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ffee extrac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커피박 추출물 및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uffins Added with Coffee Ground Residue Water Extract and Powder)

  • 김병국;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6-83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를 추출한 후 발생되는 커피박을 식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커피박 첨가 형태를 달리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커피박 열수추출물(CRE) 머핀의 중량(62.01~62.36 g)은 대조구(61.64 g)에 비해 높았으며, 높이(6.03~6.23 cm)와 부피(186~493 mL)도 대조구(5.87 cm, 185 mL)에 비해 높았다. 수분 함량은 CRE 머핀(29.41~29.92%)과 커피박 분말(CRP) 머핀(30.10~31.11%)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L(lightness) 값과 b(yellowness) 값은 CRE 및 CRP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a(redness) 값은 증가하였다. CRE 머핀의 경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CRP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CRE 및 CRP 머핀이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CRE 머핀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5.91~83.25%로 대조구(5.53%)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도 CRE 첨가구(1.91~48.09%)가 대조구(25.20%)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머핀 내부의 외관과 색, 풍미와 맛은 CRE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맛과 종합적 기호도는 1.0% 첨가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CRP 머핀의 외관과 내부 색은 1.0% 첨가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풍미는 CRP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았고 맛과 종합적 기호도는 1.0% 첨가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항산화 활성이 다량 잔존하고 있는 커피박은 제과제빵의 항산화 활성 등 기능성 강화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며, 머핀 이외에도 다양한 식품 산업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커피 생두 추출물을 이용한 분무건조 분말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Spray-Dried Powder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een Coffee Bean Extracts)

  • 김주현;홍주헌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4-2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커피 생두의 활용성 증대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커피 생두를 8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를 실시하여 분말의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율은 동결건조 분말이 91.46%로 분무건조 분말(71.63~87.98%)보다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사이클로 덱스트린을 10% 첨가한 분무건조분말에서 1.39%로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분무건조 분말의 색도는 동결건조 분말에 비해 L값, a값 및 b값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입자크기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10% 첨가한 분무건조 분말에서 $54.23{\mu}m$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 지수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10% 첨가한 분무건조 분말이 각각 0.51 및 90.07%를 나타내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10% 첨가한 분무건조 분말이 20.67 g/100 g 및 8.92 g/100 g을 나타내었으며, chlorogenic acid 함량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10% 첨가한 분무건조 분말에서 12.04 g/100 g을 나타내었다. 분무건조 분말의 DPPH 및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10% 첨가한 분무건조 분말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88.02% 및 86.89%를 나타내 가장 우수하였다. 폐 정상세포인 L-132 세포에 커피 생두 추출물 분무건조 분말을 처리하여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생존률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사이클로덱스트린을 10% 첨가한 분무건조 분말에서 87.33%로 세포 활성이 증가하여 우수한 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커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미백활성 (Antibacterial and Whitening Activities of Coffea arabica Ethanol Extract)

  • 김인혜;이재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245-25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커피(Coffea arabica)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미백활성으로는 tyrosinase 저해 활성과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으로는 SOD-like activity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500{\mu}g/mL$의 농도에서 $94.8{\pm}6.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CAE는 3개의 그람양성균과 6개의 그람음성균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그람음성균에 대해서는 폭넓은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그람양성균에 대한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항생제내성균주인 MRSA CCARM3561에는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Candida albicanse에 대한 항곰팡이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과 DOPA 산화능은 대조군인 arbutin 보다는 낮게 나타내었고, B16-F10 melanoma cell에 대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u}g/mL$의 농도에서 89.2%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커피 추출물이 천연물, 무독성 항균제 또한 천연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탈카페인녹차 열수추출물의 포유동물 세포주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 (Chromosome Aberration Test of Water Extract of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Mammalian Cell Line)

  • 구윤창;이현순;박병규;김은진;이선주;김경헌;김영석;김광옥;정영신;이광원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3-68
    • /
    • 2006
  • There are $10{\sim}30%$ polyphenol and $2{\sim}4%$ caffeine in green tea. Caffeine is a kind of alkaloid containing nitrogen which cause stimulation, impatience, headache, insomnia, low birth weight infant. Because of these negative effect, decaffeined beverage came out and decaffeined coffee already have a big market since 1970s. Having proving the physiologic functions of green tea, high consumption of coffee is shifting to green tea. Because of the carcinogenic effect of the organic solvents, decaffeine processing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has industrialized and have an advantage in environment-friendly and minimized flavor loss.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considered to be safe but there are not enough study, We investigated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with mammalian cell line, CHL.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5000, 2000, 1000 ${\mu}g/ml$ and compared with the negative controls, there were no significant (P>0.05) increased chromosome aberration. Same results was observed when adding S9 mixture or not. As a result, water extract of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oes not induce chromosome aberration.

  • PDF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탈카페인녹차 열수추출물의 포유동물 세포주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 (Chromosome Aberration Test of Water Extract of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Mammalian cell line)

  • 구윤창;이현순;박병규;김은진;이선주;김경헌;김영석;정영신;이광원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9-124
    • /
    • 2006
  • There are $10{\sim}30%$ polyphenol and $2{\sim}4%$ caffeine in green tea. Caffeine is a kind of alkaloid containing nitrogen which cause stimulation, impatience, headache, insomnia, low birth weight infant. Because of these negative effect, decaffeined beverage came out and decaffeined coffee already have a big market since 1970s. Having proving the physiologic functions of green tea, high consumption of coffee is shifting to green tea. Because of the carcinogenic effect of the organic solvents, decaffeine processing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has industrialized and have an advantage in environment-friendly and minimized flavor loss.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considered to be safe but there are not enough study. We investigated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with mammalian cell line, CHL.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5000, 2000, 1000 ${\mu}g/ml$ and compared with the negative controls, there were no significant(P>0.05) increased chromosome aberration. Same results was observed when adding S9 mixture or not. As a result, water extract of decaffeined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oes not induce chromosome aberration.

  • PDF

볶음조건에 따른 결명자차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rganoleptic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ssia tora teas by Roasting Conditions)

  • 김종국;문광덕;강우원;김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1-245
    • /
    • 1995
  • 결명자 종실을 볶음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볶은 후 결명자차를 제조하여 5단계 평점법으로 각각의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결명자의 성분조성은 수분 11.6%, 조단백질 13.1%, 조지방 9.4%, 조섬유 13.8%, 조회분 4.9%, 가용성 무질소물이 47.2%이었다. 결명자를 볶음 처리하여 제조한 결명자차에서 관능적으로 느낄 수 있는 향미성분은 단맛, 떫은 맛, 시큼한 맛, 쓴맛, 볶은 커피냄새, 볶은 보리냄새 및 탄내 등이었으며 결명자차의 관능적 품질을 묘사분석에 의하여 평가한 결과 볶음처리함에 따라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지나친 볶음처리시 쓴맛, 탄내 등에 의하여 낮은 관능 평점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들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단맛과 쓴맛이 전체적인 기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0^{\circ}C$에서 20분간 볶음처리한 경우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HPLC-UVD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에서 클로로겐산과 카페인 동시분석법 최적화 및 적용성 검증 (Optimization and Applicability Verification of Simultaneous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Analysis in Health Functional Foods using HPLC-UVD)

  • 정희선;이세윤;김규헌;이미영;최정호;안정선;오재명;권광일;이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1-71
    • /
    • 2024
  • 본 연구는 그린커피빈추출물이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추가로 등재될 경우를 대비하여 표준화된 클로로겐산 시험법을 설정하고, 카페인이 동시 분석되도록 최적화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적화된 시험법을 마련하기 위해 기기분석 및 전처리 조건을 비교·분석하여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을 30% 메탄올 추출하여 인산용액과 인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통해 330 nm, 280 nm에서 분석하도록 시험법을 설정하였다. 시험법 밸리데이션 결과, 직선성 정량범위 내에서 상관계수(R2) 0.999 이상의 유의수준을 보였고, 클로로겐산과 카페인 검출한계는 0.5와 0.2 ㎍/mL, 정량한계는 1.4와 0.4 ㎍/mL로 나타났다. 정밀도와 정확도 결과는 AOAC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를 통해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클로로겐산 및 카페인 동시분석법을 최종적으로 마련하였다. 또한, 시제품과 유통제품을 통해 제형별 적용성 검토하여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을 동시에 정량 가능한 시험법임을 재확인하였다. 최적화된 시험법은 클로로겐산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품질관리에 대한 신뢰성을 더 높일 것으로 본다.

열처리가 결명자의 화학성분 변화 및 추출물의 균체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ed Cassia tora L. Extracts on the Chemical Changes and Microbial Growth)

  • 윤종범;김경구;사동민;이영택;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472-477
    • /
    • 1997
  • 열처리가 결명자의 색상, 일반성분 및 향기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결명자 물추출물의 효모 및 고초균 증식과 알코올 발효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명자의 일반성분 변화는 볶음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단백질, 지방은 감소한 반면 섬유소 및 회분은 증가하였다. 결명자의 색상 변화는 볶음온도가 높을수록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의 값은 감소하였고 총색도$({\Delta}E)$의 값은 큰 차이가 없었다. 생결명자와 $160^{\circ}C$로 열처리한 결명자의 주요 향기성분의 비교에서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커피의 주요 성분인 furfuryl alcohol을 결명자에서도 분리, 확인하였다. 볶음온도를 달리한 결명자의 물추출물을 첨가한 각 시험구의 효모증식 효과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효모의 증식도가 증가하였으며 $160^{\circ}C$에서 볶음처리한 물추출물에서 제일 활성이 높았다. $160^{\circ}C$로 열처리한 물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S. cerevisiae의 증식이 24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구보다 모두 증식이 높았다. 결명자 추출물이 고초균의 성장 및 ${\alpha}-amylase$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0.5%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육이 나타났고, ${\alpha}-amylase$ 효소생산 정도는 각 처리구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각 시험구의 알코올 발효과정중 알코올 함량은 볶음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