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irium after Head Trauma at Psychiatric Consultation

두부 외상 후 섬망의 자문 정신 의학적 고찰

  • Kim, Hyon-Chul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Sang-Chul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Kim, Do-Hoon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Sang-Kyu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Hong, Seung-Gwan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Department of Neuro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Son, Bong-Ki (Chunchon Sacred Heart Hospital,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김현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 이상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도훈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 이상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 홍승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손봉기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6.15

Abstract

Objectives: Delirium after head trauma results in various cognitive and behavioral dysfunction.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nd validating a predicitive model for clinical improvement after delirium based on precipitating factors during hospitalization Method: Data were collected on 45 patients who developed delirium after head trauma using 5 year retrospective design, based on reviews of medical charts including psychiatric consultation reports. The differences of the group who sustained residual symptoms of delirium(The RS group) and the group of full recovery(The FR group) at 4 week follow-up visits were compared by motoric type of delirium, socio-demographic variables, neuroimaging variables and clinical variables of interest.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for initial consultation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hyperactivity(p<.01). The presence of compensation claim, subcortical gray matter le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S group(p<.05). Total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ICU) admission and of hospital stay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RS group than FR group(p<.01).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hyperactivity on initial consultation, compensation claims, specific brain lesion were altogether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prolonged duration of delirium after head trauma. A simple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presence of precipitating factors might be used to identify delirious patients at high risk for prolonged cognitive dysfunction. Early psychiatric intervention would be required for evaluating efficacious management and shortening admission period.

연구목적: 두부 외상은 신체적 후유 증상뿐 아니라 다양한 정신 증상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 외상 후 섬망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과 자문을 실시하고 과다행동 증상의 유무 등의 임상 양상과 회복 기간과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부터 2002년까지 두부 외상을 주소로 신경외과에 입원한 환자들 중 섬망이 발생하여 정신과에 자문 조정이 의뢰된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섬망 발생 4주 후 추적 자문에서 섬망의 회복 여부에 따라 완전 관해 된 군 및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으로 나누고, 두 군간의 차이를 과다행동 유무와 사회 인구학적 변수, 두부 외상 부위의 빈도에 따라 살펴보았다. 결 과: 첫 자문 주소에서 과다 행동 유무에 따라 분류해 보았을 때 4주 후의 섬망의 관해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p<.01). 섬망의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은 완전 관해 된 군에 비해 중환자실 입원 기간 및(p<.05), 전체 입원 기간이 길었다(p<.01). 섬망 발생 4주 후 잔류 증상이 남아 있는 군은 완전 관해된 군에 비해 사고보험과의 관련성이 많았으며(p<.05), 신경 영상학적 조사에서 피질 하 회백질의 손상의 여부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p<.05).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첫 자문 의뢰 시 과다행동 유무에 따라 섬망의 회복 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섬망의 회복 기간이 지연될수록 재원기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두부 외상 후 섬망 환자의 정신과적 개입에 있어 과다행동의 유무를 비롯한 임상 변수들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