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HY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detoxified Rhus verniciflua sap on egg production, yolk lipid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laying hens

  • An, Byoung-Ki;Kim, Je-Hun;Zheng, Lan;Moon, Byung-Hern;Lee, Kyung-W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86-90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detoxified Rhus verniciflua sap (RVS)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lipid fractions of egg yolk, liver and serum, and the profile of cecal microflora in laying hens. Methods: Two hundred 52-wee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with 5 replicates per group (2 hens per cage, 5 cages per replicate) and were provided with one of 4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0.05%, 0.1%, or 0.2% RVS, for 6 weeks. Due to unequal intervals of RVS doses, the interactive matrix language procedure of the SAS program was used to correct the contrast coefficients of orthogonal polynomial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 and egg weight among the groups. Egg production increased (linearly and quadratical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RVS. Eggshell thickness increased (linear, p<0.05) as the level of RVS in diets increased. The levels of blood cholesterol and activities of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and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were not altered by dietary treatments. Increasing level of RVS increased (linear, p<0.05) the populations of cecal lactic acid bacteria. The content of yolk cholesterol decreased (linear,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RV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lipid fraction of the liver.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dietary RVS could improve laying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and affect cecal lactic acid bacteria in a dose-dependent manner.

생체외(生體外) 섬유아세포(纖維芽細胞) 배양법(培養法)을 이용(利用)한 합착성(合着性) 시멘트의 독성(毒性) 평가(評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THE CYTOTOXICITY OF DENTAL CEMENTS ON HUMAN FIBROBLAST IN VITRO)

  • 맹형렬;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4권1호
    • /
    • pp.7-24
    • /
    • 198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 effects of polycarboxylate cements and zinc phosphate cements in vitro. Human fibroblasts were cultured in ${\alpha}$-MEM, and each cement was manually mixed and filled in glass ring cylinder (8${\times}$8mm in diameter, in height.) Cement filled cylinders wer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dish (35mm in diameter) containing 3ml of ${\alpha}$-MEM. Millipore filters to simulate dentinal barrier were also placed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dish, then stored in 5% $CO_2$ containing chamber for 1 and 2 weeks at the temperature of $36.6^{\circ}C$.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analyzed by counting the cells in the period of one week and two weeks respectively, and were assessed by calculating the cell multiplication rate and the relative growth rate.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urelone brand of the polycarboxylate cements showed marked cytotoxicity after one week, but after two weeks the toxicity decreased remarkably. Poly-F brand exhibited moderate cytotoxicity after one week, but after two weeks the toxicity slightly decreased. HY-BOND brand was weakly cytotoxic after one week, but after two weeks the toxicity became significant. 2. The cytotoxicity of the zinc phosphate cements was negligible after one week, but after two weeks Lee Smith brand revealed considerable cytotoxicity. 3. In general, the zinc phosphate cements were less cytotoxic than the polycarboxylate cements.

  • PDF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Secret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CB1 and Its Gene Cloning

  • Heo, Kyeong;Cho, Kye Man;Lee, Chang Kwon;Kim, Gyoung Min;Shin, Jung-Hye;Kim, Jong Sang;Kim, Je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7호
    • /
    • pp.974-983
    • /
    • 2013
  • Bacillus amyloliquefaciens CB1 was isolated from cheonggukjang, a Korean fermented soy food. B. amyloliquefaciens CB1 secretes proteases with fibrinolytic activities. A gene homologous to aprE of Bacillus subtilis, aprECB1, was cloned from B. amyloliquefaciens CB1, and DNA sequencing showed that aprECB1 can encode a prepro-type serine protease consisting of 382 amino acids. When aprECB1 was introduced into B. subtilis WB600 using an E. coli-Bacillus shuttle vector, pHY300PLK, transformants showed fibrinolytic activity and produced a 28 kDa protein, the size expected for the mature enzyme. The 28 kDa fibrinolytic enzyme was purifi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B. subtilis WB600 transformant. AprECB1 was completely inhibited by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and almost completely inhibited by EDTA and EGTA, indicating that it is a serine metalloprotease. AprECB1 exhibited the highest specificity for N-succinyl-Ala-Ala-Pro-Phe-p-nitroanilide, a known substrate for ${\alpha}$-chymotrypsin. $A{\alpha}$ and $B{\beta}$ chains of fibrinogen were quickly degraded by AprECB1, but the ${\gamma}$-chain was resistant.

후란 주물사의 재생 및 그의 주물에 미치는 영향 (Reclamation of Furan Sand and Its Effect on the Cast)

  • 백고길;최양진;황교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5권1호
    • /
    • pp.21-28
    • /
    • 1996
  • 최근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이 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에 큰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물업계에서 발생하는 폐주물사를 재활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재생방법 및 주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최근에 많이 사용하게 되어 다량으로 발생하는 폐자경성 후란주물사의 재생에 대해 연구하였다. 현재 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계적 방법 및 뉴매틱 방법의 여러 가지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소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유동층에서 후란 주물사를 연소법으로 재생하였다. 후란점결제와 경화제 등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유동층의 온도가 약 $650~700^{\circ}C$의 범위가 적절하였다. 주형을 제작하였을 때, 연소법에 의한 재생사가 뉴매틱법에 의한 것보다 표면 안정도와 강도가 각각 4% 및 7.2%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연소법의 순수 재생에너지 비용을 산출하면 주물사 톤당 약 1만원으로, 신사 구입의 비용인 약 5만원에 비하면 매우 저렴해서 산업화가 되면 주물사의 구입비가 절약되고, 매립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폐자원의 리싸이클링으로 최근 침체되어 가는 주물업계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청정기술의 산업화를 할 수 있는 자료들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산란 후기 사료 내 거미(Nephila clavata)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제(Arazyme®)의 첨가 급여가 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ider-Derived Protease (Arazyme®) Supplementation of Corn-Soy Diets on the Performance in Laying Hens at the Late Production)

  • 김정언;김재영;김지숙;이보근;이소연;이완섭;유선종;안병기;김은집;박호용;손광희;신동하;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7-55
    • /
    • 2009
  • 본 실험은 산란 후기 사료 내 거미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제 AZ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혈액 특성, 장 내용물의 점도, 맹장 미생물 변화 및 맹장 내 암모니아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59주령의 Hy-Line Brown 실용계 200수를 공시하여 총 4개 처리에 각 처리구별 반복당 10수씩 5반복으로 완전 임의 배치하였고, 각각의 실험 사료에 AZ을 각각 0.05%, 0.075% 및 0.1% 혼합하여 총 5주간 급여하였다. 총 실험 기간 중 AZ 첨가에 따라 난중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며, AZ 0.05%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증가가 나타났다(P<0.05). AZ 첨가는 난각 두께, 난각 강도, 난각색, 난황색 및 Haugh Unit는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GOT 및 GPT 활성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맹장 내 미생물 균총을 조사해 본 결과 총 균수, 유산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 내용물의 점도 및 장내 암모니아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AZ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실험 결과, 식물성 및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한 산란 후기 사료에 AZ의 첨가 급여는 난중 및 장 내 점도를 개선하고 암모니아 농도를 저감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산란 후기 사료에 거미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제 AZ의 첨가 급여는 산란 후기의 생산성, 장내 점도를 개선하여 사료 효소제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실험 결과 산란 후기 사료에서의 AZ의 첨가 수준은 0.05%와 0.075%에서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첨가 비용을 고려 할 때, 0.05% 첨가 수준이 가장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 생균제의 생산과 산란계에서 생균제의 적정 급여 수준에 의한 산란 효과 (Production of Multiple Probiotics and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by Proper Level of Dietary Supplementation)

  • 김형준;이봉기;석호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3-179
    • /
    • 2011
  • 본 연구는 복합 생균제를 사료 공급을 통하여 갈색 산란계(Hy-Line Brown)에 산란 초기 21~40주, 산란 중기인 41~65주로 나누어 산란계의 생산성과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복합 생균제를 생산하고 생균제를 구성하는 균주의 특성에 대하여 내산성(pH 2.5), 내담즙성(Oxgall 0.3%) 및 특정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하였고, 산란 시기별로 분변 내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균제는 4종의 복합생균으로 각각의 대두박 기질에 의한 고상식 발효물로서 원료에서 생산까지 9단계 과정을 거쳐 생산하였다. 복합 생균제를 구성하는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에서 높은 내산성, 내담즙성, 항균력 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accharomyces cerevisiae는 항균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 생산성은 급여 후 대조구에 비해 높은 산란율을 보였으나, 0.1% 급여구와 0.2% 급여구 사이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난중에 있어서 산란 초기 21~40주는 대조구와 유의차를 보였으나, 0.1% 급여구와 0.2% 급여구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그러나 산란 중기에서 0.2% 급여구와 0.1% 급여구 사이에 유의차를 보였으며, 대조구와도 유의성 각각 인정되었다(P<0.05). 폐사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0.2% 급여구에서 폐사율이 격감되는 유의차가 있었고(P<0.05) 산란 시기별로는 산란 초기에 0.2% 급여구가 폐사율 감소를 보였으나, 산란 중기에는 0.1% 급여구와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 섭취량은 산란 전기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산란 후기의 0.2% 급여구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인정되었다(P<0.05). 분변 미생물 조사에서 복합 생균제 급여 후 0.1% 급여구의 전기, 중기 모두 Lactobacillus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Coli form은 중기에 0.1%, 0.2% 급여구에서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 내 복합 생균제의 첨가는 산란율과 난중의 향상과 분변 미생물의 정상적인 변화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형질 전환 Aspergillus oryzae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ransgenic Aspergillus oryza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Layers)

  • 정병윤;박세원;백인기;조경진;이상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547-554
    • /
    • 2005
  • 본 연구는 메주에서 순수 분리된 메주곰팡이의 대표적 균종인 황국균(Aspergillus oryzae; AO)으로 만든 AO culture와 Salmonella 병원특이 유전자를 삽입한 형질전환 AO(TAO) culture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39주령 산란계 Hy-line Brown 840수를 공시하여 대조구, AO culture 0.2%와 0.5%, TAO culture 0.2%와 0.5%, UV를 조사하여 단백질 분해효소를 감소시킨 mutant에 Salmonella 병원 특이 유전자를 삽입한 형질전환 AO(TMAO) culture 0.2%와 0.5% 첨가구들을 비교하였다. 각 첨가구는 6반복, 반복당 20수씩, 한 케이지 당 2수씩 배치하여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시험 결과 모든 산란 생산성 및 계란 품질 관련 조사항목에서 처리간에 유의한(P<0.05) 차이가 있었다. TAO culture 0.2% 첨가구가 산란 생산성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난중은 모든 AO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거나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파란율은 TMAO culture 0.5%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모든 AO 첨가구들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 강도는 대조구 보다 모든 AO 첨가구들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난황 색도는 TMAO culture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난각 색도와 Haugh unit은 대조구와 모든 AO 첨가구들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내 미생물 균총(Salmo- nella spp., E. coli. Lactobacilli spp.)에서는 유의적(P<0.05) 차이가 있었다. AO culture 첨가에 의해서 Lactobacilli spp.의 수는 증가되고, E. coli 및 Salmonella spp.의 수는 감소되었다. 특히 TAO와 TMAO culture 첨가구에서는 AO culture 첨가구보다 Salmonella spp. 및 E. coli 억제효과가 컸으며 첨가수준(0.5% vs 0.2%)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TAO culture 0.2% 첨가는 산란 생산성 증가에 효과가 있었으며 TAO 및 TMAO culture 0.2% 첨가는 장내 E. coli 및 Salmonella spp.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산란계에 Microbial Phytase 첨가시 산란율, 계란 품질, 인 이용율 및 영양소 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icrobial Phytase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Phosphorus Utilization and Nutrient Metabolizability in Laying Hens)

  • 장해동;현영;김희성;황일환;유종상;김효진;신승오;황염;주천상;진영걸;조진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5-121
    • /
    • 2008
  • 본 시험은 microbial phytase을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시 산란율, 계란 품질, 인 이용율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2주령 Hy-Line Brown 갈색계 120수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CON(control), LP(low phosphorus diet), NP(low phosphorus diet + 0.03% normal microbial phytase) 및 CP(low phosphorus diet + 0.03% coated microbial phytase)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기간 동안 산란율은 CON과 CP 처리구가 LP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난각 강도와 난각 두께는 LP 처리구에 비해 CON, CP 및 NP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색과 haugh unit에서는 CON, CP 및 NP 처리구가 LP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혈액내 칼슘과 인 농도는 CP 처리구가 LP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 소화율과 질소 소화율에서는 CP 처리구가 CON, LP 및 NP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회분소화율은 CON, CP 및 NP 처리구가 LP 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칼슘 소화율과 인 소화율에서는 CP와 NP 처리구가 CON과 LP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칼슘 흡수량은 CON, CP 및 NP 처리구가 LP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인 흡수량은 CP와 NP 처리구가 CON과 LP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내었다(P<0.05). 질소와 칼슘 배출량은 CON, NP 및 CP 처리구가 LP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냈다(P<0.05). 인 배출량은 LP, NP 및 CP 처리구가 CON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에 있어 코팅된 microbial phytase의 첨가는 산란율, 계란 품질, 혈액 내 칼슘과 무기태 인, 영양소 소화율과 칼슘 및 인 흡수량을 증진시키며, 질소와 칼슘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공학적으로 변형시킨 R-plasmid 들의 전이에 미치는 균주와 pH 의 영향

  • 김희태;이성기;김치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8-95
    • /
    • 1992
  • 유전공학 기법으로 번형시킨 Km' plasmid 들의 전이를 30.deg.C 의 Luris-Bertani broth 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전이 빈도에 대한 donor 와 recipient 의 균주와 함께 pH 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GEM 균주들과 NI 균주의 Km'plasmid 의 전이빈도는 recipient 가 MTI 일 경우 pH 7 에서 약 $10^{-5}$ 로 비슷하였으나 CS 균주인 DKC601 에서는 Km'plasmid 의 전이빈도가 $2.2 * 10^{-7}$ 로 훨씬 떨어졌다. 그리고 recipient 가 lab. strain (E. coli HB101) 인 경우에도 Km'plasmid 의 전이경향은 GEM 균주들과 NI 균주사이에 큰차이가 없었다. 또 어느 균주의 경우에나 pH 7 일 때의 전이 빈도가 $10^{-5}$ 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5 와 pH 9 에서는 그보다 조금 떨어졌다. 그러나 E. coli C600을 host 로 하여 제조한 CS 균주(DKC601)에서는 Km'plasmid 의 전이 빈도가 다른 GEM 균주들에 비하여 $10^{2}$ $-10^{3}$ 배 낮았으며 pH 4와 9 에서 6 시간의 conjugation 후에도 전이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Conjugant 에서의 plasmid의 재배열은 lab, strain 을 recipient 로 했을 경우에는 별로 없었지만, NI 균주를 recipient 로 했을 경우에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donor 가 NI 균주보다 GEM 균주인 경우에 더욱 다양하였다. 그러나 pH 에 따른 타이는 그렇게 크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