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incubated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8초

3,3'-Diindolylmethane (DIM)이 인체 전립선암 세포의 부착, 이동 및 침윤성에 미치는 영향 (3,3'-Diindolylmethane (DIM) decrease adhesion, migration and invasion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김현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6
    • /
    • 2015
  • 본 연구는 3,3'-diindolylmethane(DIM)이 인간전립선암 세포인 PC3 세포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IM은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4시간동안 DIM으로 PC3 세포를 전 처리한 후 부착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암세포가 부착 시 DIM의 암세포 부착 억제가 전처리에 의한 부착 억제보다 효과적이었다. DIM은 인간 전립선암세포의 이동과 침윤도 억제하였으며 24시간 동안 PC3 세포를 DIM으로 전처리를 했을 때도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IM의 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PC3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DU145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DIM은 $150{\mu}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 DIM은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인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립선암 전이 억제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과 성장인자 TGF-β1, FGF-2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on the Production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 by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 권지윤;임성삼;백승호;배광식;강명회;이우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191-197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 MTA를 접촉시킨 뒤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및 cytokine interleukin-6 (IL-6)의 발현량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MTA군에서는 100 mg씩의 ProRoot MTA와 증류수를 혼합하고, IRM군은 동량의 IRM 분말을 용액에 혼합하여 이 시료들을 경화반응이 진행되도록 7일간 놓아두었다. 사람의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A와 IRM시료 상에 well당 $1\times10^5$개 수준으로 도포한뒤 6, 12, 24,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n = 5). 대조군으로는 재료의 접촉 없이 배양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시료에서 상층액을 분리하여 $TGF-\beta1$, FGF-2, IL-6의 발현량을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MTA군에서, 성장인자인 $TGF-\beta1$과 FCF-2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p < 0.05), cytokine인 IL-6 발현량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소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시 ${\beta}-Mercaptoethanol$의 첨가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Glutathione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Mercaptoethanol$ Supplement during In Vitro Maturation on IVM, IVF and Glutathione Level in Bovine Oocytes)

  • 오신애;김창근;정영채;방명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4호
    • /
    • pp.239-245
    • /
    • 2006
  • 본 연구는 소의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시 ${\beta}-mercaptoethanol({\beta}-ME)$의 첨가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후 웅성전핵의 형성 및 세포질 내의 GSH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체외성숙시 $25\;{\mu}M$$50\;{\mu}M$${\beta}-ME$를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성숙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12시간 체외성숙보다 24시간 체외성숙에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체외수정 후 웅성전핵 형성에 있어서는 $25\;{\mu}M$$50\;{\mu}M$ 농도의 ${\beta}-ME$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p<0.05), $25\;{\mu}M$$50\;{\mu}M$ 농도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GSH의 수준은 체외성숙 후 $50\;{\mu}M$${\beta}-ME$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p<0.05), 체외수정 후 웅성전핵이 형성된 다음 세포질 내 GSH 수준 역시 $50\;{\mu}M$${\beta}-ME$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 PDF

주박으로부터 효모포자의 생산 (Producton of Yeast Spores from Rice Wine Cake.)

  • 임용성;배상면;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4-189
    • /
    • 2004
  • 쌀 양조 후 남은 고체찌꺼기인 주박을 사용하여 Saccharomyces 효모 포자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주박의 최적 전 처리과정, 최적 배지조성과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포자형성을 위하여서는 주박으로 제조한 전포자형성배지(PSM)에서 효모를 배양한 추 1% potassium acetate로 구성된 포자형성배지(SM)에 10%를 재접종한 후 $25^{\circ}C$에서 4일간 포자형성을 시켰다. 주박과 물을 1:2 로 혼합한 후 $51^{\circ}C$에서 24시간 preincubation한 후 그 원심분리 상등액을 PSM으로 사용하여 48시간 배양하고 이를 다시 SM에 접종하여 4일 배양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 수 $0.72${\times}$10^{8}$ $m\ell$ 를 얻었다. SM배지에 1.4% 밀기울 국(koji)을 영양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형성된 자낭수는 $1.06${\times}$10^{8}$$m\ell$ 증가하였다 초기 SM pH가 5에서는 포자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pH 7∼11에서 포자가 형성되었다. 한편 주박의 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직접 사용하여 포자형성을 시켜보았는데, 1% 갈색설탕을 함유하는 PSM에 2% 그리고 SM에 0.5%의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수 $1.27${\times}$10^{ 8}$ $m\ell$를 얻었다.

아드레나린성 약물 전처치 흰쥐의 취절편 효소분비에 관한 실험 (Amylase Release from Pancreatic Slices of Rat Treated with Adrenergic Drugs)

  • 김경환;김혜영;안영수;이우주;홍사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9-57
    • /
    • 1984
  • The exocrine pancreatic secretion is controlled mainly by gastrointestinal hormones as well as cholinergic nerves. The adrenergic influence on exocrine pancreas is thought not to he important and the evidences supporting this contention are still contradictory. In an effort to elucidate the adrenergic influence on the exocrine pancreas, we have determined the amylase release from pancreatic slices of rats treated with adrenergic drugs. The albino rats of either sex, weighing $60{\sim}80\;g$, were decapitated and the uncinate pancreata were isolated and incubated in screw top vials containing 2 ml krebs-Ringer bicarbonate buffer solution gassed with 95% $O_2$ and 5% $CO_2$. These vials were shaken continuously in a waterbath maintained at $37^{circ}C$, and enzyme release was stimulated with acetylcholine$(10^{-5}M)$. For chronic treatment methoxamine$(an\;{\alpha}-adrenergic\;agonist,\;5\;mg/kg)$, isoproterenol (a\;{\beta}-adrenergic\;agonist,\;10\;mg/kg) and reserpine (0.5 mg/kg) along with cholecystokinin octapeptide$(CCK-op,\;2{\mu}g/kg)$ were given i.p. in rats daily for 3, 5, 7, 9 or 12 days. For acute experiment these drugs were added directly to the incubation medium in a concentration of $10^{-5}M$ except CCK-OP $(10^{-9}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ddition of methoxamine, isoproterenol or reserpine to the incubation medium containing pancreatic slices augmented the release of amylase induced by acetylcholine and among them the effect of isoproterenol was most prominent. 2) Chronic treatment of methoxamine or reserpine caused enhancement of acetylcholine response in amylase release from pancreatic slice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but the amylase release was less than that of control by 12 days isoproterenol treatment. 3) In the pancreatic slices obtained from 12 days treatment of CCK-OP, the amylae release responding to acetylcholine was enhanced. By these finding it is suggested that methoxamine, isoproterenol and reserpine had marked influence on the exocrine pancreatic functions in rats and that these effects are due to their inherent actions rather than sympathetic nerve or adrenergic receptor function.

  • PDF

청대탕(淸帶湯)의 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력 및 Clindamycin과의 병용 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and Their Combination Effects with Clindamycin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In Vitro)

  • 권지명;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2
    • /
    • 2011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s of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various gynecological diseases including vaginitis in Korea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nd combination effects of Chungdae-tang extracts with Clindamycin were also monitored in this study. Methods: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of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were detected using standard agar microdilution methods. In addition, the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curve were also monitored at MIC and MIC${\times}$2 levels. The combination effects of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with Clindamycin were observed by Checkerboard microtiter assay, and the effects of bacterial growth curve treated with or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MIC+Clindamycin MIC, 1/2MIC and 1/4MIC,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Gardnerella vaginalis were incubated under $37^{\circ}C$, 10% $CO_2$; and bacterial growth curves were calculated at 24, 48, 72, 96 and 120hrs after incubations. Results: MIC of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were detected as $3.906{\pm}2.344$(0.782~6.250) mg/$m\ell$, respectively. MIC of Clindamycin was detected as $0.010{\pm}0.006$(0.004~0.016) ${\mu}g/m\ell$ at same conditions. In addition, Clindamycin and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also showed marked dosage-dependent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and more dramatical inhibitions were detected in Clindamycin+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MIC treatment as compared with each of single Clindamycin MIC and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MIC treatments, respectively. In addition, quite similar inhibitory effects on bacterial growth were detected in Clindamycin 1/4 MIC+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MIC treatment as compared with single Clindamycin MIC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FIC index in combination of Chungdae-tang and Clindamycin were detected as $0.775{\pm}0.285$ (0.500~1.250) at Checkerboard microtiter assay. Conclus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Chungdae-tang aqueous extracts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nd it also showed dosage-depend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In addition, combination treatment of Chungdae-tang aqueous extract with Clindamycin showed more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Gardnerella vaginalis with FIC index $0.775{\pm}0.285$(0.500~1.250), respectively. It means, the combination of Chungdae-tang aqueous extract with Clindamycin is partially synergistic effects. It, therefore, is expected that effective dosages of Clindamycin will be reduced to 1/4 or over 1/4 levels as combination with Chungdae-tang extracts, respectively.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지지체의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골아세포의 성장 (The Growth of Osteoblasts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of HA Scaffold Surface)

  • 박병찬;김용하;김태곤;이준호;김연정;최식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40-345
    • /
    • 2010
  • Purpose: Recently, bioceramics have become popular as a substitute graft material for reconstruction of bony defect after trauma or tumor surgery. Among the bioceramic materials, hydroxyapatite (HA) is favored due to its biocompatibility. HA scaffold is composed of the interconnected reticular framework, macropores and micropores. Macropor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 migration, nutrients supply and vascular ingrowth.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micropores less than $10{\mu}m$ form an irregular surface on HA scaffolds, which prevents the osteoblast from adhering and proliferating on the surface of HA scaffold. Methods: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groups were designed for comparison. In the first group (group A), conventional method was used, in which HA pellet was applied without surface pretreatment. The second group (group B) was given a HA pellet that has been coated with crystalline HA solution prior to application. In the third group (group C), the same method was used as the second group, where the pretreated HA pellet was heated ($1250^{\circ}C$, 1 hour) before application. Osteoblast-like cells ($2{\times}10^4$/mL) were scattered onto every pellet, then they were incubated in 5% $CO_2$ incubator at $37^{\circ}C$ for twelve days. During the first three days, osteoblast cells were counted using the hemocytometer daily. ALP activity was measured on the 3, 6, 9 and 12 culture days using the spectrophotometer. Results: Under SEM, group A showed a surface with numerous micropores, and group B revealed more rough crystal surface. Group C revealed a fused crystal appearance and flattened smooth surface. In proliferation and ALP activity of osteoblast cells, group C showed better results compared to group B. Group A which lacks pretreatment of the surface showed less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ALP activity than group C, but showed better results than group B. Conclusion: We found that crystallized HA with heat treatment method enhances the osteoblast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n the surface of HA pellets.

Ammonium Thisoulfate 처리가 담수(湛水) 답토양(畓土壤)의 생물활성(生物活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monium Thiosulfate on Biological Activity in a Paddy Soil)

  • 임선욱;서영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0-47
    • /
    • 1994
  • 담수(湛水)된 고유기물(高有機物) 논토양에서의 ammonium thiosulfate(ATS)의 urease 활성(活性) 억제(抑制) 효과(效果)와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 및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ATS의 효과를 sodium thiosulfate(STS)와 비교하고 유기물 처리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hiosulfate의 urease 활성 저해 효과는 3~5일후부터 나타났다. glucose 첨가구에서는 STS 처리가 ATS보다 효과가 다소 컸고, glucos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처리 효과가 비슷하였다. 2. Thiosulfate 처리구의 pH는 초기에 높아지다가 glucose 무첨가시에는 10일 이후 낮아졌고, glucose 첨가시에는 15일 이후 낮아졌다. Eh는 thiosulfate 처리에 의하여 대체로 낮아졌다. 3. Thiosulfate 처리구에서 acet 산(酸)과 butyr 산(酸)은 소량($10{\mu}g/g$ 이하) 검출되었으므로, thiosulfate 처리에 의해 수도(水稻)의 생육이 저해되지는 않을 것이라 추정된다. 4. Glucos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thiosulfate 처리에 의해 $CO_2$ 발생량이 증가하여 토양 생물의 활성을 높였다고 해석된다.

  • PDF

실험적 뇌막수염에 있어 Naegleria fowleri 항원에 대한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 (Blastogenic responses of splenic Iymphocytes to Naegleria fowleri Iysates and T-cell mitogen in mice with primary amoebie meningoencephalitis.)

  • 박광민;류재숙;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1-6
    • /
    • 1987
  • N. fowleri를 감염시키고 그 경과에 따른 숙주의 면역기능 변동을 알아보고자 마우스에 N. fowleri를 감염시키고 그 경과에 따른 T임파구 기능과 혈청내 항체가를 관찰하였다. T임파구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장세포를 배양할 때 mitogen으로 con. A와 N. fowleri lysate를 첨가하고 42시간 배양후 $methyl-[^3H]-thymidine$을 넣어 비장세포에 uptake되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청내 항체가는 효소표식 면역검사법(ELISA)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임파구의 기능은 사용된 mitogen con. A와 N. fowleri lysated에 관계없이 감염 후 3일부터 감소되어 11일까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감염후 15일에는 N. fowleri lys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T임파구 기능이 계속 감소되어 있었으나 con. A를 첨가하였을때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ytokine이 Toxoplasma감염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ytokines in the activation of peritoneal macrophages from mice infected with Toxopluma gondii)

  • 이영하;신대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85-194
    • /
    • 1994
  • T. gonnii의 Beverley주를 감염시킨 마우스(감염군)로부터 분리한 복강대식세포에 cytokine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복강대식세포 단세포층에 medium, 조제 Iymphokine, 재조합 tumornecrosis $factor-{\alpha}{\;}(TNF-{\alpha})$. 재조합 $interferon-{\gamma}{\;}(IFN-{\gamma})$, 및 재조합 $IFN-{\gamma}와{\;}TNF-{\alpha}$를 함께($IFN-{\gamma}/TNF-{\alpha}$) 처치한 후, 각 처치군별 $H_2O_2{\;}생산량,{\;}NO2^{-}$ 생산량 및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감염군의 복강대식세포에 $IFN-{\gamma}{\;}처치시{\;}NO2^{-}$ 생산량은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외의 처치군에서는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감염군 대식세포에 $IFN-{\gamma}나{\;}IFN-{\gamma}/TNF-{\alpha}$ 처치시 $H_2O_2$ 생산량이 medium처치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NO2^{-}$ 생산량은 $TNF-{\alpha},{\;}IFN-{\gamma}나{\;}IFN-{\gamma}/TNF-{\alpha}$ 처치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감염군에 cytokine 처치시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은 medium 처치시보다 모두 증가되었다 또한 정상군과 감염군의 $H_2O_2$ 생산량, $NO2^{-}$ 생산량 및 T. gondii의 대식세포내 침투억제능을 상호 비교시 $IFN-{\gamma}$ 처치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그 외의 cytokine 처치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IFN-{\gamma}$가 Toxoplosma감염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