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ism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42초

The Effect of Applying Learning Theory to Horticultural Therapy on Improving Personal Relationships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Jang, Iee-Hwa;Han, Kyung-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23-532
    • /
    • 2018
  • In order to actively apply horticultural therapy to vocational education base schools, this study applied the learning theories based on behaviorism, cognitivism, and constructivism to improve the vocational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in total 12 sessions with three groups composed of 20 students each: 20 in the control group,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normal horticultural program, and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hich applied the learning theories based on behaviorism, cognitivism, and constructivism.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12.0 using the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evaluation tool. The study found that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within each group. However, in the post test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ith normal horticultural program (p=.82),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ith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pplying the learning theories based on behaviorism, cognitivism (p=.03). This prov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pplying the learning theories based on behaviorism, cognitivism is effective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Ultimately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mproved and applied as a learning method contributing to developing the basic vocational skill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 Analysis of the Influence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Theories on Mathematics Education

  • Pang, Jeong Su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293-307
    • /
    • 2004
  • Psychological and social theories have influenced on making sens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This paper analyzes major influences of such theories - behaviorism cognitivism, and situativity - on mathematics education. Instead of reviewing the theories perse, it intends to explicate how different perspectives have shaped our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education both in theory and in practice. Given that the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ideas are theoretically based on the constructivist and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e main focus is given on cognitivism, situativity, and various coordinations between the two. Exploring about psychological and social theories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education is expecte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of where we have come from and where we are going.

  • PDF

수학학습심리학과 구성주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psych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 김창일;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43-260
    • /
    • 2022
  • 본 글은 수학교육 지식체계의 교육적 배경이 되는 행동주의, 인지주의 중심의 수학학습심리학과 구성주의에 대한 세 가지 관점의 문헌 연구이다. 첫 번째는 수학교육과 학습심리학의 관계를 시대적 흐름으로 따라가 보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학교수학에 대한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의 입장을 들여다보았으며, 세 번째는 학습이론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수학학습심리학과 구성주의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수학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기능성 게임의 교육학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dagogical Elements of Serious Game)

  • 하수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77-168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하수철[2, 3]의 연구인 기능성 게임의 교육학적 분석을 통해 얻은 사항과 행동주의(behaviorism), 인지주의(cognitivism), 구성주의(constructivism),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 및 다른 이론 등의 학습 이론과 결합을 시도하였다. 또 앞서의 연구를 기초로 삼고, 학습 이론을 이용한 모델 및 다른 연구 등으로부터의 이론과 연구를 근거로 하여 기능성 게임의 교육학적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 이 제안 요소들을 기능성 게임인 GSS(Global Startup Simulation)에 대한 사례 연구를 하였고, 이를 통해 학습을 하는 학습자의 설문 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교육공학의 패러다임 분석에 기초한 가정과 교육의 컴퓨터 보조수업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in Home Economcis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The Paradigms In Educational Technology)

  • 윤지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5-11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1) to analysis the Paradigm’s changes in Educational Technology, (2) to examine its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E.E.), especially the researches about CAI in H.E.E. and (3) to propose the ideal pract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E.E. As results, the paradigms of Educational Technology have been changed from media-centered to human-centered, and from objectivism(behaviorism and cognitivism) to constructivism. Related on Educational Technology, there have been six conceptual distortions or confusions in H.E.E. The Analyzed seven previous works on CAI in H.E.E. show the traditions of the Objectivism. And suggestions for ideal pract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E.E. are presented.

  • PDF

쓰기이론과 쓰기지식에 기초한 한국어 쓰기교재 분석 (Analysi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Based on the Rationale and Knowledges for Writing)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24-3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쓰기교육 이론에 비추어 한국어 쓰기교재의 위치와 특징을 점검하고 그 이론에 바탕을 두고 쓰기지식 구성활동을 살펴보아 추후 교재개발에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쓰기교재 4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텍스트 질적 분석을 통해 자료수집, 개방코딩, 심층코딩, 표현과 제시 등의 절차를 통해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형식주의,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의 이론이 교재에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언어 구조지식, 과정지식, 맥락지식, 내용지식의 네 차원에서 교재의 언어활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특별히 내용지식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단원의 조직에서 나타난 이론적 배경과 내부 구성 및 내용은 일치하지 않았다. 네 가지 쓰기지식 역시 각 교재에 모두 반영되어 있었으나 강조점과 비중의 차이는 있었다. 나아가 본고는 내용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 교재를 드러내고 이러한 교재가 사회구성주의 쓰기교재로서 바람직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쓰기교재 개발과 선택에 참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Business Model in e-Learning Industry in Iran

  • Salehinejad, Abbas;Samizadeh, Reza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7권4호
    • /
    • pp.17-25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framework for determining the most appropriate business model for e-learn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Electronics Branch of Azad University has been elected as a case study in this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using a descriptive method. The information was obtained using interviews with experts including managers, faculty and students at the Electronics Branch of Azad University. Results - Three service-product system (product oriented system, use an oriented and result oriented system) approaches determined a framework for the formation of a portfolio. This portfolio is including three types of e-learning business models. Examining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correspondence of behaviorism learning theory with a product-oriented approach, correspondence of cognitivism theory with a user-oriented approach and in finally match correspondence of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with a results-oriented approach which is evident. Conclusions -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fields of e-learning, business model and product - service systems, we have achieved three types of e-learning business models. Then the variables in any of the business models were defined by using business model canvas tool and thus a portfolio consisting of three types of e-learning business model canvas was obtained.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양식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attribution style of individual economic success)

  • 김윤식;양해술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41-552
    • /
    • 2012
  • 본 연구는 귀인이론을 기반으로 사람들이 개인의 경제적 성공과 관련하여 어떠한 귀인양식을 보이는지 고찰하는 실증연구이다. 먼저 귀인이론의 이론적 고찰 및 귀인양식 관련 선행연구 분석에 의한 논거를 토대로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양식 고찰'이라는 연구논제를 정립하였다. 이러한 연구논제를 실증적 방법으로 고찰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238명(연령대/성별 할당표본추출)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요인에 대해, 보유자산 10억원 미만 사람들은 태생적 환경조건 72.1%, 노력 18.0%로 나타나고, 보유자산 30억원 이상 사람들은 태생적 환경조건 12.0%, 노력 48.0%로 나타났다. 이러한 귀인양식을 Weiner(1979)가 주장한 귀인이론의 원인지각 측면에서 해석해 보면, 개인의 경제적 성공을 성취하는 원인에 대해 보유자산이 적은 사람은 태생적 환경조건 탓으로 돌리고, 보유자산이 많은 사람은 노력 덕분이라고 믿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 PDF

학습이론에 기초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Developing a Tool for Observing Instructions based on Learning Theory)

  • 강신천;박정애;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5-278
    • /
    • 2013
  • 현장 교사라면 누구나 수업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구현되고 학습이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갖고 있다. 이 연구는 수업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학습자가 학습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학습이론에 기초하여 수업을 관찰 분석하는 대안적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도구를 시범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학습이론에 기초한 채(필터: Filter)에 걸렀을 때, 학습 이론적 관점에서 어떤 해석이 가능하며 이는 교사의 수업 개선을 위해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최근 다양한 학습이론이 연구되어졌고 이와 관련된 이론이 축적되어 있다. 이들 이론 중 행동주의, 인지주의 그리고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수업에 제공하는 시사점에 기초하여 수업관찰 및 분석을 위한 대안적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시범 적용하여 수업을 관찰 분석하였다. 개발된 도구가 현장의 수업 개선과 수업에서 학습을 고려하는 교사의 인식 전환을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