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Skill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2초

전래동화에 나타난 도덕적 갈등상황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of Discussion of Moral Conflicts Found in Traditional Fairy Tales)

  • 김명희;김영옥
    • 아동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9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n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of discussion with children of moral conflicts in traditional fairy tales. The subjects were forty 4-to 5-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discussion after hearing traditional fairy tales showing moral conflict, and the control group only listened to the fairy tales. Statistical analysis was by the SAS program. Conclusions were that discussion of moral conflicts found in traditional fairy tales brings about a positive result in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 PDF

Cognitive factor Affecting Elderly in Community

  • Lee, Hye-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50-15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gnition the elderly in communit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and visual perceptual skills of the elderly. The subject's cognitive skill was statistically higher for males by gender, for lower age group, and for higher level of education.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시험 결과의 분석 (Analysis of Test Result at Secondary Science Using Cognitive Diagnosis theory)

  • 김지영;김수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12-823
    • /
    • 2009
  • 본 연구는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하여 과학 시험 결과를 분석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 하에 실시되었다.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시험 문항을 개발하여 평가를 실시하였고, Fusion Model을 이용하여 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문항별로 학생들이 문항을 풀기 위해 숙달해야 할 속성을 판별하여 Q 행렬을 작성한 후 분석을 실시하여 속성에 대한 문항 모수의 수렴을 확인하고 학생 전체와 성별, 성취수준별로 숙달한 속성과 그 속성의 개수를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평가가 학생들의 성취도 총점만을 제공하는 반면 인지 진단 이론은 평가에서 측정된 과학적 속성의 숙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회상하기의 능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회상하기, 정보 해석하기, 계산하기 설명하기, 종합하기의 5개 속성 중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숙달한 속성은 정보 해석하기였으며 가장 적게 숙달한 속성은 종합하기였다. 분석 결과 얻어진 프로파일은 교사들에게 학생 개개인의 과학적 능력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이 결과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진단과 처방, 추후 학습 지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지과제분석(Cognitive Task Analysis)을 통한 항공교통관제사의 전문성 확인 (Exploring Air Traffic Controllers' Expertise through Cognitive Task Analysis)

  • 송창선;권혁진;김경태;김진하;이동식;손영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5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expertise in ait traffic control by using cognitive skill analysis for novices and experts in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The result of study was to understand expertise in air traffic control tasks in terms of what cognitive processes are responsible for the expert's high performance levels. The problem solving task was difficult for novices, but performed relatively automatically by experts in a routine situation. The difficulty could indicate the presence of controlled processing. Rather than rules and strategies, novices focused more on environmental factors, which merely increase cognitive load. In a non-routine situation, novices showed that they did not categorize the information consistently and alternative resources were not available for them. Experts, however, performed automatically a task by arranging and organizing information related to problem solving components in contexts without regard to a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 Especially experts developed a stable representation and directed alternative resources for air traffic flow and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cognitive processes of experts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expert performance and analyze the learning process, which imp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xpertise systematically.

수학 평가 결과의 분석을 위한 인지 진단 이론의 활용 (Using Cognitive Diagnosis Theory to Analyze the Test Results of Mathematics)

  • 김선희;김수진;송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59-277
    • /
    • 2008
  • 본 연구는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하여 수학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교수 학습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3{\sim}2006$년에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교 3학년 수학 검사에서 30개의 선다형 문항을 선정하여 검사지를 재구성하고 검사를 실시하였고 인지 진단 이론의 한 모형인 Fusion Model을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검사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숙달한 수학적 속성을 판별하고, 학생 전체와 성취수준별로 숙달한 속성과 그 속성의 개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 개개인의 수학적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 학생 개개인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진단과 처방, 추후 학습 지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폐쇄기술 스포츠의 인지불안과 수행력의 관계 : 메타분석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xiety and Performance in Closed Loop Skill Sports)

  • 강경두;정혜연;하은주;한덕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19-26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그 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폐쇄 기술 스포츠 종목의 인지불안과 경기 수행력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에서 분석된 선정 연구는 198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NAL) 등을 이용하였으며, 검색을 위한 주요 사용 단어는 '골프', '양궁', '사격', '불안', '수행력' 그리고 '경기력' 이었다. 결과 최종 선정된 연구는 총 10편이었다. 폐쇄 스포츠 종목 선수들의 인지불안은 수행력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ESr=-.198). 성별에 따른 메타분석 결과, 남자선수(r=-.31)가 여자선수(r=-.05)에 비해 더 많은 인지불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폐쇄스포츠 종목 선수들의 인지불안과 수행력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스포츠 선수의 심리적 측면과 관련된 향후 연구에서는 불안과 수행력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결과를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인지 능력이 훈련 및 전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gnitive Ability on Training and Transfer Performance)

  • 정홍천;이경수;이수지;장주영;이혜승;구자영;손영우
    • 인지과학
    • /
    • 제16권4호
    • /
    • pp.287-303
    • /
    • 2005
  • 이 논문은 훈련의 난이도가 인지 기술의 습득과 전이에 미치는 효과가 인지 능력 수준의 개인차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인지 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실험 참가자들을 각기 다른 수준의 인지 능력을 갖는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의 실험 참가자들 중 반은 난이도가 높은 과제를, 나머지 반은 난이도가 낮은 과제를 수행하는 훈련을 받은 후, 모든 실험 참가자들이 훈련 과정에서 경험하지 알은 새로운 전이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볼 때, 인지 능력 수준이 훈련 수행에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훈련의 난이도가 전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도 인지 능력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났다. 세 수준의 인지 능력 집단들 중 중간 수준의 집단이 훈련의 난이도에 따라 훈련 및 전이 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 결과들이 개인차와 기술 전이 수행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 PDF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 추수경;유장학;이정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1049-106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re were 21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among 40 senior residents in a Hall for the elderly in the city of S. The subjects scores ranged from 15 to 23 on the MMSE-K(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over age 65. The length of time for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as from Jun 26 to September 1, 2006. The cognitive behavior program consisted of 'Facing problem behavior', 'Searching for a coping skill', and 'Training in the coping skill'.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ifty minutes per session for six weeks. Result: Cognition(t=-4.232, p< .001) and IADL(t=-2.939, p< .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ontrol group(t=3.870, p< .01). However, ADL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cognition and IADL, and to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청소년들의 건강행태에 따른 라이프스킬(Life Skills) 수준 비교 (A Comparison of Life Skill's Levels of Adolescents by Health Behavior)

  • 이규영;송승훈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4-12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life skill's levels of adolescents. Methods: This was descriptive comparative survey using as convenience sample of 460,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e life skill was measured by life skill scale that 78 items regarding self esteem, social skill, decision making skill, and goal setting ski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mean,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WIN 20.0. Results: The family-related self-esteem was higher ($26.02{\pm}3.73$) than other self-esteem score. Low family-related self-esteem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 such as current drinking, accessing to pornography sites on internet in adolesc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s (cognitive, peer, family, body, general), decision making skill and goal-setting skil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program that focuses on enhancing family-related self-esteem to effectively reduce the risk behaviors among adolescents.

  • PDF

시각적 기술 학습과 전이에 미치는 개인차의 효과 (Individual Difference Effects on Perceptual Skill Learning and Transfer)

  • 노윤진;이희승;손영우
    • 인지과학
    • /
    • 제15권3호
    • /
    • pp.1-1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으로 자극이 제시되는 시각 구별 과제에서 개인차가 기술의 습득과 전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여기서는 개인 차이를 세 가지 측면에서 측정하였는데 인지 양식의 차이, 작업 기억 용량의 수준, 그리고 의사 결정 방식의 차이를 가지고 개인 차이를 분류하였다. 시각 구별 과제에서는 크게 훈련 과정과 전이 과정으로 나누어 훈련 과정의 난이도가 전이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는데, 특히 훈련 난이도는 인지 양식과 그리고 작업 기억 용량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전이 과제에서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시각 구별과 관련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개인차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