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sed technique

검색결과 755건 처리시간 0.026초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LOSED MOUSE IMPRESSION TECHNIQUE)

  • 장완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37
    • /
    • 1975
  • The author conducted an clinical study of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with a case of complete denture patient of favorable ridge contour to see the effect on the lingual border molding of lower denture.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border was formulated a quite different contour from the open mouth impression technique. The obtained contour had to be reshaped considerably.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tissue was difficult to be maintained. However, the contour is surely stable and favorable form for the retention of the lower denture provided patient is possible to adapt.

  • PDF

하악 과두 골절과 심한 잔존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condyle fracture using gothic arch tracing and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 case report)

  • 최인호;김성아;김나홍;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45-152
    • /
    • 2020
  • 심미와 기능이 조화를 이루는 총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상하악 관계를 정확히 기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고딕아치 묘기법은 하악의 운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정확하고 반복재현성 있는 중심위를 확립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고도의 치조제 흡수를 갖는 환자에서는 총의치의 적절한 유지 및 안정을 얻기가 어려운데, 이런 경우 환자의 생리적인 동작으로 변연을 형성하여 의치상연 주위가 가동점막으로 봉쇄되도록 하는 폐구 인상법이 유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우측 하악과두골절 병력과 고도의 하악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환자에서 폐구인상법과 고딕아치 묘기법을 이용한 총의치로 수복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Sensitive NDE of Small Fatigue Cracks

  • Saka, Masumi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31
    • /
    • 2001
  • Some techniques developed recently for sizing smalt fatigue cracks are described. One is an ultrasonic technique which deals with a small closed crack, where both the stress closing the crack and the crack size are determined by analyzing inverse problem. Her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NDE of closed cracks by usual ultrasonic techniques are summarized in advance. Secondly, the closely coupled probes potential drop (CCPPD) technique, which is based on d-c potential drop measurement, is explained fur sizing small cracks. The CCPPD technique is not affected by crack closure. Finally, a discussion is given on NDE of materials degradation in conjunction with sensitive NDE of small cracks.

  • PDF

Effective technique to analyze transmission line conductors under high intensity winds

  • Aboshosha, Haitham;El Damatty, Ashraf
    • Wind and Structures
    • /
    • 제18권3호
    • /
    • pp.235-252
    • /
    • 2014
  • An effective numerical technique to calculate the reactions of a multi-spanned transmission line conductor system, under arbitrary loads varying along the spans, is developed. Such variable loads are generated by High Intensity Wind (HIW) events in the form of tornadoes and downburst. First, a semi-closed form solution is derived to obtain the displacements and the reactions at the ends of each conductor span. The solution accounts for the nonlinearity of the system and the flexibility of the insulators. Second, a numerical scheme to solve the derived closed-form solution is proposed. Two conductor systems are analyzed under loads resulting from HIW events for validation of the proposed technique.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es (FEA) are also conducted for the same two systems. The responses resulting from the technique are shown to be in a very good agreement with those resulting from the FEA, which confirms the technique accuracy. Meanwhile, the semi-closed form technique shows superior efficiency in terms of the required computational time. The saving in computational time has a great advantage in predicting the response of the conductors under HIW events, since this requires a large number of analyses to cover different potential locations and sizes of those localized events.

폐구인상채득법을 이용한 임플란트 인상채득 증례 (Implant impression using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 a case report)

  • 김소연;김주현;정경화;전혜미;강은숙;윤미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3호
    • /
    • pp.223-229
    • /
    • 2017
  • 단일 치아의 인상채득을 위해서는 바이트 트레이를 이용한 폐구인상법이 선호된다. 그러나 임플란트 인상채득을 위해서는 단일치와 다수치 구분 없이 편악 트레이를 이용한 개구인상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바이트 트레이를 이용하는 폐구인상법은 시간이 절약되고 재료가 적게 들며, 모형의 교합기 부착 시 상하악 악간 위치 관계 오차 발생 확률이 적다. 본 증례에서는 2 가지 종류의 폐구인상용 코핑을 이용해 바이트 트레이로 인상채득 후 단일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고자 한다.

자장감쇠법을 이용한 $(Bi,Pb)_2Sr_2Ca_2Cu_3O_x$/Ag 초전도선재의 접합저항 측정 (Measurement of Joint Resistance of $(Bi,Pb)_2Sr_2Ca_2Cu_3O_x$/Ag Superconducting Tape by Field decay Technique)

  • 김정호;이승묵;주진호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12
  • We fabricated a closed coils by using resistive-joint method and the joint resistance of the coils were estimated by field decay technique in liquid nitrogen. We used the Runge-kutta method for the numerical analysis to calculate the decay properties. The closed coil was wound by $(Bi,Pb)_2Sr_2Ca_2Cu_3O_x$/Ag tape. Both ends the tape were overlapped and soldered to each other. The current was induced in a closed coils by external magnetic flux density. Its decay characteristic was observed by means of measuring the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ed by induced current at the center of the closed coil with hall sensor. The joint resistance wa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inductance of the loop to the time constants. The joint resistances were evaluated as a function of critical current of loop, contact length, sweep time, and external magnetic flux density in a contact length of 7 cm. It was observed that joint resistance was dependent on contact length of a closed coil, but independent of critical current, sweep time, and external magnetic flux density. The joint resistance was measured to be higher for a standard four-probe method, compared with that for the field decay technique. This implies that noise of measurement in a standard four-probe method is larger than that of field decay technique. It was estimated that joint resistance was $8.0{\times}10^{-9}{\Omega}$ to $11.4{\times}10^{-9}{\Omega}$ for coils of contact length for 7 cm. It was found that 40Pb/60Sn solder are unsuitable for persistent mode.

Open and 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s for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Two Cases Report

  • Ha-Jin, Yoon;Jung-Yoon, Bae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52-161
    • /
    • 2022
  •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is a good treatment option for complete edentulous patients with restoring removable prosthesis.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with two implants and locator attachments is widely used. It is tissue-supported overdenture that is made with the concept of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There are two patients who provided impressions by open mouth technique and closed mouth technique in each case. In both cases,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were restored with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satisfying results.

경사지게 식립된 임플랜트 모형에서 지대주를 인상용 코핑으로 이용한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accuracy of new implant impression technique using abutments as impression copings with an angulated implant model)

  • 이혁재;김창회;임영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1-208
    • /
    • 2008
  • 연구목적: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를 인상용 코핑으로 이용하고 레진이나 금속 구조물에 접착하여 스플린팅하는 새로운 인상법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3개의 임플랜트가 $15^{\circ}$ 경사지게 식립된 모형에서 closed tray 인상법과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것이고 두 번째,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을 앞의 두 가지 인상법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개의 임플랜트 아날로그가 선상으로 배열되고 가운데 아날로그는 모형에 수직이고 양쪽 끝 아날로그는 이것에 앞뒤로 $15^{\circ}$ 경사지게 배열된 주모형과 주모형에 잘 적합되는 기준구조물을 제작하였다. closed tray 인상법,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 지대주-레진구조물 접착 인상법, 지대주-금속구조물 접착 인상법, 각 10개씩 40번의 인상을 채득하여 복제모형을 제작하였다. 이미지 처리할 수 있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준구조물과 복제모형내의 아날로그와의 수직간격을 측정하여 인상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one-way ANOVA와 사후 검정으로 Tukey test를 5% 유의수준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closed tray 인상법;74.3 (${\pm}33.4$)${\mu}m$의 간격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과 다른 두 가지 새로운 인상법보다 간격의 크기가 통계적 유의성 있게 컸다(P<.05). 지대주-금속구조물 접착 인상법;42.5 (${\pm}11.9$)${\mu}m$은 다른 인상법들 보다 간격의 크기가 통계적 유의성 있게 작았다(P<.05). 지대주-레진구조물 접착 인상법;51.0 (${\pm}14.1$)${\mu}m$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50.3 (${\pm}16.9$)${\mu}m$과 통계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이 연구의 한계 내에서,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은 closed tray 인상법보다 우수한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지대주를 금속구조물에 접착하는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보다 우수하였다.

Intelligent Digital Redesign for Nonlinear Interconnected Systems using Decentralized Fuzzy Control

  • Koo, Geun-Bum;Park, Jin-Bae;Joo, Young-Ho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420-428
    • /
    • 2012
  • In this paper, a novel intelligent digital redesign (IDR) technique is proposed for the nonlinear interconnected systems which can be represented by a Takagi-Sugeno (T-S) fuzzy model. The IDR technique is to convert a pre-designed analog controller into an equivalent digital one. To develop this method, the discretized models of the analog and digital closed-loop system with the decentralized controller are presented, respectively. Using these discretized models, the digital decentralized control gain is obtained to minimize the norm between the state variables of the analog and digital closed-loop systems and stabilize the digital closed-loop system. Its sufficient conditions are derived in terms of linear matrix inequalities (LMIs). Finally, a numerical example is provi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

하악 치조골이 심하게 위축된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made with closed-mouth impression technique on severely atrophied edentulous jaw)

  • 이석환;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95-202
    • /
    • 2019
  • 치과보철과에는 장기간 총의치를 사용해 온 고령 환자 중에서 발치 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심하게 치조골이 위축된 상태로 환자들이 종종 내원하게 된다. 통상 하악 총의치는 하악 협붕 부위의 1차 지지를 기반으로 한 개구인상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악 총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진단에서부터 의치 주위 조직의 기능 및 의치상의 경계, 교합평면, 악궁의 대합관계, 인공치아의 배열, 저작습관, 그리고 환자에 대한 교육과 장착 후 주의 사항 등을 충분히 고려해두어야 한다. 그러나 치조골 위축이 심하게 발생된 무치악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하악 총의치는 간혹 실제 저작과정에서 유지와 안정에 한계를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총의치 제작 방법을 선호하는 임상가들에 의해 개구인상법과 폐구인상법을 비롯한 다양한 인상채득 방법을 비교한 연구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폐구인상법을 토대로 한 기능인상으로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여 동일한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보다 나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확인했고, 심하게 치조골이 위축된 상태의 구강조건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와 폐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한 내용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