6) of mice by MLD-STZ, and immune changes following the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rder of susceptibility to diabetes induction was NOD $\approx$ CD-1 > B6C3F1 $\approx$ C3H > C57BL/6. Furthermore, STZ modulation of T cell development, differentiation and activation might play a role in diabetes induction by MLD-STZ treatment. MLD-STZ-induced diabetes in female B6C3F1 mice was moderate, which allowed the evaluation of drug-induced protection or exacerbation of diabetes to be performed. As such, modulation of blood glucose by HDDM, which consisted of Da Huang (Radix Et Rhizoma Rhei), Huang Qi (Radix Astragali Seu Hedysari), Dan Shen (Radix Salviae Miltiorrhizae), Yin Yang Huo (Herba Epimedii), Yi Yi Ren (Semen Coicis or Coix lacryma-jobi), Mai Dong (Radix Ophiopogonis) and Shan Zhu Yu (Fructus Corni), was evaluated in MLD-STZ-treated female B6C3F1 mice. The results suggested that HDDM could lower the blood glucose levels, but it had no immunomodulatory activities. Additionally, HDDM-treated mice exhibited improved glucose tolerance. In conclusion, thes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MLD-STZ-induced diabetes in female B6C3F1 mice is a useful model to evaluate drug modulation of diabetes, and that the herb formula HDDM possesses anti-diabetic effects.

항비만소재의 lipoprotein lipase 억제 작용 연구 (Study of Lipoprotein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Anti-obesity Herb Extracts)

  • 이성미;강윤환;김경곤;김태우;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46-253
    • /
    • 2015
  • 본 연구에는 항비만소재로 연구되어진 11종의 소재를 대상으로 lipoprotein lipase (LPL)의 억제효능을 확인하고자 배양배지내 LPL의 함량과 LPL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T3-L1 adipocyte에서 LPL의 분비를 억제하는 소재로 능이추출물(NE)을 선택할 수 있었다. 선택된 NE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16.61{\pm}0.44mg/g$$6.58{\pm}0.01mg/g$이 각각 확인되었다. NE의 LPL 분비억제기작을 확인하기위해 먼저 세포내 LPL단백질의 함량과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함량이 감소했던 배양배지와는 다르게 NE를 처리한 3T3-L1 adipocyte의 세포내 LPL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RNA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LPL 단백질의 exocytosis에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유추하고 다양한 단백질 이동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L의 이동과 분해에 관여하여 세포내 LPL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orL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과 nuclear로의 이동에 NE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NE를 처리함으로써 SorLA promoter에 작용하는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이 nuclear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NE가 SorLA 유전자의 transcription factor인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을 nuclear에서 증가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LPL의 분비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NE의 항비만 효과기전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