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Dysfunction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5초

A novel HDAC6 inhibitor, CKD-504, is effective in treating preclinical models of huntington's disease

  • Endan Li;Jiwoo Choi;Hye-Ri Sim;Jiyeon Kim;Jae Hyun Jun;Jangbeen Kyung;Nina Ha;Semi Kim;Keun Ho Ryu;Seung Soo Chung;Hyun Sook Kim;Sungsu Lee;Wongi Seol;Jihwan Song
    • BMB Reports
    • /
    • 제56권3호
    • /
    • pp.178-183
    • /
    • 2023
  • Huntington's disease (HD) is a neurodegenerative disorder, of which pathogenesis is caused by a polyglutamine expansion in the amino-terminus of huntingtin gene that resulted in the aggregation of mutant HTT proteins. HD i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motor dysfunction, cognitive impairment and neuropsychiatric disturbances. Histone deacetylase 6 (HDAC6), a microtubule-associated deacetylase, has been shown to induce transport- and release-defect phenotypes in HD models, whilst treatment with HDAC6 inhibitors ameliorates the phenotypic effects of HD by increasing the levels of α-tubulin acetylation, as well as decreasing the accumulation of mutant huntingtin (mHTT) aggregates, suggesting HDAC6 inhibitor as a HD therapeutics. In this study, we employed in vitro neural stem cell (NSC) model and in vivo YAC128 transgenic (TG) mouse model of HD to test the effect of a novel HDAC6 selective inhibitor, CKD-504, developed by Chong Kun Dang (CKD Pharmaceutical Corp., Korea). We found that treatment of CKD-504 increased tubulin acetylation, microtubule stabilization, axonal transport, and the decrease of mutant huntingtin protein in vitro. From in vivo study, we observed CKD-504 improved the pathology of Huntington's disease: alleviated behavioral deficits, increased axonal transport and number of neurons, restored synaptic function in corticostriatal (CS) circuit, reduced mHTT accumulation, inflammation and tau hyperphosphorylation in YAC128 TG mouse model. These novel results highlight CKD-504 as a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y in HD.

Antioxidant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on oxidative stress in C6 glial cells and mice

  • Min Jeong Kim;Byeong Wook Noh;Qi Qi Pang;Sanghyun Lee;Ji-Hyun Kim;Eun Ju C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1호
    • /
    • pp.137-149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CJM)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6 glial cell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mice.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CJM,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assays were conducted in H2O2-treated C6 glial cells. Furthermore, we identified the protective mechanisms of CJM with a scopolamine-treated mice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H2O2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C6 glial cells, indicating that H2O2 induced oxidative stress in glial cells. However, CJM frac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H2O2-treated C6 glial cells, which suggested that CJM protected against oxidative stress. CJM extract and fractions also reduced ROS and NO production, which were increased by H2O2 in C6 glial cells. In particular, the EtOAc fraction from CJM (EACJM) effectively protected against oxidative stress by increasing the cell viability and decreasing ROS and NO. Therefore, we carried out further in vivo experiments with EACJM. Scopolamine caused increases of RO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NO production. However, EACJM effectively alleviated ROS, TBARS, and NO levels compared to scopolamine-injected mice. In addition, EACJM up-regulated protein expression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dicating that EACJM enhanced the antioxidative system.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CJM had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glial cells and memory dysfunction in mice.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CJM could be a potential AD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

폐경기 기억력에 대한 한약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The Efficacy of Oriental Medicine on Memory in Menopause: A Systemic Review)

  • 이수형;권하린;조인정;천세은;김송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35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linical studies and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iental medicine on memory in menopausal women. Methods: 'menopause', 'memory', 'oriental medicine' were searched on 4 online databases (Cochrane Library, Pubmed, CNKI, OAS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at evaluated menopausal memory with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ere includ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RCT was assessed by using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sults: 8 RCTs were selected among 1067 articles. The overall risk of bias was evaluated as uncertain. 5 studies showed that oriental medicine alone was significant effective, but 1 long-term study with the same oriental medicine did not sustain the effect, and 2 studie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Oriental medicine can be an effective option for improving memory in menopausal women. but considering the small number and quality of studies, inconsistent and insufficient evidence, further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is treatment.

Clinical Utility of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Restructured Form in the Assessment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isorders in Adolescents: A Preliminary Approach

  • Hye Ji Yun;Eun Hee Park;Hyun Ju Ho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4호
    • /
    • pp.268-274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Restructured Form (MMPI-ARF) can differentiate between two groups of adolescents, one diagnosed with internalizing disorders and another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and examined the clinical utility of the MMPI-A-RF by examining which subscales can significantly discriminate between these two groups. Methods: A total of 105 adolescents aged 13-18 years completed the MMPI-A-RF (53 internalizing disorder and 52 externalizing disorder group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χ2),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MMPI-A-RF can distinguish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Sixteen MMPI-A-RF scales best predicte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isorders. Fourteen scales (Higher-Order Scale [Emotional/Internalizing Dysfunction], Restructured Clinical [RC] Scale [RC demoralization, Somatic Complaints (RC1), and Low Positive Emotions (RC2)],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Scale [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ality-Revised, 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m-Revised], Somatic/Cognitive Scale [Malaise, Head Pain Complaints, and Gastrointestinal Complaints], Internalizing Scale [Stress/Worry, Self-Doubt], Externalizing Scale [Negative School Attitudes], Interpersonal Scale [Social Avoidance, Shyness]) were associated with the internalizing disorder group, whereas two scales (Externalizing Scale [Conduct Problems, Negative Peer Influence]) were associated with the externalizing disorder group. Conclusion: The MMPI-A-RF can be an efficient assessment tool for a quick diagnosis as it can classify individuals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isorders in clinical settings that lack a variety of assessment tool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fibrauretine alleviating Alzheimer's disease based on transcriptomics and proteomics

  • Lu Han;Weijia Chen;Ying Zong;Yan Zhao;Jianming Li;Zhongmei He;Rui D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8권4호
    • /
    • pp.361-377
    • /
    • 2024
  • The dried rattan stem of the Fibraurea Recisa Pierre plant contains the active ingredient known as fibrauretine (FN). Although it greatly affects Alzheimer's disease (AD), the mechanism of their effects still remains unclear. Proteomics and transcriptomics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FN in the treatment of AD. AD model is used through bilateral hippocampal injection of Aβ1-40. After successful modeling, FN was given for 3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FN could improve the cognitive dysfunction of AD model rats, reduce the expression of AE and P-Tau, increase the content of acetylcholine and reduce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The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enrich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nd proteins are involved in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metabolic pathway, AD, pathway in cancer, PI3K-AKT signaling pathway, and cAMP signaling pathway. Transcriptomics and proteomics sequencing resulted in 19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nd proteins. Finally, in contrast to the model group, after FN treatment, the protein expressions and genes associated with the PI3K-AKT pathwa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RT-qPCR and Western blot and assay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transcriptomic and proteomic analyses. Our study found that, FN may improve some symptoms of AD model rats through PI3K-AKT signaling pathway.

Symptom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After COVID-19 Infection: A Cross-sectional Study in Vietnam

  • Hai Nguyen Thanh;Duc Cap Minh;Hien Hoang Thu;Duc Nguyen Qua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7권2호
    • /
    • pp.128-137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symptoms,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QoL), and associated factors follow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fec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394 participants previously infected with COVID-19 in Ho Chi Minh City, Vietnam. Mental health was assessed using the 21-item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 (DASS-21). Participants self-reported health-related QoL was measured with the EuroQol 5-Dimension 5-Level (EQ-5D-5L) scale.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76.4% reported experiencing at least one symptom following COVID-19 infection.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fatigue (42.1%), cognitive dysfunction (42.9%), and hair loss (27.9%). According to the DASS-21 results, the proportion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were 28.7%, 26.4%, and 20.6%,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n the EQ-5D-5L and the EuroQol Visual Analog Scale were 0.94±0.11 and 84.20±13.11, respectively. Regarding QoL issues, the highest proportion of participants (32.7%) reported experiencing anxiety or depression, followed by pain or discomfort (25.4%).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symptoms following COVID-19 infection included female (odds ratio [OR], 2.84; 95% confidence interval [CI], 1.65 to 4.91) and having QoL issues (OR, 3.25; 95% CI, 1.71 to 6.19). Conclusions: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rates of various symptoms following COVID-19 infe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prioritize comprehensive care for individuals recovering from COVID-19 and to implement strategies to mitigate the long-term impact of the disease on mental health and QoL.

두부 외상 후 섬망의 자문 정신 의학적 고찰 (Delirium after Head Trauma at Psychiatric Consultation)

  • 김현철;이상철;김도훈;이상규;홍승관;손봉기
    • 정신신체의학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4
  • 연구목적: 두부 외상은 신체적 후유 증상뿐 아니라 다양한 정신 증상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 외상 후 섬망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과 자문을 실시하고 과다행동 증상의 유무 등의 임상 양상과 회복 기간과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부터 2002년까지 두부 외상을 주소로 신경외과에 입원한 환자들 중 섬망이 발생하여 정신과에 자문 조정이 의뢰된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섬망 발생 4주 후 추적 자문에서 섬망의 회복 여부에 따라 완전 관해 된 군 및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으로 나누고, 두 군간의 차이를 과다행동 유무와 사회 인구학적 변수, 두부 외상 부위의 빈도에 따라 살펴보았다. 결 과: 첫 자문 주소에서 과다 행동 유무에 따라 분류해 보았을 때 4주 후의 섬망의 관해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p<.01). 섬망의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은 완전 관해 된 군에 비해 중환자실 입원 기간 및(p<.05), 전체 입원 기간이 길었다(p<.01). 섬망 발생 4주 후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은 완전 관해된 군에 비해 사고보험과의 관련성이 많았으며(p<.05), 신경 영상학적 조사에서 피질 하 회백질의 손상의 여부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p<.05).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첫 자문 의뢰 시 과다행동 유무에 따라 섬망의 회복 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섬망의 회복 기간이 지연될수록 재원기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두부 외상 후 섬망 환자의 정신과적 개입에 있어 과다행동의 유무를 비롯한 임상 변수들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발효유 산물인 LHFM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 (Cognitive-enhancing Effects of a Fermented Milk Product, LHFM on Scopolamine-induced Amnesia)

  • 전용진;김준형;이명재;전우진;이승훈;연승우;강재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28-433
    • /
    • 2012
  • 본 연구팀의 선행 연구 결과, L. helveticus IDCC3801의 발효유 주정 침전물이 BACE의 활성 억제를 통한 amyloid beta($A{\beta}$) 생성 저해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1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L. helveticus IDCC3801의 발효유 주정 침전물의 산업화를 위한 공정 개선연구를 진행하였고, 대량생산을 통해 LHFM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LHFM의 인지기능 개선 기능성 입증 연구로써 $A{\beta}$ 저해효과 외에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기억력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 어떠한 작용 기전으로 개선 효과가 나타나는지 조사한 것으로 scopolamine으로 기억 손상을 유발한 mouse에서 학습 능력과 기억력 개선 효과, 신경세포 보호 효과, AChE 저해와 ACh 증가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LHFM은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고농도의 glutamate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하였다. 또한 LHFM은 in vitro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강력하게 ACh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in vitro 결과들을 근거로 scopolamine으로 기억 손상을 유발한 mouse에서 Morris water maze와 Y-maze 행동 시험을 통해 LHFM의 학습능력과 기억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LHFM은 Morris water maze에서 실험 2일째부터 escape latency시간을 유의적으로 감소 시켰으며 5일째에서는 정상 mouse와 동등한 수준으로 감소되어 우수한 학습 효과를 보였다. 실험 6일째 platform을 치운 후 시행한 probe trial에서도 platform이 있던 위치에 머무는 회수가 scopolamine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아 장기기억의 개선에도 효과가 있었다. Y-maze 시험에서도 LHFM은 scopolamine 단독 처리군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변경 행동력을 증가시켜 여러 행동 시험을 통해 LHFM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행동실험 후 hippocampus를 적출하여 ACh 및 ACh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donepezil과 마찬가지로 LHFM은 AChE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또한 ACh 함량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LHFM은 신경세포 보호 효과와 신경전달물질인 ACh의 뇌 조직 내 농도를 높여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 MMPI-2-RF를 이용하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Suicide Risk : Using MMPI-2-RF)

  • 남지수;김대호;김은경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8-19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및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의 감별 시 MMPI-2-RF가 변별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모든 대상자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정신과적 진료를 내원한 환자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DSM-5에 근거한 진단을 받았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네 집단(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통제집단으로 일반 정신과 환자)으로 분류하였다. 총 112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성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연구 결과, 비임상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에서도 자살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높은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무력감/무망감(HLP), 자살/죽음 사고(SUI), 의기소침(RCd), 인지적 증상 호소(COG), 냉소적 태도(RC3),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와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개인들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할 수 있는 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자살 시도 집단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이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높은 행동화/외현화(BXD), 반사회적 행동(RC4), 공격성(AGG) 등을 보였으나, 자살 사고 집단과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MMPI-2-RF가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 자살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세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이 세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해주는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세 집단 간변별에는 MMPI-2-RF가 진단적으로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다만, 자살 사고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서는 통제군인 일반 정신과 환자들에 비해 높은 공격성과 행동화가 나타나, 자살 사고가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지표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조기변별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상 성인에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통해 관찰한 무쾌감증 관련 뇌 영역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Anhedonia in Healthy Adults : a PET Correlation Study)

  • 정영철;석정호;전지원;박해정;이종두;김재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38-444
    • /
    • 2005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서 무쾌감증과 정적 및 부적 정동소질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rait)의 연관성을 밝히고, 이 요인들과 연관이 있는 신경 구조들을 찾아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정상 성인 21명을 대상으로 $^{18}F$-FDG PET를 이용하여 정지 상태(resting state)에서의 뇌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무쾌감증 척도(anhedonia scale)와 정적/부적 정동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를 이용하여 개인의 정서적 소질을 측정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무쾌감증이 정적 정서 소질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변인 모두 하측두이랑(inferior temporal gyrus)의 대사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함께, 신체적 무쾌감증과 사회적 무쾌감증은 소뇌(cerebellum)의 대사와 양의 상관관계를, 사회적 무쾌감증은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ex)의 대사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들 영역들은 이전의 연구들에서 주로 인지적 손상 및 이와 연관된 음성증상들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되어 왔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하측두이랑(inferior temporal gyrus)과 전전두엽-소뇌 회로(prefrontal-cerebellar circuit)가 정서적인 영역의 음성증상 발현과도 관련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본 결과들은 정신분열병 환자가 아닌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정신분열병의 발병 유무와 상관없이 또는 선행해서 존재하는 무쾌감증의 신경해부학적 기능이상에 대한 단서를 제공했고, 정상적 성격 성향과 뇌기능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부하기에서 각각 0.95, 0.93, 0.71이었고 휴식기에서 각각 0.95, 0.90, 0.69으로 대체적으로 좋았으나 Bland-Altman분석에서 두 프로그램의 일치의 한계 값의 범위가 비교적 컸음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하여 심혈관 질환의 가능성이 낮은 환자에서 QGS와 4DM 프로그램 각각의 EDV, ESV, EF의 정상 값을 구하였다. 두 프로그램의 상관관계는 높지만 두 프로그램의 결과 값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앞으로 판독에 유의한 참고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한 70-90분 영상에서 각 관심 영역에서의 방사성 농도를 구하였고, 조직비 방법에 근거하여 기저상태 및 흡연 상태의 방사성 리간드의 수용체 결합능 (binding potential;BP)을 구하였다($BP=C_{ROI}/C_{cerebellum}-1$). 흡연에 의한 도파민의 유리는 흡연 전후의 $[^{11}C]raclopride$의 수용체 결합능의 변화율로 계산하였다. 흡연에 의한 혈중 니코틴의 상승은 흡연후 90 분간의 혈중 니코틴의 축적 농도로 계산되었으며, 흡연에 의한 $[^{11}C]raclopride$의 수용체 결합능의 감소율과 혈중 니코틴의 축적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스피어만 상관분석법(Spearman's correlation)에 의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흡연에 의한 선조체에서의 평균 $[^{11}C]raclopride$의 수용체 결합능의 변화는 미상핵에서 4.7%, 전피각에서 4.0%, 복측 선조체에서 7.8% 의 감소를 보여 흡연에 의한 선조체내 도파민 유리를 정량화 하였다. 특히 선조체에서의 도파민 유리에 의한 수용체 결합능의 감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