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astal erosion

Search Result 30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Impact Analysis on the Coastal Erosion and Accretion due to Relocation of the Breakwaters

  • Lee, Seung-Chul;Lee, Joong-Woo;Kim, Kang-Min;Kim, Ki-Dam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5-313
    • /
    • 2008
  • Recently it was known that the problems of nearshore processes and damage of berth and counter facilities frequently had appeared at the small fishery port, such as Daebang near Samcheonpo city, Korea. Here we t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rearrangement of counter facilities and berth layout adopted for tranquility of its inner harbor. Because this harbor is being connected to Daebang channel, the rearrangement of the structures might affect to the current speed and direction and wave height, so do to the sea bottom undulation. Therefore, we made model test for the several layouts of the berth and breakwater in this area. Numerical model result shows that the bottom was eroded by 1m by tidal currents and the speed of flow did not shrink, even after the construction work was completed. The direction of the sand movement was downdrift. Although the model study gave reasonable description of beach processes and approach channel sedimentation mechanism, it is necessary to compare with the field history, including the records of waves, tides and bottom materials, etc. for better prediction.

파랑후측모델링을 이용한 연안 파랑경향성 분석 (Wave Tendency Analysis o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Using Wave Hind-Casting Modelling)

  • 강태순;박종집;엄호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69-87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파랑후측모델링을 통해 우리나라 연안에서의 장기 파랑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파랑경향성 분석시 사용한 바람자료는 1979년부터 현재까지 제공하고 있는 ECMWF 바람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모델수행 기간은 2001년~2014년으로 14년 동안 수행하였다. 생산된 파랑후측모델링 결과는 국립해양조사원 및 기상청에서 설치한 파랑관측부이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태풍 및 폭풍이 발생한 이벤트 상황을 모델이 잘 재현하고 있으며, 정량적인 RMSE 값은 0.5 m로 유의한 결과 값을 보였다. 파랑후측모델링을 통한 최근 14년 동안의 파랑 경향성 분석 결과, 과거에 비해 권역별 파고 2 m 이상 출현율은 전해역 평균 0.082 %/year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고파랑이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연안 파랑경향성 분석자료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의 취약성평가 및 연안역에서의 침식방지구조물의 방재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하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대항리 조간대 갯벌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 (Camera Monitoring of Topographical Changes of Daehang-ri Intertidal Flat Outside Semangeum Sea Dike No.1.)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53-461
    • /
    • 2009
  • 새만금 방조제 건설 이후 새로운 갯벌 생성이 보고되고 있는 1호 방조제 앞 대항리 갯벌의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였다. 갯벌 지역은 이동상의 어려움과 밀/썰물에 따른 시간상의 제약으로 국지 혹은 소수 기선의 현장 관측만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 사이의 등고선을 나타낸다는 자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된 영상에서 관측된 수륙 경계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정보를 획득하였다. 2005년 9월부터 2009년 9월까지 6차례의 영상 관측 결과를 분석한 결과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매년 평균 0.127 m 씩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일본(日本)의 해안사방(海岸砂防)에 관한 연구(I) - 산형현(山形縣)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ast Sand Dune Fixation and Stabilization in Japan(I) - On Shounai Coastal Forest in Yamagata Prefecture -)

  • 전근우;이재선;차두송;박완근;나카시마 유키;에자키 츠지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31-44
    • /
    • 2001
  • 우리나라 해안림(海岸林)의 다면적(多面的) 기능(機能)과 시대적(時代的) 가치관(價値觀)의 변화를 파악하고, 해안사방(海岸砂防)의 참고자료를 얻기 위해 일본의 해안림과 해안사방에 대한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日本) 산형현(山形縣)의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을 중심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주요내용은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의 환경특성(環境特性), 연혁과 현황, 문제점, 장내지역(庄內地域)의 방풍림대(防風林帶)와 해안사방시설(海岸砂防施設) 등이다.

  • PDF

해안사구생태계의 경관생태분석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 in Korea)

  • 김재은;홍선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32
    • /
    • 2009
  • Coastal sand dune area is the important ecosystem as an ecotone which located between coastal area and terrestrial area. Moreover, it is very complicate landscape that have geomorphological interaction between erosion and accumulation of s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and dune ecosystem in view point of landscape scale including background landscape affecting origin of sand dune.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in the complicate ecosystem already started in developed countries, and it is applied to land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even in national scale. In this paper,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using landscape patter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7 study areas (Yellow Sea : Hakampo and Doksan, South Sea : Namyeol and Balpo, East Sea : Hosan, Hupo and Goraebul) in Korean coastal sand dune ecosystem. Landscape elements were composed by 9 elements in these study areas. Major background landscape elements was the forest land and agricultural field. Namyeol (S06) has larger patch landscape compare to other areas. In patch shape indices, Hupo (E10) shows more complicate patch shapes. The high landscape heterogeneity showed in the Doksan sand dune area and that of Hosan. It shows that these areas were composed by various patch types. However, using landscape indices have to use very carefully because several variables have influence to the result such as scale and spatial pattern of study areas. Although landscape analysis through landscape indices shows sometimes difficult to explain the ecosystem, landscape scale approach on ecosystem assessment still useful to interpret in ecological process in large range of habitat.

증도 우전 해안사구 퇴적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형성환경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Environments of the Ujeon Coastal Dune Depositsin Jeungdo)

  • 오정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3-61
    • /
    • 2018
  • Heterogeneous sedimentary deposits with different soil colors and various degree of hardness are exposed in its foredune and tidal zone due to the effects of recently accelerated coastal erosion along the Ujeon Coast in Jeung-do, Shinan-gu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se sedimentary deposits were developed in different timing and environments. Thus, we can infer the geomorphic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area based on evidences lik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edimentary layer. Several analysis of these sedimentary depositssuch as grain size analysis, X-ray Fluorescence Measurement (XRF), and Loss on ignition (LOI) were performed on central (Ujeon A) and southern (Ujeon B) parts of the Ujeon Coast. I found that the foredune sedimentary deposits have four stages of geomorphic development processes. In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during the peak of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MIS 5e), basal deposits were accumulated in the low-energy environment of subtidal zones. In the second stage,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MIS 4~MIS 2), eolian sedimentary layers were developed by terrestrial aeolian processes by which fine materials were transported from the Yellow Sea which became a dry land exposed by lowered sea level. In the third stage, various mechanism existed for the formation of each sedimentary layer. In the region of Ujeon A, sedimentary layers were developed in the littoral zone environment dominated by marine processes during the maximum phase of transgression in the Holocene. Meanwhile, the region of Ujeon B began to form eolian sedimentary layers during MIS 2. In the last stage, thick coastal dune deposits, covered all over the Ujeon Coast. During the late Holocene (0.7~0.6 ka), terrestrial processes kept dominating the region, developing typical eolian sedimentary layers.

A Research of Coastline Deformation with an Aerial Photo

  • Kim, Kam-Lae;Kim, Hak-Joon;Jeon, Ho-Wo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3권1호
    • /
    • pp.1-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a history of the coastline deformation with annual aerial photos of the target area and to suggest an efficient method for interpreting the coastline deformation. First, there were difficulties in obtaining annual aerial photos of an identical area as well as collecting periodical datum because of too much change of the real area during more than 27 years. Besides the past aerial photo is inferior to the latest one in quality. So there is nothing but to exclude an accuracy evaluation of the ortho photo. Taken into account the extent of the coastline change for 27 years is more than 10M and the all errors of the ortho image is included in this extent, both an accuracy and an error are ignor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astline in the sea area of Namhangjin maintain advanced forward the ocean and keeps on moving with maintaining fairly wider shape of balance beach. Also The coastline deformation off l㎞ from the estuary is greatly irregular, which means the erosion of the sea in this area is in progress. The latest data being the aerial photo in 1996,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current conditions of a coastal erosion. However, considered the construction of a breakwater in Anmok Harbor is going on, the beach erosion becomes more accelerative recently. The aerial photos of the present Namhangjin's situation will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coastline change more accurately.

  • PDF

연안 취약성 지수를 활용한 해수면 상승 영향평가 방안 연구 (Impact Assessment of Sea_Level Rise based on Coastal Vulnerability Index)

  • 이해미;강태순;조광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304-314
    • /
    • 2015
  • 본 연구는 해수면 상승 취약성 지수 개발을 통한 국가차원의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기존 연안 취약성 지수 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동해안 적용을 통하여 미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취약성 지수는 미국지질조사국(USGS) 지수, 해수면 상승 지수, 복합 취약성 지수, 다중스케일 취약성 지수를 포함하며, 이 중국가정책 차원의 활용도와 가용 자료를 고려하여 연안 외력(해수면 상승, 파랑, 조석)과 해안의 적응 능력(지형, 침식률, 경사도)의 함수로 취약성을 나타내는 USGS 지수를 선정 평가하였다. 현재 동해안의 취약성 지수는 1.826~22.361(평균 7.085)이였으며, 1 m 해수면 상승 시 2.887~30.619(평균 12.361)로 증가하였다. 매우 높은(VERY HIGH) 취약도를 나타내는 해안은 현재 8.57%에서, 1 m 해수면 상승 시 35.56%로 증가하였다. 취약도 변화는 지자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강릉시, 양양군, 고성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위험 지역의 토지이용은 농지, 주거지, 도로 등의 인간시스템과 사빈, 습지, 산림 등의 자연시스템 공히 많은 분포를 나타내어, 기후변화 시대의 해안토지이용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약성 지수의 정책적 활용 및 특정 취약 해안 적응을 위하여 취약성 지수에 의한 스크리닝, 영향 모델에 의한 취약지 영향평가 및 이들 평가에 기초한 확률적 리스크 정량화 등 3단계 취약성 평가 체계를 제안하였다.

ECMWF 바람자료를 이용한 연안 파랑후측모델링 (Coastal Wave Hind-Casting Modelling Using ECMWF Wind Dataset)

  • 강태순;박종집;엄호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99-6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파랑수치모형(SWAN)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연안역에서의 장기 파랑을 후측모델링하고, 그 활용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파랑후측모델링을 위한 입력 바람자료(NCEP, ECMWF, JMA-MSM)를 검토한 결과, JMA-MSM의 예측정확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상대적으로 자료제공기간이 짧아 자료제공기간이 긴 ECMWF 바람자료를 채택하였다. 파랑후측모델링은 파랑관측부이가 설치되어 검증이 가능한 2001년부터 2014년까지의 ECMWF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생성된 모델 결과는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의 파랑관측 부이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파랑후측모델링 검증결과 파랑관측 부이자료와 잘 일치하였으며, 특히 태풍과 같은 이벤트 기간의 해역 상황을 전반적으로 잘 재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파랑관측부이 자료의 한계인 결측기간 동안의 파랑자료를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일부 정점에서는 이벤트 기간 동안의 최대파고를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이유는 바람입력자료의 시간간격 및 해상도, 수심자료, 격자크기 등의 한계로 파악된다. 본 파랑후측모델링 결과는 연안역에서의 침식원인규명 특히, 이벤트 시기의 파랑특성과 연계한 분석이 가능하며, 원하는 연안지점에서의 파랑후측정보를 생산할 수 있어 연안재해취약성평가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산불피해지에 있어서 강우패턴에 따른 침식토사량의 변화 (Rainfall Pattern Regulating Surface Erosion and Its Effect on Variation in Sediment Yield in Post-wildfire Area)

  • 서정일;전근우;김석우;김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34-545
    • /
    • 2010
  • 산불피해지의 급경사면에 있어서 지표토사의 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강우의 형태와 강도를 산불의 피해강도 및 경과년수별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침식토사량의 변화와 그 원인을 해석하기 위해 2000년도에 발생한 산불피해지 가운데 강원도 삼척시 인근지역을 대상으로 저 중 고강도산불피해를 입은 산림에 각각 3개소씩, 총 9개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침식토사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산불피해의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그리고 산불발생 후의 경과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토양의 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강우형태는 일강우량에서 실효우량으로 변화하였으며, 토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강우강도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 식생에 의한 강우차단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토양공극이 감소되어 침투능 역시 저하되며, 이러한 유수의 표면유출에 관여하는 물리적 생태학적 조건은 산불피해의 강도 및 경과년수에 따라 다양화된다. 이러한 현상은 산불피해지의 토양침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산불피해의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그리고 산불발생 후의 경과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침식토사량은 경감되었으며, 그 증가추세 역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불피해지의 다양한 물리적 생태학적 조건을 고려한 종합적인 복원 및 관리방안의 수립이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