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5초

분말활성탄 응집침전 공정을 이용한 부영양화 호소수의 용존 유기물 및 인의 제거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Phosphorus in Eutrophic Lake by Coagulation Process Using Powdered Activated Carbon)

  • 조경철;이민희;박정환;정종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29-635
    • /
    • 2012
  • 본 연구는 부영양화 호소의 개선을 위하여 분말활성탄 공정을 적용하고 호소수 내의 용존 유기물과 인의 제거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용존 유기물의 제거특성은 부유물질의 제거특성과 다르며 응집제 주입량과 pH에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용존 유기물은 분말활성탄에 의해 흡착으로 제거되며 응집과정에서 용존 유기물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응집침전공정의 인 제거 과정과 같은 화학침전과정에서 형성되는 용존성 착화합물과 콜로이드성 물질은 인의 제거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분말활성탄의 주입으로 콜로이드성 물질과 용존성 착화합물을 흡착함으로써 인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분말활성탄은 응집과정의 floc의 밀도를 증가시켜 침전속도를 높이고 고액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교반속도 및 Baffle 각도 조절에 따른 침전지 효율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edimentation Efficiency through Controlling Stirring Speed and Baffle Angle)

  • 곽성근;김충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4호
    • /
    • pp.69-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원형침전지의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응집제 없이 lab scale 침강장치에 교반속도(rpm)와 baffle 각도를 조절하여 생응집(bio-flocculation)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드 웰(feed wall)부분을 개량하여 baffle를 설치하고 각도(10°)를 고정한 후 각각의 교반속도(0.0rpm, 0.6rpm, 1.2rpm) 변화에 따른 실험 결과 교반속도 0.6ppm에서, 농축효율이 2.0%, 유출수(SS 농도) 제거효율은 7.8% 상승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교반속도에 따른 슬러지의 생응집 효율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침강장치 baffle의 각도를 변화시켜 슬러지 침강특성 영향을 분석한 결과 baffle 각도 20°에서 슬러지 계면층의 압축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원형침전지의 침전 효율향상을 위한 기초 인자로 활용이 기대된다.

응집침전에 의한 냉각수질 향상 (Improvement of Cooling Water Quality by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 우달식;조관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69-371
    • /
    • 2008
  • 본 논문은 철강공장의 냉각수 처리 시스템에서 고로 집진수를 대상으로 한 응집교반실험을 실시한 결과, 주기적인 관 갱생작업(산세척)과 분산제의 주입이 필요하며, 음이온 고분자응집제에 양이온 고분자응집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에 탁도 제거측면에서 우수하였다. 급속교반 후 완속교반을 적용할 경우 급속교반 후 침전보다 탁도 제어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침전지의 처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급속교반과 완속교반이 동시에 필요하였다.

  • PDF

천연 무기응집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Removal of Algae by Natural Coagulants of Soil Origin)

  • 김석구;김동관;강성원;안재환;김일호;윤상린;이상협;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883-888
    • /
    • 2013
  • 조류 발생이 문제시 되는 정체수역이나 호소에서 현장적용에 적합한 응집제를 선정하고 응집제별 적정 주입농도를 찾기 위하여 황토와 개량된 토양기반 무기응집제 세 가지(AC-A, AC-B, AC-C)를 주입하며 응집 침전실험을 실시하였다. 남조류가 주종이고 조류밀도가 2,950 cells/mL인 원수에 대한 황토(50 mg/L 주입)에 의한 조류밀도 제거율은 10분 침전후 49%, 30분 침전후 85%로 나타났고, 다른 세 가지 무기응집제(20 mg/L 주입)의 경우 10분 침전 후 80-90% 제거율, 30분 침전 후에는 89-94%의 조류 제거율을 나타냈다. 조류 제거와 탁도, pH 등의 수질인자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고려된 천연 무기응집제 중 AC-A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원수의 조류밀도가 높을수록 같은 제거효율을 얻기 위한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선형적인 상관관계는 찾을 수 없었다. 황토를 비롯한 천연 무기응집제는 원수의 유기물 제거 및 pH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산염의 경우 주입량을 늘임에 따라 제거율이 높아져 최대 70%까지 제거되었다.

Life Cycle Impacts of Flexible-fiber Deep-bed Filter Compared to Sand-Filter including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in Water Treatment Plant

  • Uh, Soo-Gap;Kim, Ji-Won;Han, Ki-Back;Kim, Chang-W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7
    • /
    • 2008
  • Recently a new technology called the flexible-fiber deep-bed filter (FDF) claimed to replace the conventional sand filter including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filter (CSF) processes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Therefore the life cycle assessment (LCA) approach was applied for evaluating the life cycle impacts of FDF compared with those of CSF. The used LCA softwares were the Simapro 6 and PASS and their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LCIA) methodologies were the Eco-indicator 99 and the Korean Eco-indicator, respectively. The goal of this LCA was to identify environmental loads of CSF and FDF from raw material to disposal stages. The scopes of the systems have been determin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existing CSF and FDF. The function was to remove suspended solids by filtration and the functional unit was $1\;m^3$/day. Both systems showed that most environmental impacts were occurred during the operation stage.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s the coagulants and electricity consumptions need to be cut down. If the CSF was replaced with the FDF, the environmental impacts would be reduced in most of the impact categories. The LCA results of Korean Eco-indicator and Eco- indicator99 we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indwelling differences such as category indicators, impact categories, characterization factors, normalization values and weighting factors. This study showed that the life cycle assessment could be a valuable tool for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new technology which was introduced in water treatment process.

PCB로 오염된 연안 퇴적물 입자의 침강 및 연직확산 모델연구 (Modeling of Sedimentation and Vertical Dispersion of Coastal Sediment Particles Contaminated with PCBs)

  • 이두곤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9-46
    • /
    • 1998
  • 본 연구는 수중에서 PCB로 오염된 연안퇴적물 입자의 입자크기분포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수치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입자의 침강과 연직확산과 함께 응집 현상을 포함하며 공간적으로는 연직방향으로 일차원 모델이다 연직방향 메커니즘에 대한 고려는 퇴적물 입자의 수중 체류시간을 계산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을 개발 제시함과 아울러 실제 미국의 한 사례지역에서의 PCB로 오염된 연안퇴적물의 입자크기분포를 사용하여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결과 모의시간인 48 시간 내에 퇴적물 입자크기 변화가 상당히 진행되며 수중에서 입자크기별로 입자가 다르게 제거됨과 이 과정에서 응집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시된 모델은 준설 등 환경정화사업과 관련 불가피하게 수반될 수 있는 오염퇴적물의 재부유로 인한 오염확산범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Changes in the Laboratory Data for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Korean-medicine-based Inpatient Care

  • Yoon, Jeungwon;Cho, Chong-Kwan;Shin, Ji-Eun;Yoo, Hwa-Seu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26
    • /
    • 2014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changes in laboratory data for cancer patients receiving Korean medicine (KM) care, with a focus on patients' functional status, cancer-coagulation factors and cancer immunity. Methods: We conducted an observational study of various cancer patients in all stages admitted to the East-West Cancer Center (EWCC), Dunsan Korean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from Mar. 2011 to Aug. 2011. All patients were under the center's multi-modality Korean-medicine-based inpatient cancer care program. The hospitalization stay at EWCC ranged from 9 to 34 days. A total of 80 patients were followed in their routine hematologic laboratory screenings performed before and after hospitaliza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ir treatment: prevention of recurrence and metastasis group, KM treatment only group, and combination of conventional and KM treatment group. The lab reports included natural killer cell count (CD16 + CD56), fibrinogen, white blood cell (WBC), lymphocytes, monocytes, neutrophil, red blood cell (RBC), hemoglobin, platele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Results: With a Focus on patients' functional status, cancer-coagulation factors and cancer immunity, emphasis was placed on the NK cell count, fibrinogen count, and ECOG scores. Data generally revealed decreased fibrinogen count, fluctuating NK cell count and decreased ECOG, meaning improved performance status in all groups. The KM treatment only group showed the largest decrease in mean fibrinogen count and the largest increase in mean NK cell count. However, the group's ECOG score showed the smallest decrease, which may be due to the concentration of late-cancer-stage patients in that particular group. Conclusions: Multi-modality KM inpatient care may have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cancer coagulation factor fibrinogen, but its correlation with the change in the NK cell count is not clear.

로프형 미생물 담체 침전조를 이용한 상수원수중의 NOM 제거 (Removal of NOM Using Biological Rope Media Sedimentation Tank)

  • 심상준;강연석;김우식;박대원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32-33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정수처리 중에서 BAC(Biological activated carbon) 처리의 생물분해능과 같이 NOM의 생분해성 부분을 제거하고자 로프형 미생물 담체를 침전조에 적용하는 공정을 시도하였다. 다양한 운전조건을 적용하여 DOC와 UV$_{254}$ 그리고, 탁도 제거효과를 평가하였는데, 담체 설치는 일반적인 정수처리 공정을 모사한 pilot plant에 첫 번째로 아무 전 처리도 거치지 않은 팔당원수를 바로 지나도록 하였고(Media 1), 두 번째는 팔당원수를 오존으로만 전처리한 후 지나도록 하였으며(Media 2), 세 번째는 전 오존과 응집-침전과정이 끝난 후 지나도록 하였다(Media 3). 원수의 DOC 농도는 1.3~3.4 mg/L이고, UV$_{254}$는 0.027~0.039 ($cm^{-1}$ /)이며, 탁도는 0.3~4.5 NTU 였다. 평균 DOC 농도는 media 1, 2, 3에서 각각 2.2 mg/L, 1.8 mg/L, 1.3 mg/L를 보였다. 반면에 침전조에서는 1.5 mg/L의 농도를 보여 media 3에서 가장 높은 제거량을 나타내었다. 평균 UV$_{254}$ 값은 media 1, 2, 3에서 각각 0.037 ($cm^{-1}$ /), 0.027 ($cm^{-1}$ /), 0.014 ($cm^{-1}$ /)를 나타내었으며, 침전조에서의 UV$_{254}$ 값은 media 3와 비슷한 0.014 ($cm^{-1}$ /)를 보였다. 평균 탁도는 media 1, 2, 3에서 각각 1.1 NTU, 0.9 NTU, 0.5 NTU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보면 로프형 미생물 담체 침전조는 일반적인 침전 공정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치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정수처리에서 응집제 종류와 분리공정이 조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gulants and Separation Methods on Algal Removal in Water Treatment Process)

  • 박흥석;이상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9-28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정수공정에서 응집제 종류와 고액분리방법이 조류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따라서, 원수의 특성을 탁도, $KMnO_4$ 소비량, UV-254, chlorophyll-a 등으로 파악하고 이들 수질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판중인 Alum계열 응집제(Alum, PAC, PACS)가 조류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 쟈테스트를 이용하여 탁도 및 유기물제거, pH 저하특성 및 알카리도 소모특성 및 개체수 제거율 등으로 연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에 의하면 유기물항목인 UV-254, $KMnO_4$ 소비량, chlorophyll-a와 탁도의 상관계수는 각각 0.775, 0.674 및 0.623으로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발생시 응집제 종류별 응집침전에서 유기물 제거특성은 조류의 농도가 적을 경우에는 유사한 효율을 보였으나 조류농도 증가에 의한 높은 유기물 농도($KMnO_4$ 소비량 20mg/l 이상)와 높은 탁도(100NTU 이상)에서는 PAC, PACS와 같은 무기고분자 응집제가 Alum보다 제거효율이 우수하였다. 조류번성시 응집공정을 거친 후 침전과 부상공정의 비교실험에서 부상분리공정을 사용할 경우 Alum이 모든 분석항목에서 고분자 응집제인 PAC, PACS보다 우수하였으며, 95%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PAC와 PACS의 경우는 침전공정이 부상공정보다 효율이 높았으며, $KMnO_4$ 소비량의 경우 부상법 제거율의 2배 이상 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조류제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Alum을 사용할 경우 부상분리, PAC, PACS를 사용할 경우 침전공정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원수에서는 남조식물문의 Microcystic와 녹조식물문의 pediastrum simplex 등 두 가지의 속이 다수 속으로 출현하였으며, Alum, PAC, PACS의 투입후 침전실험에서 27%, 45%, 22%의 조류개체수의 제거율을 보였으나, 용존공기부상법(DAF)을 적용한 경우에는 모든 응집제에서 동, 식물플랑크톤 모두가 100%에 가까운 제거율을 보여주었다.

  • PDF

급속(急速) 혼화공정(混和工程) 현황(現況) 및 개선(改善) 사례(事例) 연구(硏究) (Status and Design of Rapid-mix for Mechanisms of Alum coagulation)

  • 전항배;한경전;이태용;손광익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97-106
    • /
    • 1995
  • An improving example for traditional rapid mix system was studied in the base of mechanisms of alum coagulation. Local status of the major water treatment plants was also investigated and evaluated for upgrading these plants. A new design and operating criterium for rapid mix system was proposed to velocity gradient, G of $1,000-1,500sec^{-1}$ and detention time, t of 1 sec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s and literature reviews. Comparing the present rapid mix system to this criterium, appare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m. In this study, for improving Seongnam water treatment plant, a design criterium of velocity gradient, and detention time was set to $1,100sec^{-1}$, 1 sec, respectively. A new rapid mix system adopted the nozzle injection countcurrently cross the inlet pipe to the whole area. The injection velocity was 17m/s, nozzle diameter was 1.0mm, and number of nozzle was 70. The new modified system without running present four 75 HP agitators was able to improve water quality(based on sedimentation effluent) by 15-35% and to reduce electrical energy by 9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