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control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28초

해양오염도 분석을 위한 연안 정점 데이터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연안해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thods of the use of Coastal Station for the Analysis of Marine Contamination - Focusing on Busan Coastal Sea Area -)

  • 황진욱;김호용;이성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1-80
    • /
    • 2006
  • 수제선의 안쪽인 육역의 경우는 각 역할에 따른 관리주체가 공간 활용 등의 목적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관리가 되고 있지만, 해역의 경우는 육역에 비하여 관리정도가 아주 미비한 실정이다. 하지만 국토공간의 지속적인 개발 관심과 더불어 해양공간의 확보 및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양에 대한 정보 및 환경에 대한 정보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부산은 다른 지역의 연안과는 달리 항만, 관광, 부두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의 환경적 요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광범위한 부산연안지역의 해양 오염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주요지점 및 많은 지역에서의 데이터 획득이 중요한데 반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부산연안의 데이터의 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높은 정보 요구도에 의한 수치해도의 수요증대에 대비하여 수치해도를 이용하여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공하는 부산연안의 17개 연안 정점 자료와의 결합을 통하여 속성 및 공간데이터를 구축하고, GIS의 공간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연안의 환경 현황과 연속성 파악을 위한 분석 기법과 효용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4차원 자료동화 기법을 이용한 해안가 대기 순환의 수치 실험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local circulation in coastal area using Four-Dimensional Data Assimilation Technique)

  • 김철희;송창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2호
    • /
    • pp.79-91
    • /
    • 2002
  • Four dimensional data assimilation (FDDA) technique was considered for 3 dimensional wind field in coastal area and a set of 3 numerical experiments including control experiments has been tested for the case of the synoptic weather pattern of the weak northerly geostrophic wind with the cloud amount of less than 5/10 in autumn. A three dimensional land and sea breeze model with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of 290K was performed without nudging the observed wind field and surface temperature of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for the control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control experiment showed that the horizontal temperature gradient across the coastline was weakly simulated so that the strength of the sea breeze in the model was much weaker than that of observed one. The experiment with only observed horizontal wind field showed that both the pattern of local change of wind direction and the times of starting and ending of the land-sea breeze were fairly well simulated. However, the horizontal wind speed and vertical motion in the convergence zone were weakly simulated. The experiment with nudgings of both the surface temperature and wind speed showed that both the pattern of local change of wind direction and the times of starting and ending of the land-sea breeze were fairly well simulated even though the ending time of the sea breeze was delayed due to oversimulated temperature gradient along the shoreline.

직사각형 검사영역의 상관도 분석을 통한 수면위치 탐색 방법 (A Novel Water Surface Detection Metho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for Rectangular Control Area)

  • 이찬주;서명배;김동구;권성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2호
    • /
    • pp.1227-124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목자판과 수면이 포함되어 있는 시차를 가진 두 영상에 대해 직사각형 검사영역을 설정하고 그 상관계수를 분석하여 수면을 판단하는 새로운 수면인식 기법을 제안하였다. 상관계수의 수직적인 값들로부터 임계치, 첨두값, 기울기, 분산비 등 4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수면의 위치를 판정하였다. 흔들림 등으로 인해 두 영상의 위치가 불일치하여 생기는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알고리즘과 통계적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저수시에 촬영한 28개 지점의 영상에 개발한 수면 인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으로 계산한 수면은 목측 수면과의 평균상대오차가 3.4~5.7 cm 정도로 나타났다. 수면의 요동이 있을 경우, 이 방법은 기존 방법을 보완하여 영상수위계의 수위 측정성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원주 파일군 구조물에 의한 항내 정온도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arbor tranquility by Multi-cylinder piles Structure)

  • 이상화;장은철;정동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2
    • /
    • 2007
  • 연안역의 파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경제적으로 유리한 구조물로서 다원주 파일군을 제안하고, 이 구조물의 수리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3차원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콘크리트를 사용한 기존의 파제제와 아크릴로 제작된 다원주 파일 형태를 이용한 구조물을 동일 평면배치 상에서 파고분석을 통해 파랑제어 및 항내 정온도 향상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일 평면배치 상에서의 항내 정온도 효과는 파제제 설치 > 교차 배열 다원주 파일군 설치 > 정방형 배열 다원주 파일군 설치 순으로 나타났다.

연안의 효율적 수질관리 방향과 해양환경영향평가 (Effective Coastal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이대인;엄기혁;김귀영;홍석진;이원찬;장주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7
    • /
    • 2008
  • 본 연구는 연안의 수질개선과 오염제어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수질관리의 원리와 기법,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및 선진사례를 검토하였고, 현재 오염총량 산정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지적하였다. 또한, 오염총량제와 환경용량과의 관계, 해양환경 예측 모델로 활용되고 있는 생태계모델의 연구접근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사항을 토의하고, 나아가서 연안수질 관련 제도와 정책에서 반영하고 흡수해야 할 수질관리 내용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안오염총량제의 대상이 되는 연안에서는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에서 해당하는 개발사업이나 계획 중 신규 오염원에 대해서는 오염부하삭감량과 할당량을 산정해서 평가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고, 연안관리지역계획에서는 환경관리계획에 좀 더 중심을 옮겨 기본적으로 관할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원과 오염부하량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별관리해역 등 향후 연안오염총량제 적용대상이 되는 지자체에서는 하수도관리계획 등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이러할 점을 고려해서 장기적이고 일관성있는 하수도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연안오염총량제도는 다른 환경관리해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할 것이로, 그 외의 지역은 지자체장이 주부장관과의 협의를 통해 자발적으로 시행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태계모델링에 의한 환경용량(수질적 차원의 총허용오염부하량) 산정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한 적용모델의 신뢰성과 과학적 타당성 확보는 환경영향평가 관련 협의시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으로 고려되고 있다 연안 육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에 대해서는 연안환경을 관리하는 주무부처가 주도적으로 감시 감독하고 관리체제에 환한 법적 거를 마련하거나 관련 법률을 정비해서 통합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속초 영랑해안 해빈침식대책 인공구조물 건설에 기인하는 해안선 변화 (Shoreline Change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Coastal Erosion Control Structure at the Youngrang Coast in Sockcho, East Korea)

  • 강윤구;박효봉;윤한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6-304
    • /
    • 2010
  • 동해안 속초시 영랑해안의 해빈침식 방지를 위한 인공해안구조물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변 해안선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그 해안침식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공 해안구조물은 3기의 인공헤드랜드 및 2기의 잠제 복합배열로 계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년에 걸친 2기의 인공헤드랜드의 건설과정에서 나타난 해안선를 대상으로 다루었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랑해안은 해양파랑의 계절적인 방향별 출현특성에 따라 연안표사가 북서-남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중앙헤드랜드의 헤드부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영랑해안의 해빈의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났다. (2) 그러나 중앙헤드랜드의 헤드부가 완성될 즈음에는 연결부 주변에서는 퇴적이 진행되고, 남측 및 북측 포켓 중앙부에서는 침식이 진행되었다. 이는 중앙헤드랜드 헤드부의 배후가 정온역이 되어 연결부 주변에 퇴적이 나타나고,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가 연결부에서 차단됨에 따른 표사의 불균형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장기간의 해안침식방지공 공사 과정 중에는 구조물에 의해 파랑변형과 표사수급의 불균형 등에 의해 본래의 목적과 다른 국부적인 침퇴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위차 극복형 잠제의 파랑제어 (Wave Control by Tide-Adapting Submerged Breakwater)

  • 이우동;정연명;허동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73-580
    • /
    • 2019
  • A submerged breakwater is a coastal structure built under water with excellent landscape. The depth of the crest of the breakwater should be maintained at more than a certain level in order for the submerged breakwater to control waves properly.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blocking waves deceases sharply at high tide in coastal areas with large tidal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Tide-Adapting Submerged Breakwater (TA-SB) to overcome this problem, and then we conducted hydraulic model experimen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A-SB for controlling wav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apered wings attached to the crest of the TA-SB helped induce forced breaking waves. In particular, they were very effective in blocking waves and attenuating wave energy at high tide. In addition, the wave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A-SB was far superior to the Tide-Adapting Low-Crested Structure (TA-LCS) of the previous study.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detecting lateral buckling for subsea pipelines with distributed fiber optic sensors

  • Feng, Xin;Wu, Wenjing;Li, Xingyu;Zhang, Xiaowei;Zhou, Jing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5권2호
    • /
    • pp.245-258
    • /
    • 2015
  • A methodology based on distributed fiber optic sensors is proposed to detect the lateral buckling for subsea pipelines in this study. Uncontrolled buckling may lead to serious consequences for the structural integrity of a pipeline. A simpl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control the formation of lateral buckles among the pipeline. This firms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the occurrence and evolution of pipeline buckling during the installation stage and long-term service cycle. This study reports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a method for distributed detection of lateral buckling in subsea pipelines with Brillouin fiber optic sensor. The sensing scheme possesses the capability for monitoring the pipeline over the entire structure. The longitudinal strains are monitored by mounting the Brillouin optical time domain analysis (BOTDA) distributed senso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line. Then the bending-induced strain is extracted to detect the occurrence and evolution of lateral buckling. Feasibility of the method was validated by using an experimental program on a small scale model pip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able to detect, in a distributed manner, the onset and progress of lateral buckling in pipelines. The methodology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a promising tool for assess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subsea pipelines.

Stable Oxygen and Carbon Isotope Profiles of the Bivalve Shells collected from Coastal Regions of Korea: Comparison of the Coastal Water Properties

  • Khim, Boo-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2권1호
    • /
    • pp.28-37
    • /
    • 1997
  • Two marine bivalve shell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respectively. Stable oxygen and carbon isotope profiles are constructed using the incremental sampling along the axis of maximum growth to provide the continuous ${\delta}^{18}$O and ${\delta}^{13}$C records, which register the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eawater where the organisms live. Cycles in the ${\delta}^{18}$O profiles are interpreted as annual along with the identification of annual growth bands; the maximum ${\delta}^{18}$O values correspond with the coldest temperature of seawater whereas the minimum ${\delta}^{18}$O values with the warmest temperature. The primary control on the amplitude of the ${\delta}^{18}$O profiles is seasonal variation of seawater temperature. The offset of the baseline between ${\delta}^{18}$O values of the two specimens is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both temperature and seawater ${\delta}^{18}$O values between two localities. The ${\delta}^{13}$C profiles show the similar seasonality of carbon cycling associated with phytoplankton productivity. The offset in the ${\delta}^{13}$C profiles between two specimens may be, as in the case of oxygen isotope profil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delta}^{13}$C value of the seawater DIC (dissolved inorganic carbon) between the western coast and the eastern coast. Relationships between the shell isotopic composition and the coastal water properties of shell growth are readily interpreted from the ${\delta}^{18}$O-${\delta}^{13}$C pair diagram of the shell isotope data, similar to the use of salinity-${\delta}^{18}$O diagram for identifying water masses. The preliminary stable isotop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llusk shell isotope geochemistry may be useful to monitor the properties of water masses in the coastal and inner shelf setting around Korea and improve the interpretation of paleoceanography, provided the fossil mollusks are well preserved.

  • PDF

Infection Status with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in Fishes from Coastal Lakes i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Cho, Shin-Hyeong;Lee, Soon-W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681-690
    • /
    • 2019
  • The infection status of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DTM) was investigated in fishes from coastal lakes in Gangwon-do, the Republic of Korea (Korea). All fishes collected in 5 lakes were examined with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 More than 10 species, i.e., Metagonimus spp., Pygidiopsis summa, Centrocestus armatus, Metorchis orientalis, M. taiwanensis, Clinostomum complanatum, Echinostoma spp., Stictodora spp., Diplostomum sp. and Diplostomid No. 1. by Morita (1960), of DTM were detected in fishes from 5 coastal lakes in Gangwon-do. Metagonimus spp. metacercariae were found in 52 (41.3%) out of 126 sea rundace, Tribolodon hakonensis, from 5 lakes, and their density was 14.6 per fish infected. P. summa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48 (84.2%) out of 57 mullets from 5 lakes, and their density was 316 per fish infected. C. armatu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7 (14.6%) T. hakonensis and 3 (15.0%) Tridentiger brevispinis from Hyang-ho, and 5 (19.2%) Acanthogobius flavimanus from Gyeongpo-ho. Stictodora spp. metacercariae were found in 4 fish species, i.e., Tridentiger obscurus, Tridentiger trigonocephalus, Chelon haematocheilus, and Acanthogobius lactipes, from Gyeongpo-ho. Total 15 C. complanatum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2 (9.1%)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from Songji-ho. M. taiwanensis metacercariae were found in T. hakonensis from Hyang-ho and Gyeongpo-ho and in Pseudorasbora parva from Gyeongpo-ho. Total 11 M. orientali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3 (6.3%) T. hakonensis from Hyang-ho.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species of DTM are infected in fishes from coastal lakes in Gangwon-do,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