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rse positioning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초

조미등 위치결정기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rse and Fine Positioning Apparatus)

  • 오보석;오용훈;오성민;박환규;김재열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55
    • /
    • 1995
  • 정밀위치결정 기구는 정밀가공기, 계측기기, 반도체 제조장치등의 각종산업기기에 있어 중요 장치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반도체 회로의 고정밀화, 고집적화, 가공기의 고정도화와 함께 위치결정기구의 기술은 매년 엄격해지고 있다. 현재는 0.1 -0.01 .$\mu$ m의 정도가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고정밀 미동제어 위치결정 제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고정도와 함께 대스트로크(Stroke)를 가지며, 동시에 고속동작의 실현이필요하다. 따라서 이런 여러 성능을 만족시키는 것은 고부가가치 산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이다.

  • PDF

고속 UWB의 상대주파수 차이 보상에 의한 거리추정 성능평가 (Rang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Relative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in High Rate UWB)

  • 남윤석;임재걸;장익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76-85
    • /
    • 2009
  • 높은 해상도를 갖는 UWB 신호는 무선 개인영역망에서 거리추정 및 위치추정에 사용된다. 이들 노드는 국부클럭으로 동작하고, 노드간의 클럭 주파수 차이는 이동노드의 위치를 추정하는 거리추정 알고리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IEEE802.15.4a의 저속 UWB에서는 추가적인 망동기의 도움 없이 수행하는 TWR 및 SDS-TWR의 비동기 양방향 거리추정 방식을 기술하고 있으나 클럭 주파수차이의 영향을 없애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UWB 물리기능에 두 노드의 수정발진기 주파수 차이를 추정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고속 UWB에서는 추적회로를 사용한 수정발진기 편이 추정이 표준에 별도로 요구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잡음이 없는 환경에서는 노드간의 수정발진기 편이 추정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대주파수 편이를 사용하여 TWR 기반의 거리추정 수식을 유도하였으며, 이상적인 수식에서의 잔여 오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으로 상대주파수 편이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고, TWR 횟수에 따른 거리추정오차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클럭 해상도가 낮더라도 다수의 TWR을 사용한 상대주파수 편이 보상 방식에 의하여 거리추정오차의 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패턴비교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관객 수 카운팅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dience Counting Method in Auditorium Based on Pattern Comparison)

  • 심상균;박영경;김중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1호
    • /
    • pp.13-22
    • /
    • 2007
  • 본 논문은 극장이나 공연장에 설치된 CCTV 혹은 캠코더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패턴비교를 이용해 관객의 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극장이나 공연장의 환경은 주로 어둡고 관객의 수가 많기 때문에 기존의 객체 검출에 의한 방법으로는 정확한 실시간 카운팅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극장이나 공연장의 좌석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을 이용해 각 좌석마다 관객이 존재하지 않는 기준영상을 획득한 후 카운팅 하고자 하는 입력 영상의 동일 좌석 영상과 패턴비교를 이용해 각 좌석에서 관객의 유무를 판단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법들이 지닌 조명 변화이나 잡음에 민감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 보완적인 성능을 보이는 두 가지 특징인 크기투영과 Walsh-Hadamard Kernel에 기반한 패턴비교 방법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조명이나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카운팅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 극장에서 획득한 영상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정확한 시스템 성능을 검증하며, 제안된 방법을 주차장에서 빈 주차공간을 확인하는데 적용해 봄으로써 다른 분야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3-DOF Mobile Microrobot for Micromanipulation

  • Park, Jungyul;Kim, Deok-Ho;Kim, Byungkyu;Kim, Taesung;Lee, Kyo-Il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9호
    • /
    • pp.1268-1275
    • /
    • 2003
  • In this paper, a compact 3-DOF mobile microrobot with sub-micron resolution is presented. It has many outstanding features : it is as small as a coin ; its precision is of sub-micrometer resolution on the plane ; it has an unlimited travel range ; and it has simple and compact mechanisms and structures which can be realized at low cost. With the impact actuating mechanism, this system enable both fast coarse motion and highly precise fine motion with a pulse wave input voltage controlled. The 1 -DOF impact actuating mechanism is model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riction between the piezoelectric actuator and base. This modeling technique is extended to simulate the motion of the 3-DOF mobile robot. In addition,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simulations accurately represent the real system. The modeling and simulation results will be used to design the model-based controller for the target system. The developed system can be used as a robotic positioning device in the micromanipulation system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of micro-sized components or particles in a small space, or assemble them in the meso-scale structure.

통합 의사잡음신호 기반 부호추적편이 추정에 따른 GPS L1 C/A 신호의 재방송재밍 영향 완화 기법 (A Novel Scheme to Mitigate a GPS L1 C/A Signal Repeat-back Jamming Effect, According to a Code Tracking Bias Estimation, Using Combined Pseudo-random Noise Signals)

  • 유승수;염동진;지규인;김선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69-875
    • /
    • 2016
  • In this paper, a novel scheme with which to mitigate a repeat-back jamming effect is proposed for the GPS L1 coarse/acquisition signal. The proposed scheme estimates the code tracking bias caused by repeat-back jamming signals using a Combined Pseudo-random noise signal. It then mitigates the repeat-back jamming effect by subtracting the estimated code timing on a normal correlation channel from the estimated value. Through a Monte-Carlo simulation, the proposed scheme can diminish the running average of code tracking bias to less than 10% of the bias using the conventional scheme.

TMBOC과 CBOC 신호에 적합한 모호성이 낮은 다중경로 오차완화 기법 (An Unambiguous Multipath Error Mitigation Scheme for TMBOC and CBOC Signals)

  • 유승수;지규인;김선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977-987
    • /
    • 2012
  •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rrors in the pseudo-range measurement performance of GNSSe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is their multipath error for high-precision applications. Several schemes to mitigate this error have been studied. Most of them, however, have been focused on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L1 C/A (Coarse/Acquisition) signal that was designed in the 1970s and is still being used for civil navigation. Recently, several modernized signals that were especially conceived to more significantly mitigate multipath errors have been introduced, such as Time Multiplexed and Composite Binary Offset Carrier (TMBOC and CBOC, respectively) signals. Despite this advantage, however, a problem remains with the use of TMBOC and CBOC modulations: the ambiguity of BOC (Binary Offset Carrier)-modulated signal tracking. In this paper, a novel unambiguous multipath error mitigation scheme for these modernized signals is proposed. The proposed scheme has the same complexity as HRCs (High Resolution Correlators) but with low ambiguity.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ed or performed at par with the HRC in terms of their multipath error envelopes and running averages in the static and statistical channel models. The ranging error derived by the mean multipath error of the proposed scheme was below 1.8 meters in an urban area in the statistical channel model.

대역제한 백색잡음 재밍환경에서 GPS L1 C/A 신호를 위한 유효 반송파 대 잡음 전력비 추정치의 CRLB (Cramer-Rao Lower Bound of Effective Carrier-to-noise Power Ratio Estimation for a GPS L1 C/A Signal under Band-limited White Noise Jamming Environments)

  • 유승수;염동진;지규인;김선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890-894
    • /
    • 2014
  • In this paper, we derive the CRLB (Cramer-Rao Lower Bound) of effective carrier-to-noise power ratio ($C/N_0$) estimation for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L1 C/A (Coarse/Acquisition) signal under band-limited white noise jamming environments. The quality of a received GPS signal is commonly described in terms of its $C/N_0$, implying that the noise is white and thus can be described by scalar noise density. However, if some intentional interference is received to a victim GPS receiver, then the $C/N_0$ is no longer the efficacious performance indicator. The correct and straightforward measurement to analyze the receiving situation is the effective $C/N_0$. In this paper, we consider a band-limited white noise jamming whose bandwidth is 2MHz and is the same as one of the first null-to-null bandwidth of the GPS L1 C/A signal.

DSM과 다시점 거리영상의 3차원 등록을 이용한 무인이동차량의 위치 추정: 가상환경에서의 적용 (Localization of Unmanned Ground Vehicle using 3D Registration of DSM and Multiview Range Images: Application in Virtual Environment)

  • 박순용;최성인;장재석;정순기;김준;채정숙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700-710
    • /
    • 2009
  • A computer vision technique of estimating the location of an unmanned ground vehicle is proposed.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unmaned vehicle is very important task for automatic navigation of the vehicle. Conventional positioning sensors may fail to work properly in some real situation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interferences. Given a DSM(Digital Surface Map), location of the vehicle can be estimated by the registration of the DSM and multiview range images obtained at the vehicle. Registration of the DSM and range images yields the 3D transformation from the coordinates of the range sensor to the reference coordinates of the DSM. To estimate the vehicle position, we first register a range image to the DSM coarsely and then refine the result. For coarse registration, we employ a fast random sample matching method. After the initial position is estimated and refined, all subsequent range images are registered by applying a pair-wise registration technique between range images. To reduce the accumulation error of pair-wise registration, we periodically refine the registration between range images and the DSM. Virtual environment is established to perform several experiments using a virtual vehicle. Range images are created based on the DSM by modeling a real 3D sensor. The vehicle moves along three different path while acquiring range imag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registration error is about under 1.3m in average.

GPS 수신 시스템에서 디지탈 지연동기 루프 회로 설계 및 분석 (The Circuit Design and Analysis of the Digital Delay-Lock Loop in GPS Receiver System)

  • 금홍식;정은택;이상곤;권태환;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464-1474
    • /
    • 1994
  • GPS(Global Positional System)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GPS 신호에서 항법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의 지연동기 루프를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디지털 로직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동기과정의 논리동작을 분석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은 수신된 C/A(coarse/acquisition) 코드와 수신기에서 발생된 C/A 코드와의 상관값을 구하는 상관기, 선택된 위성의 C/A 코드를 발생시키는 C/A코드 발생기, 그리고 C/A코드의 위상과 클럭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C/A 코드 발생기의 클럭을 만드는 직접 디지탈 클럭 발생기로 구성된다. 제안한 디지탈 지연동기루프 시스템을 해석한 결과, 시스템 입력 신호전력이 -113.98dB이상이면 시스템이 90%이상의 검파 능력을 갖음을 확인하였다. 디지탈동기루프이 입력신호 즉, A/D 컴버터 전단의 입력신호 크기에 따라 디지탈 동기 루프의 성능 그래프와 문턱전압의 크기에 따른 성능분석의 그래프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계된 디지탈 지연동기루프를 로직 시뮬레이션한 결과, GPS 항법 데이타를 정확히 복원함을 확인하였다.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