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Zone Management Method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3초

미국 연안구역(Coastal Zone) 관리수단의 특성 -조닝방식과 이종 데이터 간 통합방법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Zone Management Methods in U.S.A -Focus on Zoning & Integrated Methods of Different Kind Data-)

  • 오지훈;이석환;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590-3598
    • /
    • 2010
  • 지역차원에서 연안구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해양 및 연안공간정보의 확보,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 분석방법, 그리고 이런 연구결과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과학 기술적 지원체계 구축은 필수적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연안구역(Coastal Zone)의 사례에서 나타난 조닝(Zoning)방식과 이종 Data간 통합방법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공통된 특성은 연안의 가치와 이용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설정기준과 지표 마련,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Data 가공 및 분석방법, 해양 및 연안공간정보 구축 및 통합을 위한 전담기구의 설치 운영 등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미국 연안구역의 관리수단 즉, 조닝방식과 이종 Data간 통합방법에 나타난 공통의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차원에서 국내 연안구역(Coastal Zone)관리 시스템을 올바르게 구축하기 위한 기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안지역 이해상충 해소를 위한 평가구조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Evaluation Structure for Conflict Resolution in Coastal Area)

  • 여기태;박창호;이기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05-119
    • /
    • 2001
  • 우리나라에서는 연안지역을 이용할 때 다양한 이해주체들간에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과 같이 이해상충 해결을 위한 중재자의 활발한 활동, 이해갈등해소 프로그램의 운영,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 및 연안관련법의 연관성 등이 잘 정비되어 있지 못하여, 연안지역에서 이해상충이 발생될 시 큰 사회적 파장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역을 이용할 때 상충되는 이해주체간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출 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정형화된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시스템의 평가구조를 유효하게 추출하는 주성인 분석법을 사용하며, 설문은 보존과 환경에 관련된 연구소, 환경단체, 지역주민을 포함하는 전문가 집단, 개발 및 이용에 관련된 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연구소에 소속되는 전문가 집단 및 관련 분야에 연관되는 대학교수, 연구원 등외 연구분야의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이해상충 조정을 위한 객관적인 평가구조는 총 5개의 대표속성 및 35개의 복합적인 세부속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도출된 평가구조는 중재자의 활동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우리나라 현실에서 상충해소를 위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분야 및 후속연구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항공사진(航空寫眞)에 의한 해안(海岸)의 효율적 이용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ual use and Management of the Coast by mean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 양인태
    • 산업기술연구
    • /
    • 제7권
    • /
    • pp.15-25
    • /
    • 1987
  • 해안의 효율적 이용관리는 국토의 이용면에서나 해양자원의 보호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해안 현상은 대단히 국지성이 강하므로 각 해안은 각각 특유의 문제를 갖는다. 그러므로 해안은 때때로 입체적으로 파악이 되어야 하나 재래식 방법으로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항공사진의 입체 모델을 이용하면 해안 관리에 매우 높은 효용성을 얻을 수 있다. 항공사진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없고 해안의 동적현상과 형태를 시간에 따른 상관관계로 표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원격탐사기 및 방사계로부터 얻은 이미지는 해안지대 관리에 관련된 계획수립자에게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정보는 자동으로 읽어낼 수 있도록 정량화되고 처리될 수 있는 부가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빠르고도 저렴한 비용의 기술을 제공하므로 원격탐사를 위한 종합 시스템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확보되어야 한다.

  • PDF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 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1
    • /
    • 2008
  • 본 조사는 2005년 12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해안 방풍림을 지역을 중심으로 곰솔군락의 특성을 조사하고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매도 해안 방풍림인 곰솔군락을 주요 구성종과 식생유형에 따라 교란형, 성장형, 혼합형, 안정형, 배후산지형 식생 등으로 구분하였다. 교란형 식생과 성장형 식생의 곰솔군락에서는 간벌, 풀베기, 솔아내기, 휴식공간 활용, 병든 소나무 벌목 등을 통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혼합형 식생, 안정형 식생 그리고 배후산지형의 곰솔군락에서는 방풍림 산책로, 삼림완충지대 조성, 식생천이를 유도함으로서 자연식생을 복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해안 방풍림 보전이 필요하다. 조사지역에서는 해안 방풍림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실태에 따라 해수욕장과 공한지 주변지역 관리, 배후습지 복원 관리, 외래식물 분포 억제 관리, 생물종의 다양성과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관리, 곰솔림의 고령화와 병충해 확산 예방 관리 등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APPLICATION OF OCEAN COLOR REMOTE SENSING IN MARINE STUDY OF VIETNAM ? STATUS AND POTENTIAL

  • Long, Bui Hong;Son, Tong Phuoc Hoang;Khin, Lau V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170-173
    • /
    • 2006
  • The remote sensing is powerful oceanographic tools not only for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ICZM) but also for various areas of oceanography. Thank to effort of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as well as active support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many projects on the applied oceanography had and have been caring out in coastal and offshore waters of Vietnam sea. One of the modern methods which has been used in these project is ocean color remote sensing technique. This paper will present some preliminary results obtain from application of these techniques in study of coastal and offshore environment of Vietnam sea.

  • PDF

연안역의 환경과 미티게이션 기술 (Water Environment and Mitigation Technique of Coastal Zone)

  • 최영박
    • 기술사
    • /
    • 제33권1호
    • /
    • pp.51-60
    • /
    • 2000
  • The mitigation technique is to minimize influences to the environments, and it is one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or administration) to techniques. Its objective is to create sustainable environment by keeping human assistance to the environment as minimal as possible. It restores, creates, enhances, and most importantly preserves the environment by avoiding, minizing, rectifying, eliminating, and compensating the natural circumstances The evaluation of adverse effects to the environment and their reduction is as follow: HEP(Habitat Evaluation Procedure) WET(Wet land evaluation technique) HGM(Hydro Geomorphic Assessment) BEST(Biological Evaluation Standardized Technique) Since there are both pro and cons in the American and Japanese mitigation methods, it is hard to choose which one is better.

  • PDF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하천지역 인공 제방선 추출 (Construction of a artificial levee line in river zones using LiDAR Data)

  • 정윤재;박현철;조명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5-185
    • /
    • 2011
  • Mapping of artificial levee lines, one of major tasks in river zone mapping, is critical to prevention of river flood, protection of environments and eco systems in river zones. Thus, mapping of artificial levee lines is essential for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river zones. Coastal mapping including river zone mapping has been historically carried out using surveying technologies. Photogrammetry, one of the surveying technologies, is recently used technology for national river zone mapping in Korea. Airborne laser scanning has been used in most advanced countries for coastal mapping due to its ability to penetrate shallow water and its high vertical accuracy. Due to these advantages, use of LiDAR data in coastal mapping is efficient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significant topographic change in river zones.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3D artificial levee line using a set of LiDAR points that uses normal vectors. Multiple steps are involved in this method. First, a 2.5-dimensional Delaunay triangle mesh is generated based on three nearest-neighbor points in the LiDAR data. Second, a median filtering is applied to minimize noise. Third, edge selection algorithms are applied to extract break edges from a Delaunay triangle mesh using two normal vectors. In this research, two methods for edge selection algorithms using hypothesis testing are used to extract break edges. Fourth, intersection edges which are extracted using both methods at the same range are selected as the intersection edge group. Fifth, among intersection edge group, some linear feature edges which are not suitable to compose a levee line are removed as much as possible considering vertical distance, slope and connectivity of an edge. Sixth, with all line segments which are suitable to constitute a levee line, one river levee line segment is connected to another river levee line segment with the end points of both river levee line segments located neares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each other. After linkage of all the river levee line segments,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is generated. Since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consists of the LiDAR points, the pattern of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is being zigzag along the river levee. Thus, for the last step, a algorithm for smoothing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is applied to fit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into the reference line, and the final 3D river levee line is constructed. After the algorithm is completed,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construct the 3D river levee line in Zng-San levee nearby Ham-Ahn Bo in Nak-Dong river.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constructed river levee line generated using a proposed method has high accuracy in comparison to the ground truth. This paper shows that use of LiDAR data for construction of the 3D river levee line for river zone mapping is useful and efficient; and, as a result, it can be replaced with ground surveying method for construction of the 3D river levee line.

  • PDF

우리 나라 해양생산 및 관리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tus and Prospect of the Marine Production and Resource Management in Korea)

  • 양용림;이주희;이춘우;장창익;신현옥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98-121
    • /
    • 2000
  • The Korean fishery encountered a difficulty situation, due to the new regime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and the decreasing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In addition, the coastal areas are deteriorated by industrial wastes, sewage, farming wastes and pollution from aquaculture.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AC (total allowable catch) - based management system, the development of fishing gears and appropriate fishing methods for stock conservation, and the automation system of fishing gear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ishe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an appropriate system in marine production and resource management under the new UNCLOS (United National Convention for the Law of the Sea) regime for subjects in fishing gears and methods, production system, and information, and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scientific information to maintain and develop the Korean fisheries and to establish fisheries policy for the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 PDF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기준 및 관리지역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Setting Criteria and Management Area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 전성우;천정윤;성현찬;송원경;박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54-171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how criteria of a National Ecological Network (NEN) for South Korea and it was a part of a study of ecological network for broad areas on national land show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After 1970s, many european countries presented methods and criteria not on individual protected area but on networking among many habitats. The PEEN (Pan European Ecological Network) and NATURA 2000 are results of those. In South Korea, concepts and mapping metheods of ecological network was studied but those were not applied to the whole national land because the equality and local specialities were not reflected. So,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criteria composed of forest, river, wildlife and coastal evaluation items in conservation ecology and showed the mapping method which can applied to the national land. After the evaluation on land area which composed of forest, river and wildlife axis. Core areas were $30,616km^2$, buffer zone were $21,870km^2$ and each accounted for 31% and 22% of the national land. Except for Taebaeck-Gangwon region, whole region's core areas were accounted for 20~30% of it and buffer zone were accounted for 20~25% of it, so these can be applied to the national land with equality and local specialities. Forest axis and river axis were clearly linear and connected, but the wildlife axis was dispersed in point form. Therefore, to apply the NEN, a detailed habitat map is important and the interconnected implementation of forest, river, wildlife, and coastal axis is required.

서해연안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탐지를 위한 KOMPSAT-2 영상의 활용 (Application of KOMSAT-2 Imageries for Change Detection of Land use and Land Cover in the West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 선우우연;김다은;강석구;최민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53
    • /
    • 2016
  •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변화에 대한 신뢰성 높은 평가는 수로학 및 지리학적 연구에서 침식 및 퇴적, 해안 모니터링, 생태영향평가와 같은 다양한 실질적인 사안들을 발전시켰다. 원격탐사 이미지는 시간 변화에 따른 자연 및 토지변화를 살펴보는데 있어 뛰어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서는 환경 모니터링을 위해 고해상도의 원격탐사 영상 이미지를 활용한 보다 정확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갯벌보호지역이 위치한 한반도의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부지역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에 대한 맵핑 및 변화탐지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8년부터 2015년에 촬영된 KOMPSAT-2 위성의 다중분광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변화 맵핑은 무감독 토지분류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postclassification 변화탐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의 연안지역에 대한 토지이이용 및 토지 피복변화에 대한 평가결과는 시간변화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각각 약 1.97%, 4.34% 정도의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지역의 토지피복 변화 양상을 정량화 하였으며, 특히, 화소기반 분석을 통해 연안지역에 대한 KOMPSAT-2 다중분광 이미지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변화 정보는 연안환경 관리 및 정책결정을 위해서 환경 및 정책관리자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