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gnition & Emotion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33초

초기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폭력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일상생활활동 경험의 중재 효과 (Moderating Effects of Daily Life Activity Experi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Violent Behaviors in Early Adolescence)

  • 이미리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67-188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daily life activity experiences to violent behaviors and their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violent behaviors in early adolescence. A sample of 134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carried electronic watches for one week and provided reports on their objective activity situation and subjective states when signalled at random times.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olent behaviors. Daily activity experiences were correlated with violent behaviors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violent behaviors. More time spent in socializing and passive leisure, and negative emotional states during schoolwork and active leisure were correlated with higher violent behaviors. Lower motivational states during schoolwork were correlated with higher violent behaviors. Lower cognition of importance and attention states during schoolwork and higher cognition of importance and attention states during active leisure and maintenance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higher violent behaviors.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 during active leisure, motivation and attention states during schoolwork on the relationship of stress with violent behaviors were found among girls only.

  • PDF

산모와 배우자의 태교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Delivered Woman and Her Husband for the Fetal Education)

  • 문희수;최의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83-59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the fetal education effectively for the delivered woman and her husban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on 199 delivered women and their 171 husbands at sev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from February 28 to March 26, 2002.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included the purposes, the cognition and the practice of fetal education. The SAS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character of subject was analyzed by the percenta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fetal education was analyzed by t-test, ANOVA, Wilcoxon rank sum test. The factor analysis affected on the practice of fetal education was adopt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purpose of fetal education, the well- balanced emotion showed the highest mark. The cognition of fetal education(woman:$4.39{\pm}0.52$, husband:$3.88{\pm}0.70$) and the practice (woman:$3.88{\pm}0.60$, husband:$3.83{\pm}0.70$) showed the relatively high mark, but the score of cognition showed higher than that of practice. 2. In the comparison of the cognition between the delivered woman and the husband for the fetal education the item of the mental or health state would affect unborn baby, which occupied the highest mark in both woman and the husband(woman:$4.81{\pm}0.44$, husband:$4.81{\pm}0.50$). But they were prohibited to eat the deformed food, which showed the lowest mark(woman:$3.19{\pm}1.12$, husband:$3.21{\pm}1.29$). 3. In the comparison of the practice for the fetal education between the delivered woman and the husband, the practice for the healthy baby showed the highest mark in woman ($4.51{\pm}0.71$), whic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25), compared with that of the husband($4.13{\pm}0.99$). 4. I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and practice for the fetal education, the general character was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of marriage, the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the support of husband on pregnancy. The mark was associated with the age of woman,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first birth. 5.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actice for the fetal education were connected with the cognition of fetal education, age, satisfaction with marriage, the support of husband on pregnancy, the type of family, the experience of delivery and the state of health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etc. In conclusion, it is indicated to make effort for transform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fet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fetal education.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fetal education might be recognized by all members of family, and the importance of husband's role for the fetal education should be informed as well as that of woman's.

  • PDF

정서 정보가 생물형운동자극의 시지각 및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Information on Visual Perception and Working Memory in Biological Motion)

  • 이한나;김제중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51-164
    • /
    • 2018
  • 기존의 사회인지와 정서 연구들은 주로 얼굴자극을 이용하여 초기지각단계 및 후기인지과정에의 정서 효과를 조사해 왔다. 그러나, 정서의 효과가 정보처리과정의 각 단계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와, 정서유형에 따른 효과 양상의 변화 여부는 불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대신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에 내포된 행복, 분노, 중립정서가 지각과제와 작업기억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연달아(지각과제) 또는 시간차를 두고(작업기억과제) 제시되는 두 생물형운동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였다. 지각과제에서는 정서가를 가진 자극 시행의 정확도가 중립정서자극에 비해 낮아 정서정보가 초기지각처리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으나, 작업기억과제에서의 기억정보유지에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과제에서 정서유형에 따라 다른 수행 양상이 관찰되었다. 분노정서는 지각단계에서 더 많은 정신적 자원을 요구하여 부하가 증가할 경우 정확도가 낮아지지만 기억유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행복정서의 경우 중립정서가 이어서 제시될 때 이를 행복정서와 유사하게 처리하려는 편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정서 영향을 재확인하였고, 처리단계별 및 정서 종류별로 다른 양상의 영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추가로 밝혀, 정서정보의 정교한 조작 및 통제를 위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제품개발에서의 Cognition Technology의 활용

  • 옥형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2-45.2
    • /
    • 2009
  • 최근 제품에 있어서 가치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점차 사용성과 감성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의 혁신적인 제품을 보면 사용성과 감성적인 가치가 기술개발의 방향성까지 결정하는 등 제품개발에 있어서 감성과 사용성 가치의 중요성은 더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감성과, 사용성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제품의 개발 방향뿐만 아니라, R&D의 방향성을 결정짓기 때문에 이와 같은 Value를 표현할 수 있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모델의 중요성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제품개발에 있어서 감성과 사용성으로 대변되는 User Experience 가치 제공은 기능성, 신뢰성 등의 기존가치와는 달리 소비자, 사용자로 대변되는 Human에 대한 더 높은 이해가 필수적이나, 관련 지식의 부족 및 통계적 정량화, 객관화 어려움 등으로 제품의 가치로 연결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게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성과 사용성 등을 고려한 제품 가치 체계(Product Value Structure)에 대해서 살펴보고, 아울러 이러한 가치를 고려한 제품개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감성 사용성에 대한 방법론에 널리 활용되는 통계적 귀납적 방법론 외에 인지과학(Coginition Technology)을 활용하여 연역적 방법론에 대해서도 고민해보고자 한다. 특히 Iphone의 UI 특성을 통해 Innovation Company가 인지과학적인 Approach를 어떻게 제품개발에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인지-감정요소에 의한 공간이미지 평가성 분석 (Analysis on Space Image Evaluation through Recognitive-Emotional Factor)

  • 송영민;이동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71-78
    • /
    • 2011
  • Although the recognition and emotion about space is subjective and individual, if standard is proposed through common factor, objective, quantified space image evaluation will be available. In addition, space image evaluation standard caused by recognitive-emotional factor can meet requests of space users and increase psychological satisf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pace image caused by recognitive-emotional factor in space with PAD model and analyze the evaluation of space image giving visual, re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joyfulness' and access-avoidance had a very similar distribution. The result means that space is evaluated with the degree of 'joyfulness' for space and it is led by approach-avoidance behavior. The recognition factor that forms and evaluates space image and decides approach-avoidance is expressed as adjective images such as 'fresh, joyful, light and static and its emotional factors are adjective images such as 'calm, allowable, joyful and quiet'.

The Effect of e-scape on Internet Shopper'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Responses

  • Kim, Sang-Hee;Koh, Joo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690-698
    • /
    • 2007
  • By investigating Internet shopping malls from a viewpoint ofenvironmental psychology, this study tries to expand the subject of servicescape into the Internet rather than to confine it to physical space.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s the effect of e-servicescape (hereinafter e-scape) on customer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which subsequently can lead to customers' behaviors. An analysis of 490 questionnaires found that e-scape influences the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ultimately triggering customers' behaviors. We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f e-scape on customers' behavior may be mediated by customers' internal respons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servicescape management is important on the Internet just as it is in physical space. Concepts such as e-scape management can be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to make an Internet shopping mall distinguishable from other Internet shopping malls.

  • PDF

꿈의 신경생물학적 측면의 기초 (Basic Neurobiological Aspect of Dream)

  • 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16권2호
    • /
    • pp.49-55
    • /
    • 2009
  • This review aims to introduce the basic neurobiological aspects of dream. There have been long debates on whether the neurobiology of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is identical to that of dream. However, many theories on dream are based on the findings of REM sleep. Bizarre cognition and intense emotion in dream have been suggested to derive from physiological (e.g. desynchronized gamma oscillation and postsynaptic inhibition), chemical (e.g. decreased noradrenalin and serotonin, increased acetylcholine and modulation of dopamine), anatomical (e.g. deactivation of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activation of limbic and paralimbic areas) change in REM sleep. In addition, dream has been suggested to play its neurobiological roles. Processing of negative emotion may be one of the functions of dream. Dream is also supposed to consolidate memory, especially semantic memory. Despite a number of hypotheses and debates,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 of dream generation has not been concluded.

  • PDF

웹기반 시각인지실험환경 구현 (Implementation of Web-based Visual Cognition Experiment System)

  • 서수웅;박규원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94
    • /
    • 2009
  •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판매-소비 인터페이스의 최전선에 있는 패키지 디자인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면서 패키지가 곧 브랜드라는 인식이 생기고 있다. 소비자가 패키지를 통해 느끼는 감성은 시각적 경험이 발생하는 시점과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FMCG의 경우, 광고를 통해 축적된 제품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는 실제 매장에서 여러 제품과 동시에 노출되었을 때 제품에 대한 느낌이 상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경험조건의 차이 즉, 패키지의 노출조건에 따라 감성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온라인 실험환경을 구축하였다. 실험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플래시 툴을 활용하여 인터랙티브한 실험컨텐츠를 제작하고, 평가값은 PHP 를 통해 DB 에 저장하였다. 저장된 데이터는 SPSS로 통계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독립 노출과 군집노출에 따라 감성의 차이가 발생하며, 감성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컬러와 타이포그래피가 주된 요인이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PDF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정보시스템 지속성에 대한 이성과 감성의 조화 모델 (A Balanced Cognition-Affect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for Mobile Internet Service)

  • 김기은;김희웅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461-480
    • /
    • 2008
  • 기술의 도입과 이용지속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 인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데 반해, 감성적 측면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정보시스템 연구에서 사용자의 태도, 만족이 주로 고려된다 하더라도 그것들은 감성의 오로지 일부분일뿐이다. 여러 학계의 연구자들은 인간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감성의 중요성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과 같은 현대 응용기술에서는 기술의 이용자로서뿐 아니라 서비스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사용자들의 감성이 필수적으로 연구되어야한다. 그래서, 이연구는 정보시스템 지속성을 위한 이성과 감성의 조화모델을 제안한다. 이전 연구들과의 차이점은 Circumplex Model of Affect에 따르는 감성의 주요한 차원인 즐거움과 각성(Pleasure and Arousal)을 고려함으로써, 다른 모든 감성의 요인들이 이 두 축의 조합으로 설명될수있도록 한 점이다. 그래서, 사용자 행동에 관한 이전연구들이 즐김과 흥분과 같은 "감성에 연관된 구조"의 직,간접적 효과를 고려한데 반해, 이 연구는 즐거움과 각성과 같은 "감성에 기반한 구조"의 직접적 효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성과 감성의 조화모델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되고, 그 타당성이 입증된다.

  • PDF

사회적 배제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체화된 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Consumer Response : The Moderating Effect of Embodied Cognition)

  • 손정식;이병관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107-114
    • /
    • 2015
  • 오늘날 우리 사회는 거절과 무시라는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경험의 증가로 인해 공격 행동, 자기 자멸적행동, 인지 능력의 저하와 같은 많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유형인 무시와 거절이 각각 과시적 소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근육 강화에 의한 체화된 인지가 그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무시와 거절 조건의 참가자에게 악력기를 통한 근육 강화(firmed muscle)로 체화된 인지를 형성시킨 후 과시적 소비(conspicuous consumption) 성향과 친사회적 행동(prosocial behavior) 의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무시 조건의 경우 악력기를 통한 근육강화 집단이 근육비강화 집단 (통제 집단)에 비해 더 낮은 과시적 소비 경향과 더 높은 친사회적 행동 의도를 보였으나, 거절 조건의 경우 근육강화 집단과 근육비강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회적 배제 경험 중 무시의 경우, 체화된 인지를 통해 효능감의 동기를 높이면 친사회적 행동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