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Dissonanc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소비자 만족$\cdot$불만족의 개념에 관한 이론적 연구 (Conceptual perspectives on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 박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69
    • /
    • 1985
  •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is a concept which is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from consumers, public policy makers, and marketers alike. The literature in this field is still meager, has been growing rapidly byt with diversity of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ualization and taxonomy of CS/D in consumer research. Three types of the basic process in a general theory of CS/D are suggested; system CS/D, enterprise CS/D and product-service CS/D. It is also classified into macro marketing system CS/D, micro marketing system CS/D and consuming mix CS/D. The conceptualization of CS/D begins with a basic model of how CS/D results from the individual product purchase experience of individual consumer. Basic CS/D models are classified into process model which contains experience, information search, prepurchase evaluation and comparison process variables and psychological model which is derived from cognitive dissonance theory.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about expectation model are asimilatin, contrast, generalized negativity and assimilation contrast theories.

  • PDF

Is Anything Ever New? Fashion Design Students' Perceptions of Piracy

  • Marcketti, Sara B.;Greder, Kate;Sinclair, Heathe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4권1호
    • /
    • pp.17-28
    • /
    • 2014
  • Design piracy is the unauthorized copying of another designer or manufacturer's work. While controversial, it is an institutionalized practice in the apparel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student perceptions of design piracy, particularly as it is one they will encounter in their future careers. The authors interviewed twenty-four apparel design students at a land-grant Midwestern University. Data was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Three themes developed including: 1) Expressions of cognitive dissonance in statements expressing enjoyment of the practice of design piracy as a consumer; yet disappointment when (and if) their own design work was copied. 2) Concer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originality and the logistics of enforcing a plan against design piracy. 3) Differences of opinion regarding the prevalence of the practice, particularly if the students had industry experience or not. Advice for professors from students regarding piracy is included.

소비자의 예기된 죄책감이 녹색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80년대 이후 출생한 중국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nsumers' Anticipated Guilt on Green Consumption Intention: Focused on the Post-1980s Generation of China)

  • 전동매;이닝닝;경성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81-86
    • /
    • 2020
  • 본 연구는 소비 트렌드를 선도하는 80년대 이후 출생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예기된 죄책감이 녹색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효과성을 매개효과로 검증하였다. AMOS에 의한 가설점증 결과, 예기된 죄책감은 녹색소비의도와 지각된 효과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효과성은 녹색소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효과성은 예기된 죄책감과 녹색소비의도 간에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죄책감이라는 친사회적 특징을 지닌 부정적 정서가 녹색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녹색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및 실무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한계점이 존재한다.

VR콘텐츠의 인지에 미치는 시지각 요인이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Influence of VR Visual Cognitive Factors on VR Contents cognition and Presence)

  • 박정호;최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985-992
    • /
    • 2018
  • 최근 HMD 장비의 발전 및 보급 확대와 함께 가상현실 콘텐츠의 개발도 늘어나고 있으나 개발되는 대부분의 가상 현실 콘텐츠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 차이를 참작하지 않고 개발되고 있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따라 느끼는 몰입감이나 현실감이 크게 차이 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가상현실기반 콘텐츠 제작시 내용 인지에 미치는 시각적 요인들을 도출해 내고, 실험을 통해 이러한 요인들이 콘텐츠 내용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실재감과의 상관 관계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요인 중 색상지각과 공간지각요인은 콘텐츠 인식 및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지각 요인은 인지부조화로 멀미를 일으키고 콘텐츠의 정확한 인식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VR 콘텐츠의 인지는 실재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Model for Health Professionals Regarding Smoking Cessation)

  • 김혜경;김명;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2
    • /
    • 2006
  • Objecive and Method: Smoking among health professionals has been shown to influence smoking 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medical setting. And lack of health professionals' 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has been a major barrier to education on smoking too.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and discuss the advanced cases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to develop theory-based educational models of smoking cess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intervention on smoking in a medical framework. Results: First, major issues of health professionals'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were discussed. Discussed issues were smoking prevalence among health professionals, importance of health professionals' roles both as health educators and examples, and health professionals' cognitive dissonance. As advanced cases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ATOD(Alcohol, Tabacco, and Other Drug problem prevention) developed by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and the Rx for Change curriculum in California State were discussed. Finally, smoking cessation educational models for health professional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social cognitive model and TPB/TTM. Conclusions: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in medical setting, systematic efforts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nsuring the qualifi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on smoking cessation through an analysis of major issues concerning smoking cessation education for health professional and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smoking cessation.

혐오자극에 대한 정서조절전략이 얼굴표정 및 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o the Disgust Stimulus on Facial Expression and Emotional Experience)

  • 장성리;이장한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5권3호
    • /
    • pp.483-498
    • /
    • 2010
  • 본 연구는 혐오정서 유발자극에 대한 선행사건초점 조절전략과 반응초점 조절전략이 얼굴표정 및 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여자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참여자들이 혐오정서 유발동영상을 시청할 때 서로 다른 정서조절전략(정서 표현, 표현 억제, 인지적 재평가, 표현 불일치)을 사용하도록 하여 얼굴표정과 정서경험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정서 표현집단에서 혐오표현단위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표현 불일치, 인지적 재평가, 표현 억제집단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 경험한 정서를 반영하는 얼굴 윗부분에서 인지적 재평가집단의 혐오관련표현단위의 빈도가 정서 표현집단과 표현 불일치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기보고식 정서 상태 측정결과, 표현 불일치집단에서 가장 많이 긍정정서가 감소한 반면, 인지적 재평가집단에서는 긍정정서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서조절전략이 얼굴표정 및 정서경험에 미친 영향을 통해 인지적 재평가전략이 가장 기능적인 정서조절전략임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 of Counterfactual Thinking on Post-purchase Behavior of Retail Management

  • Kim, Young-Ei;Yang, Hoe-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5-33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counter-factual thinking on post-purchase behavior producing consumer regret at HMR selection and purchase. We have analyzed the factors that HM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businesses should consider becaus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trategy reflecting consumers' deman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direst structured questionnaire to students at 'J' college. A total of 237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at 'J' university. For the hypothesis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regression and structure equation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The consumers who often resented HMR purchase did counter-factual thinking on post-purchase behavior were likely to do switching purchases. Counter-factual thinking on post-purchase behavior had a negative influence upon consumer's satisfaction with HMR safety and marketing characteristics. Conclusions - Consumers who had been satisfied to a certain degree might have cognitive dissonance of minor mistakes of HMR product were likely to have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through contrast effects. Therefore, HMR producer and distribution businesses that ha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marketing strategy to satisfy consumers by raw material, freshness and safety were likely to switch to another product at one time mistake of selection, purchase and use.

HMD를 이용한 VR 관광 콘텐츠 (VR Tourism Content Using the HMD Device)

  • 한종성;이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0-47
    • /
    • 2015
  • ICT(정보통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에서 주요 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영역은 이미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및 시뮬레이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문화관광분야를 비롯하여 사회 전반적인 영역에 더욱 확산 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화관광 분야에서 가상현실 콘텐츠의 시장 선점 가능성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개선된 VR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였다.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 발생하는 인지부조화로 인한 시뮬레이션 멀미(simulation sickness) 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아웃포커스, 렌즈더스트, 모션블러 효과, 흔들림 효과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제작된 콘텐츠는 사용자의 몰입도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UI 디자인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The Formation of Korean-ness and the Advent of the Split-Consciousness: Embracing Multiple Realities in Yeom Sangseop's Mansejeon

  • Capener, Steven D.
    • 영어영문학
    • /
    • 제64권3호
    • /
    • pp.347-360
    • /
    • 2018
  • It is ironic but not coincidental that the loss of Korean sovereignty to Japan roughly paralleled the formation of the idea of Korean ethnic identity. The coalescence of the content of this heretofore amorphous notion of a "pure" and transcendental (in the class sense) ethnic essence was, again ironically, the result both of ideologies taken from (or given by) Japan and resistance to Japanese encroachment. What resulted was the birth of a hybrid (sub) consciousness that was able to accommodate disparate, or even contradictory, realities simultaneously without any sense of contradiction (Christian and shaman for example). If, as Kim Chul has asserted, the colonial period was the most impactful in forming today's Korean society and "giving birth" to today's Korean, it becomes easy to imagine how this formation process included elements of Japanese and western culture. This meant that there was going to be an inevitable cognitive dissonance when these influences collided with the imperatives of ethnic nationalism which became the touchstone for a common Korean identity (North and South). This paper attempts to show how this split-consciousness was manifested in Yeom Sang seop's Manse jeon with the aim of identifying how it affects discourses related to nationalism and identity.

교차적 연결과 다계층구조의 유용성에 관한 인지적 연구 : 사이버쇼핑몰의 커스터머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A Cognitive Study on the Usability of Cross-referencing link ad Multiple hierarchies)

  • 이정원;김진우
    • 인지과학
    • /
    • 제10권1호
    • /
    • pp.25-43
    • /
    • 1999
  • 본 연구는 사이버 공간에서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는 구조디자인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조디자인이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개별화면이 어떻게 분류되며 이에 따라서 화면내의 정보가 어떻게 표현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쇼핑몰 안에서 쇼핑만족과 항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디자인을 설계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차적 연결과 다 계층 구조를 제시하였다. 교차적 연결이란 여러 가지 범주화 기준이 적용된 정보공간 사이를 연결시켜주고 것이고, 다 계층 구조란 동일한 정보공간에 대해서 여러 가지 기준을 가지고 각 기준에서 바라본 관점으로 정보공간을 표현해주는 구조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적 연결과 다 계층 구조의 유용성 검증을 위한 두 단계의 실험을 사이버 쇼핑몰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제1단계 실험은 사용자의 특정 정보 공간에 대한 인지적 틀, 즉 상품 정보 공간에 대한 사용자 관점에서의 다양한 범주화 기준을 파악함으로써 사이버 쇼핑몰의 기본 상품분류체계를 개발하였으며, 제2단계 실험은 1단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교차적 연결과 다 계층 구조를 사용한 쇼핑몰 구조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그 검증 결과는 교차적 연결 측면에서는 교차적 연결이 제공되는 쇼핑몰이 제공되지 않는 쇼핑몰 보다 항해 편리성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그리고 이 교차적 연결이 다 층 구조상에서 제공되는 것보다는 단일 계층 구조상에서 제공되는 것이 항해 편리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계층구조측면에서는 단일 계층 구조가 제공되는 쇼핑몰이 다 계층 구조가 제공되는 쇼핑몰보다 항해만족과 항해 편리성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대한 토론 및 쇼핑몰 구축상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