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erosion monitoring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2초

이상파랑하에서의 해빈변화특성 해석

  • 김희재;안효재;김강민;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1-243
    • /
    • 2014
  • 최근, 해안 침식 현상은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자체마다 각종 방지대책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방지시설을 설치하기 전에 표사이동특성 등의 변화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장기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변화검토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백사장 침식이 문제가 되고 있는 서해 중부 연안의 임의의 해빈(사빈)을 대상으로 장기 파랑특성분석을 통한 이상파랑, 계절별 탁월 파향, 파고, 주기 등을 고려한 평상파랑을 산정하고 이를 근거하여 수치모형실험을 통하여 파랑변형 및 표사이동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였다.

  • PDF

UAV-based Land Cover Mapping Technique for Monitoring Coastal Sand Dunes

  • Choi, Seok Keun;Kim, Gu Hyeok;Choi, Jae Wan;Lee, Soung Ki;Choi, Do Yoen;Jung, Sung Heuk;Chun, Sook Ji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2
    • /
    • 2017
  • In recent years, coastal dune erosion has accelerated as various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round the coastal dunes. A land cover map should be develop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and dunes and to monitor the condition of sand dunes.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s land cover maps suffer from problems, such as limited classes, target areas, and durations. Thu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s using RGB and multispectral images based on UAV (Unmanned Aerial Vehicle) over an approximately one-year cycle to create a land cover map of coastal dunes. RF (Random Forest) classifier was used for th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al region's characteristics. The pixel- and object-based classification results obtained by using RGB and multispectral cameras were evaluated, respectivel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object-based classification using multispectral images had the highest accuracy. Our results suggest that constant monitoring of coastal dunes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해빈침식해역에서의 대책수립을 위한 수치해석

  • 김희재;안효재;김강민;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1
    • /
    • 2014
  • 연구대상해역인 대천해수욕장은 이상파, 태풍의의 내습시 해빈 전반에 걸친 침식현상이 발생하여 단기영향에 따른 표사제어가 필요하므로 현장조사, 수리모형실험자료 및 수치모델해석을 통해 그 원인과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대책공법 중에서 양빈, 잠제와 양빈을 병행하는 경우를 현장에서 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두가지 방안에 대한 수치 실험 결과를 현재여건과 비교하여 최적 설계안을 결정함으로써, 대상해역의 장기적인 모래유실을 방지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 : 울진군 죽변면 연안을 대상으로 (Monitoring of Shoreline Change using Satellite Imagery and Aerial Photograph : For the Jukbyeon, Uljin)

  • 엄진아;최종국;유주형;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71-580
    • /
    • 2010
  • 해수면과 육지가 접하는 해안선은 자연적인 물론 연안개발 등 인위적인 활동에 따른 침식 및 퇴적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화한다. 해안선 변화는 해안환경의 파괴뿐만 아니라 연안구조물을 위협하며, 따라서 효율적인 연안관리를 위하여 해안선 변화의 장기적이고 시계열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1971년부터 2009년까지의 항공사진, 항공라이다 및 고해상도 광학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경상북도 울진군 지역의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였다.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기 위하여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정밀 기하보정을 실시하였으며, 젖은 모래 마른 모래 및 해수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원자력 발전소 방파제 설치 이후 방파제 주변으로 해안선 형태가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방파제 주변에서는 1971년부터 2009년까지 최대 120 m 해안선이 이동하였으며, 방파제 건설 전에는 약 30 m, 방파제 건설 이후 90 m 정도 해안선이 이동하였다.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앞 해안에서는 2003년까지는 퇴적으로 인하여 해안선이 해안쪽으로 최대 47m 이동하였지만 2003년 이후부터 2009년까지 계속하여 침식현상이 일어나면서 해안선이 육지쪽으로 최대 40m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해안선의 변화는 많은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일어날수 있으며, 연구지역의 경우방파제의 건설에 의한 침식 및 퇴적 현상이 주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물리학적 및 퇴적학적 연구를 통한 효율적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onitoring Mangrove Plantation along the Coastal Belts of Bangladesh (1989-2010)

  • Rahman, M. Mahmudur;Pramanik, Md. Abu Taleb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225-234
    • /
    • 2015
  • Mangroves are important coastal ecosystems and are located at the inter-tidal zones of tropical and sub-tropical belts. The global mangrove forests are declining dramatically because of the conversion of forests to shrimp farming, over-exploitation, pollution and freshwater diversion. The Bangladesh Forest Department initiated mangrove afforestation throughout the coastal belts of Bangladesh in 1966 to provide better protection for the coastal communities. Up to 1990, 120,000 ha of mangroves had been planted and it is one of the largest coastal afforestaton programs in the worl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it the spatial extent of mangrove plantation and their dynamics of changes over the last two decades using multispectral Landsat imagery. The study area covers the coastal areas of Bangladesh that is extended over the eastern part of Sundarbans up to Teknaf, the southern tip of mainland Bangladesh. Mangrove plantations were interpreted visually on computer screen and interactive delineation of forest boundary was done. The mangrove plantation area has been estimated as 32,725, 47,636 and 43,166 ha for the year of 1989, 2000 and 2010, respectively. Mangrove deforestation by human activity has increased almost six times in the recent decade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one. The mangrove forest loss due to coastal erosion has slightly declined in the 2000s. Mangroves have been lost primarily because of agricultural expansion.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mangrove plantation and the main drivers of changes in this coastal ecosystem.

Sediment Fluxes in Shelf Seas Modelling and Monitoring

  • Prandel, Davi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7권3호
    • /
    • pp.144-153
    • /
    • 2002
  • This is a review paper, assessing progress reported in a Special Issue (Prandle and Lane, 2000) of Coastal Engineering focusing on simulation of SPM in the North Sea, against issues over a diverse range of shelf seas and their coastal margins. The broad objectives of rep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fluxes off an open coast and relating these to tidal and wave forcing were achieved. However, accurate computation of these fluxes remains sensitive to largely empirical coefficients used in determining erosion and deposition rates. Bed roughness strongly influences both these coefficients and the associated near-bed current magnitudes (including wave impact thereon). Bed roughness can change significantly over a tidal cycle and dramatically over seasons or in the course of a major event. Accurate simulation of sediment fluxes on a day-to-day basis is constrained by dependency on the initial distribution of mobile sediments. The latter depends on rates and locations of original sources and the time history of preceding events. Remote sensing via aircraft could provide data for assimilation into such models to circumvent these constraints. The approaches described here can be readily applied to other coastal regions to indicate the likely distributions and pathways of known sediment sources. However quantitative simulations will require an associated observational programme. A subsequent stage is to understand the evolving balance between the forecasted sediment movement - the resulting morphological adjustments and thence modifications to the prevailing tidal current and wave regimes.

현장관측을 통한 잠제의 파랑제어효과검토 (Field Monitoring Examination on Wave Energy Dissipation Effects by Submerged Artificial Reefs)

  • 김규한;신범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안에 설치된 해안침식대책공법 중 잠제시설에 대한 현장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해안침식대책시설은 3년의 계획과 3년의 시공으로 총 6년간에 걸쳐 완공되었으며, 계획단계에 있어서의 수치모형실험결과와 관측결과 등에 대해서는 Kim et al.(2008, 2011)에 의해 소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관측을 통해 잠제시설 설치 이후의 해빈폭 증가 현상을 확인하였고 해빈폭이 늘어난 원인을 잠제의 기본적인 성능인 파랑제어효과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대상해역의 파랑관측은 잠제 시설 전면과 후면 즉 내해측과 외해측에서 수행하였다. 외해의 관측지점(수심 H = 16.5m)과 내측지점(H = 3.7 m)에 메모리형 파고계를 설치하여 파고관측결과를 도출하고 잠제시설의 파랑저감효과는 제체(잠제시설)를 투과하는 파랑의 전달율(Kt)로 분석하였다. 현장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내습하는 파랑을 저감시켜 해안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잠제의 파랑저감효과는 약 60%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상 LiDAR를 이용한 만리포 해변 정밀 지형측량 및 지형 변화 분석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s and Analysis of Topographical Changes on Malipo Beach)

  • 심재설;김진아;박한산;김선정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73-84
    • /
    • 2010
  • A terrestrial LiDAR was used to acquire precise and high-resolu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Malipo beach, Korea. Terrestrial LiDAR and RTK-DGPS (VRS) were mounted on top of a survey vehicle and used to scan 20 times stop-and-go method with 250 m spacing intervals at ebb tides. In total, 7 measurements were made periodically from 2008 to 2009 and after each beach replenishment event. We carried out GIS-based 3D spatial analysis such as slope and volume calculations in order to assess topographical changes over time. In relation to beach replenishment,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volume change revealed them to be simila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terrestrial LiDAR measurements are accurate and can be used to analyze temporal topographical changes. In conclusion, the methodology employed in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exercise coastal management through monitoring and analyzing beach process such as erosion and deposition.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대항리 조간대 갯벌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 (Camera Monitoring of Topographical Changes of Daehang-ri Intertidal Flat Outside Semangeum Sea Dike No.1.)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53-461
    • /
    • 2009
  • 새만금 방조제 건설 이후 새로운 갯벌 생성이 보고되고 있는 1호 방조제 앞 대항리 갯벌의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였다. 갯벌 지역은 이동상의 어려움과 밀/썰물에 따른 시간상의 제약으로 국지 혹은 소수 기선의 현장 관측만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 사이의 등고선을 나타낸다는 자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된 영상에서 관측된 수륙 경계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정보를 획득하였다. 2005년 9월부터 2009년 9월까지 6차례의 영상 관측 결과를 분석한 결과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매년 평균 0.127 m 씩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Time-dependent reliability analysis of coastal defences subjected to changing environments

  • Chen, Hua-Peng
    • Structural Monitoring and Maintenance
    • /
    • 제2권1호
    • /
    • pp.49-64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assessing the risk of wave run-up and overtopping of existing coastal defences and for analysing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the structures under future hydraulic conditions. The recent UK climate projections are employed in the investigations of the influence of changing environments on the long-term performance of sea defences.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wave run-up and overtopping caused by rising sea level and to maintain the present-day allowances for wave run-up height and overtopping discharge, the future necessary increase in crest level of existing structures is investigated. Various critical failure mechanisms are considered for reliability analysis, i.e., erosion of crest by wave overtopping, failure of seaside revetment, and internal erosions within earth sea dykes. The time-dependent reliability of sea dykes is analysed to give probability of failure with time. The results for an example earth dyke section show that the necessary increase in crest level is approximately double of sea level rise to maintain the current allowances. The probability of failure for various failure modes of the earth dyke has a significant increase with time under future hydraulic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