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hlodinium Polykrikoides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7초

Comparative lectin binding pattern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 Rhodes, Lesley L.;Cho, Yong-Chul;Cho, Eun-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3호
    • /
    • pp.153-157
    • /
    • 2000
  • Four different FITC-conjugated lectins were used to visually evaluate lectin binding activity by optical staining quality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of Cochzodinium polykrikoides in nature (wild type) and culture (cultured type). Cells from the field and cultures treated with ConA fluoresced only at the outer cell wall, and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he fluorescent signal were similar. Treatment with PWM and HPA did not elicit fluorescence at the cell surface, but the wild type exposed to HPA showed greater binding than did the cultured cells, possibly due to greater concentrations of glucosamine. The wild type cells treated with LBL lectin showed a strong green fluorescence on the cell surface, whereas cultured cells did not. Signal intensity and abundance were greater than for any other lectins test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ild type and cultured typ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urface sugar production. In particular, the wild type cells apear richer in galactosamine-like moieties. Neither glucose nor mannose-like moieties were present in either wild types or cultured cells.

  • PDF

유해성 Cochlodinium polykrikoides 최초 발생에 관한 나로도 해역의 환경학적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Effects at Narodo, in the Southern Water of Korea, on Bloom of Ichthyotoxic Dinoflagellat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 조은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5-230
    • /
    • 2005
  • 유해성 적조생물 C. polykrikoides가 매년 발생되는 나로도와 반대로 전혀 최초발생이 되지 않는 부산해역을 정점으로 2001년 2월, 5월, 7월, 10월에 걸쳐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동태를 조사했다. 수온은 7월에 최고 $20-22^{\circ}C$ 범위를 보였고, 염분도는 각 정점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최고 34 psu을 나타내었다. chlorophyll $\alpha$의 농도 범위는 $0.01-1.3\;{\mu}g\;1^{-1}$ 암모니아질소는 정점1에서 2월과 5월에 0.15, $0.19 {\mu}mol\;1^{-1}$ 정점2에서 최고 7월과 10월에 각각 $0.22-2.2\;{\mu}mol\;1^{-1}$ 보였다. 질산질소와 아질산질소도 암모니아성질소와 비슷한 변화 곡선을 나타내었다. 인산인은 정점 3, 4, 5에서 최고 $0.01-0.1\;{\mu}mol\;1^{-1}$ 범위를 나타내었다. 실험기간 동안 대부분 규조류가 우점으로 나타났고, 정점1에서 7월과 10월에 최고 30,000, $13{\times}10^3\;cells\;\;1^{-1}$을 보였고, 출현세포의 평균 폭은 정점3에서 최고 $178.11\;{\mu}m$, 세포 길이는 7월에 $337.72\;{\mu}m$였다. 나로도 해역이 부산에 비하여 C. polykrikoides 최초 적조발생의 원인은 아마도 외해로 유입되는 전선에 의해서 성장에 알맞은 환경여건을 만들어 줌과 아울러 다른 와편모조류의 세포형태나 출현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Application of Image Analysis System for Red Tide Organisms

  • Cho Eun Seob;Kang Yoon Mi;Kim Gwang H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72-175
    • /
    • 1999
  • Relative DNA contents in some harmful algae were measured using DAPI staining and image analysis system. This method was useful to identify some morphologically similar species and isolates from harmful algal blooms (HABs). In exponential phase, Prorocentrum micans had higher relative DNA content (RD) of $1.83\pm0.52$ than any other isolates, followed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1.10\pm0.46)$ Alexandrium tamarense $(0.93\pm0.32)$ Gyrodinium impudicum $(0.56\pm0.17)$, Scrippsiella trochoidea $(0.41\pm0.26)$ and P. minimum$(0.05\pm0.01)$. When they were fixed with Lugol's solution, it was difficult to d,iscern C. polykrikoides from G. impudicum under the light microscope, but the DNA contents were quite different in two species. C. polykrikoides contained about twice as much RD as G. impudicum under the same culture conditions and exponential phase. DAPI­stained DNA feature in C. polykrikodes showed concentrated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cell, but in G. impudicum showed a compact structure in the central part. Although A. tamarense and S. trochoidea were morphologically similar under the light microscope, nuclear DNA content of A. tamarense was twice as much as that of S. trochoidea.

  • PDF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음파 신호와 합성곱 신경망 기반 자동 적조 모니터링 시스템 (Development of an Automatic Monitoring System for Ultrasound Signa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김대훈;전현주;이오준;임해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62-664
    • /
    • 2023
  •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은 유해적인 적조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국가의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 상황이다. 적조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식물플랑크톤 미생물의 증가를 예방하고 통제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적조 모니터링 기술은 날씨, 시간 제약 및 실시간 모니터링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측정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적조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자동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공적인 개발을 보여준다. 개발한 시스템은 음향 반사파 데이터 처리를 통해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을 활용하여 식물플랑크톤 농도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특히, 이 CNN 모델은 음향 신호의 변환된 주파수 스펙트럼과 Cochlodinium polykrikoides (C. polykrikoides)의 농도 간의 상관 관계를 수립하는 데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다. 이 CNN 은 C. polykrikoides 를 감지하는 데 0.90 의 정확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모니터링과 CNN 분류의 활용은 실시간 측정의 중요한 잠재력을 보여주며, 추가적인 절차가 필요 없는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주파(MHz) 센서를 이용한 적조 플랑크톤 농도 추정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red tide plankton using ultrasonic sensor)

  • 복태훈;김은혜;이창원;나정열;팽동국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407-410
    • /
    • 2004
  • 우리나라 연근해 해역에서 발생하는 적조 현상은 매년 특정 시기에 끊임없이 나타나고, 그 피해액은 해를 거듭해갈 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적조 발생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그 피해는 상당히 줄어들 것이라고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연근해 해역에서 발생하는 적조의 우점종 플랑크톤인 Cochlodinium polykrikoides를 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C. polykrikoides 의 개체수 변화에 따른 후방산란신호를 획득하여 그 상관관계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주파수는 5MHz, 10MHz 이고, 적조 주의보와 적조 경보에 해당하는 개체수인 300cell/mL, 1000cell/mL 을 중심으로 개체수를 변화하였다. 필터링 후의 해수와 Cochlodinium 이 있는 해수의 체적산란 패턴 변화뿐만 아니라 Cochlodinium 의 개체수 변화에 따른 산란 패턴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 PDF

OCEANOGRAPHIC EVENTS AT NORTHERN BORNEO AND THEIR RELATIONSHIP TO HARMFUL ALGAL BLOOMS

  • Knee, Tan Chun;Ishizaka, Joji;Ransi, Varis;Son, Tong Phuoc Hoang;Tripathy, Sarat Chandra;Siswanto, Ek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491-494
    • /
    • 2006
  • The west coast of Northern Borneo is strongly influenced by Asian monsoon. Present research using the satellite ocean color (OC) remote sensing has identified some interesting oceanographic phenomena in this area that could be related to the harmful algal blooms (HAB). Occurrence of seasonal upwelling event was noticed off the northern tip of Borneo Island that could be related to the northeast monsoon wind. Harmful algal blooms by Pyrodinium bahamense var. compressum occurred since 1976. Subsequently, during December 2003, there was a report of new HAB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Northern Borneo. Analysis of OC images revealed that the Cochlodinium bloom had very high chlorophyll a signal and strong absorption characteristics. Results showed that the Baram River plume and upwelling at Northern Borneo were the source of nutrient for the Cochlodinium bloom in the offshore region. Ocean color images of 2004 showed that the bloom from Northern Borneo had crossed the Balabac Straits, reaching Palawan Island in Philippine. Due to the possibility of transboundary HAB problem, we propose a regional HAB monitoring network for an effective HAB management.

  • PDF

참다랑어 양식 : 욕지도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및 부침식 가두리 적정 침강수심 (Bluefin tuna (Thunnus thynnus L.) Aquaculture in Yokjido, Tongyeong :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and Reasonable Sinking Depth in Floating Cage)

  • 조은섭;황형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1-38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남 통영 욕지도에 참치양식용 내파성 가두리 설치시 Cochlodinium polykridoides 적조 발생에 대한 적정 침강 깊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장시간 동안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 현상을 조사하였다. 욕지도 근해의 식물플랑크톤 총 세포밀도는 월별에 따라 매우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규조류가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다. 여름철 와편모조류의 종 조성을 보면 Gymnodinium sp.가 총 19회로 가장 많은 출현 횟수를 보였고, 특히 C. polykrikoides도 총 8회로 나타났다. 또한 Karenia brevis 및 Fibrocapsa japonica와 같은 유독성 적조생물도 출현하여 이 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장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일출과 일몰에 따른 Chl-a 농도의 변화와 총 세포수의 변화는 상호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어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은 표층으로부터 최소한 3m 침강시켜야 C. polykrikoides 적조로 인한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봄철 나로도 협수로 인근해역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특성

  • 윤양호;한명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6-197
    • /
    • 2000
  • 한국 남해 중앙부에 위치하는 나로도 연안해역은 대규모 적조 형성으로 막대한 수산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매년 첫 발생해역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국립수산진흥원, 1998), 주변해역의 수괴 확장정도에 의해 복잡한 해양환경 특성을 나타내는 곳이기도 하다(양 등, 1999). 따라서 본 해역의 해양환경 및 생물분포는 시·공간적으로 매우 다른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이른봄 나로도 인근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하여 고찰한다(윤과 박, 2000). (중략)

  • PDF

황토의 적조구제효과 증대: 광화학 반응의 효과

  • 김창숙;배헌민;윤성종;조용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13-213
    • /
    • 2000
  • 점토살포에 의한 적조생물 구제효과가 알려지면서, 점토광물로 구성되어있는 산야토양 성분인 황토의 적조구제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한국에서는 대규모로 발생되고 있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의 구제물질로서 황토를 대량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황토의 적조구제 효율은 약 20∼80% 범위로서, 황토의 종류, 입자크기 및 살포방법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황토의 적조구제효과를 증진시키려는 일련의 노력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다시마 유래 항미세조류 물질 추출 및 알긴산 올리고 유도체의 막전위에 대한 영향 (Extraction of anti-microalgal material from Laminaria spp. and effect of oligo-alginate derivatives on membrane potential)

  • 이건섭;장만;신경순;김동균;오정균;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96-6202
    • /
    • 2012
  • 알긴산 올리고 유도체를 갈조류로부터 추출하였고, 추출물의 항미세조류 효과와 작용기작을 연구하였다. 고분자 알긴산을 2 N HCl과 1% $H_2O_2$.로 순차적 가수분해하여 알긴산 올리고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추출물의 항미세조류 활성은 반응시간에 비례하였으며 4시간에 가장 높았다. 알긴산 올리고 유도체를 Akashiwo sanguinea와 Cochlodinium polykrikoides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움직임이 정지하였다. A. sanguinea 세포는 파쇄되었고, C. polykrikoides 세포에는 원형질 분리가 유도되었다. 알긴산 올리고 유도체의 작용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세포내(pHi) 및 세포외 pH(pHe)의 변화를 0.05% 알긴산 올리고 유도체에 노출된 미세조류에서 측정하였다. pHi는 0.3 unit 감소하였고, pHe는 0.9 unit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알긴산 올리고 유도체에 의한 막전위의 변화가 미세조류의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