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만성불면증 환자에게 적용한 단기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Effects of the Abbreviat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Chronic Insomniacs)

  • 최수정;이영희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9-31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 the effects of the Abbreviat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ACBT) on chronic insomnia. Methods: Study was one-group interrupted time series study that involved 13 adults(mean age=51.7, aged 25-77 years) with chronic primary insomnia who visited sleep disorder clinic of S Hospital from November 2004 to October 2005. The subjects received 2-session individual ACBT with 2 week-interval($1^{st}$: 1.5- 2hrs, $2^{nd}$: 20-30min). To measure the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and sleep patterns, 3 times of insomnia severity index and sleep logs were completed(before ACBT, after ACBT, and 3-month after ACBT). The main outcomes were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and sleep patterns(sleep onset latency, waking after sleep onset, and total sleep time, sleep efficienc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version program by Friedman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insomnia severity index, sleep onset latency, and waking after sleep onset, and increase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Conclusion: ACBT was effective in reducing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and improving sleep patterns. Sleep improvement was better sustained over time with ACBT.

  • PDF

불면증 디지털 치료제의 임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 조철현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1호
    • /
    • pp.6-12
    • /
    • 2021
  • Insomnia is one of the most common sleep disorders experienced by modern people, and treatment is often not adequate due to various limitations.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are expected to play a revolutionary role in supplementing and satisfying unmet needs in real-world clinical treatment.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were developed based 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which is the first standard treatment for insomnia.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developed by several companies has been proven through well-designed clinical research.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us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Thus far, meaningful results have been drawn, but there are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upon based on real-world evidence. Sleep researchers need to validate the safe and effective application of digital therapeutics for the treatment of insomnia.

마음챙김명상과 불면증 (Mindfulness-Based Therapy for Insomnia)

  • 이화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1호
    • /
    • pp.13-17
    • /
    • 2021
  • Sleep disturbance is a common health complaint affecting an estimated 10-25% of the general population. Pharmacotherapy is a traditional treatment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well demonstrated as an efficacious treatment for insomnia.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 meditation for sleep disturbed populations. Mindfulness involves focused, purposeful, nonjudgmental attention to a particular idea. In clinical application of mindfulness practice,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re used widely. Clinical trial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meditation for the treatment of insomnia.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insomnia.

일차성 및 이차성 불면증 환자에서의 개별 인지행동치료의 임상적 효능 (Clinical Efficacy of Individu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tients with Primary or Secondary Insomnia)

  • 신윤미;차보석;임채미;신홍범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1호
    • /
    • pp.34-40
    • /
    • 2010
  • 목 적: 본 연구는 일차성 및 이차성 불면증 환자에서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이하 CBT)의 임상적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일차의료기관 수면클리닉에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64명의 외래 환자가 모집되었으며, DSM-IV에 의거하여 진단 된 일차성 불면증 환자는 30명, 이차성 불면증 환자는 34명이었다. 환자들은 CBT 전후로 수면 일지,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및 태도 척도(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Scale-16, 이하 DBAS) 및 상태-특성 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이하 STAI)를 각각 시행하였다. CBT는 1주 간격으로 7회, 1회당 40~50분 동안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결 과: 일차성, 이차성 불면증 환자군 모두 입면 잠복기, 총 수면 시간, 수면 효율과 같은 수면 지표와 DBAS 점수의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는 두 군간에 시간에 따른 DBAS와 수면 지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차성 불면증에서의 CBT의 효과는 일차성 불면증에서의 효과와 동등하였다. 결 론: 이번 연구는 CBT가 일차의료 환경에서 일차성 및 이차성 불면증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만성 일차성 불면증 환자에게 적용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rimary Insomnia: A Meta-analysis)

  • 김지현;오복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07-421
    • /
    • 2016
  • 본 연구는 만성 일차성 불면증 환자에게 적용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16개의 논문을 메타분석한 것이다.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INAHL와 여러 개의 국내 데이타 베이스를 통해 2015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자료검색이 이루어졌다. 주요 검색전략은 인지행동중재와 불면증을 병합하여 이루어졌다. 논문의 방법론적 질 평가는 코크란의 RoB(The Cochrane's Risk of Bias)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Cochrane Library의 RevMan 5.3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16편의 논문, 1503명의 대상자가 선정기준에 부합되었다. 자극조절요법, 수면제한법, 수면위생교육과 인지적 재구성이 인지행동중재의 주요 치료적 구성요소였다. 인지행동 중재의 적용 주수는 평균 5.4주, 적용횟수 평균 5.5회, 1회 평균 중재시간 90분으로 조사되었다. 인지행동중재의 효과는 총 수면시간(d=-0.31), 수면 잠복기(d=-0.29), 입면 후 각성시간(d=-0.55), 수면효율성(d=-0.70), 불면증 심각성(d=-0.77)과 수면에 대한 신념 및 태도(d=-0.64)에 유의하였다. 전반적으로 작은 효과크기에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인지행동중재는 불안(d=-0.30)과 우울(d=-0.35)에도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행동중재가 불면증이 있는 환자들의 수면의 질과 수면시간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피해자를 돕기 위한 온라인 기반 외상-초점 인지행동치료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Introduction to Online Based Trauma-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Education Program for Helping Sexually Abused People)

  • 조영성;송지연;이준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9-85
    • /
    • 2016
  • Sexually abused victims suffer not only physical damage, but they may also experience an array of additional problems ranging from acute fear, depressed mood, anxiety, shame, or insomnia to long-term psychiatric disorders. Trauma 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F-CBT) is known to have excellent therapeutic effects for trauma victims including victims of sexual violence. CBT treatment includes stress immunity training, relaxation training, an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 foreign countries TF-CBT is carried out online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apeutic accessibility for the victim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rview for the therapists. As a result, those victims who have difficulties in requesting external help, who live in remote areas, or who have limited time may now have access to the service and benefit from the online education programs. A website providing an online based TF-CBT program was initiated in Korea also. Through the website, victims and their guardians may obtain therapeutic in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face-to-face meetings with therapists. Our goal is to create a system with this website which will provide therapeutic assistance to sexual violence victi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unseling provided by the therapist.

  • PDF

수면장애에 대한 인지행동 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개관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Sleep Disorder: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

  • 이장원;여진주;김경식;현민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5-91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overview was to summarize the evidence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for sleep disorders through systematic reviews (SRs) and meta-analyses (MAs). Methods: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protocol (reviewregistry1320).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three databases (Pubmed,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and Web of Science) and three Korean databases (KoreaMed, KMbase, and ScienceON). Final studies were selected by three authors according to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data needed for analysis were extracted by a pre-planned extraction framework.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 was assessed using the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2 (AMSTAR2)'. Results: Fourteen SRs and MAs were included, of which eleven SRs were performed MAs. Twelve studies studied insomnia among sleep disorders, and the rest are nightmares and sleep disturbances with PTSD. Ten studies reported the effect of CBT on sleep disorders measured by insomnia severity index (ISI) and sleep onset latency (SOL), and all repor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Eight studies reported the effect of CBT on sleep disorders measured by wake time after sleep onset (WASO), and seven studies repor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evaluated with AMSTAR 2 was mainly low or very low because of omission of protocol registration and excluded study list. Conclusions: Practical guidelines and studies show that CBT is effective for sleep disorders, but access to CBT needs to be improved.

신경인지장애의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비약물학적 개입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Neurocognitive Disorder)

  • 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23
  • 신경인지장애 환자들은 인지저하 뿐만 아니라 초조, 공격성, 우울, 배회 등의 정신행동증상들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환자와 가족이 상당한 고통을 받게 된다. 정신행동증상의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 중심의, 비약물학적인 치료가 우선되어야한다. 본 논문은 신경인지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신행동증상을 관리하고 치료하기 위한 비약물학적인 개입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초조, 우울, 무감동, 불면, 배회 등의 정신행동증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 약물 등의 유발 인자를 파악하고 평가한 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비약물학적인 개입 방법으로는 안심시키기, 활동 격려하기, 주의를 분산시키기, 환경을 변화시키기 등을 들 수 있다. 환자의 관점에서 행동을 이해하고, 그들의 요구와 능력에 맞게 접근해야한다. 비약물학적인 개입 방법으로 회상요법, 음악치료, 향기요법, 다중감각자극요법, 운동요법, 광선치료, 마사지 요법, 인지중재치료, 애완동물요법 등의 다양한 요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 방법이 환자의 우울, 무감동, 초조, 공격성, 불안, 배회, 불면 등의 증상을 호전시켜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효과에 대한 증거 수준이 높지 않아 향후에 좀 더 광범위하고 정확한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 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Brief Intervention for Insomnia o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 오의선;박경미;안석균;남궁기;심다혜;이은
    • 수면정신생리
    • /
    • 제25권2호
    • /
    • pp.74-81
    • /
    • 2018
  • 목 적 : 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동반되어 노인 인구의 불면증은 증가되는 추세이나 이로 인해 초래되는 개인 및 사회경제적 손실에 비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환자의 수는 많지 않다. 불면증 인지행동치료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차적인 치료로서 추천되고 있으나, 시간 및 경제적 제약, 인지적인 자원이 필요한 부담으로 인해 치료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된 실정이다.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이러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 법 : 2016년 5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서울 소재 3개의 노인 종합복지관을 방문한 65세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하는 노인들 47명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전, 후의 수면의 질을 측정하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수면 위생 척도, 정서 관련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기간 중 매일 수면 일지를 작성하도록 지시하였다. 임상적 효과는 치료 전후의 총 수면 시간, 수면 잠재기, 수면 후 각성 시간 및 수면 효율로 평가하였다. 치료 전, 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한 뒤, 치료 전보다 대상자들의 PSQI 총점이 감소하였으며 PSQI 로 측정한 주관적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치료 전후에 시행한 수면 일지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개운함 및 수면 후 각성 시간에 대해서 유의한 수준의 호전을 보였다. 결 론 : 개발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 노인의 불면증에 대해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에 비해 시간적, 인지적 자원 부담이 적음을 고려하였을 때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 내에서 노인 불면증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불면의 무작위임상시험 해외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 for Insomnia Using the Network Analysis)

  • 백영화;진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036-1047
    • /
    • 2013
  • 본 연구는 불면과 관련된 무작위임상시험의 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계열적 키워드 비교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Insomnia'와 'Randomized Clinical Trial'의 연관 키워드를 사용하여 ClinicalTrials의 379건, Web of Science의 132건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ClinicalTrials에서는 불면과 약물요법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요법, 우울 등의 키워드가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었다. WOS에서는 ClinicalTrials의 결과에 멜라토닌 키워드가 추가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자 중 특징적으로 노인과 여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