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practice

검색결과 4,402건 처리시간 0.034초

치주염이환 치아표면에 부착된 치석과 치주조직의 형태 계측학적 연구 (Morphometric study of the calculus and periodontal tissues adhered to the root surfaces in periodontitis)

  • 김종관;이승원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621-631
    • /
    • 1997
  • To verify the effect of subgingival calculus on the periodontal tissues in periodontitis and the effectiveness of supragingival scaling to remove the calculus, 30 teeth from healthy group (Probing pocket depth:$PPD{\leq}mm$: HP group), 15 teeth from moderate group ($4{\leq}PD<7mm$:MP group), 30 teeth from advanced group (PPD>7mm: AP group) were selected and supragingival scaling was performed before extraction of all experimental teeth. After careful extraction, the teeth were cleaned with saline and disclosed with toluidine blue and carefu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and distance between the calculus attached on the root surface and periodontal tissues. As a result, it was; 1. The calculus was not discovered on the root surface of teeth in HP group, but was in MP and AP group, mostly on interproximal surface and furca area. The shape of the attached calculus was ovoid, trepazoid and polygonal and the calculus was distributed randomly over the root surface. 2. PPD was mor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gingival margin to the level of attached connective tissue in AP group rather than in HP and MP group. 3. The length of calculus was $2.7mm{\pm}.44mm$ in HP group and $4.1{\pm}.89in$ AP group. 4. The distance between the apical margin of calculus and the level of attached connective tissue was $2.4{\pm}.33mm$ in MP group and $3.4{\pm}.89mm$ in AP group. 5. The length of subgingival calculus was tended to increase in relation to the probing pocket depth.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e calculus in periodontal pocket can not be removed completely with supragingival scaling. As the terminal part of calculus was far away with limited distance from the periodontal tissue, it can be said that the calculus was not a direct factor in destroying the periodontal tissue. In this study, the extent of the plaque was not verified but the location of calculus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for complete removal of calculus when the distance relation bewteen calculus and plaque will be known.

  • PDF

CT검사건수 및 CT검사에 의한 집단 실효선량의 추정 (Survey of CT Practice and Collective Effective Dose Estimation)

  • 이만구;임청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3호
    • /
    • pp.231-237
    • /
    • 2010
  • CT장치는 많은 발전과 임상적 유용성이 향상되고, 의료영상 진단 장치로 중요성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이용률과 보급률이 더욱 증가되고 있는 실정에서 CT에 의한 진단은 환자의 피폭선량이 비교적 높은 검사이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량이 계속 증가될 것이므로 이에 따른 방사선 피폭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CT검사건수 및 CT 검사에 의한 집단실효선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DLP(총 선량의 측정값)는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비의 각각의 검사 영상에 대하여 평균의 선량을 적용하고 계산하여 조사하였으며, CT검사건수는 의료보험심사평가원의 2008년도 발표 자료를 참고로 하여 의료기관 종별로 3년간 검사 통계를 EUR 16262에서 제시된 부위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CT장비의 도입규제 완화정책으로 2010년 3월 말 현재 국내에서 총 1,825대를 보유하고 있고, 인구 백만 명 당 36.8대이다. 의료기관별 CT장치의 설치비율이 의원급에서는 570대로 2.1 %, 병원 급에서 52.5 %의 기관이 보유하고 있다. 종합전문요양기관은 기관 당 장치가 3.84대이며, 종합병원은 1.44대를 보유하고 있다. 1996년 건강보험급여가 실시된 이후 CT진료비 청구건수와 진료비용은 10년(2006) 만에 5배에 가깝게 급증하고 있다. 2007년 전국에서 실시한 CT검사건수는 329만 건이었다. 인구 천 명당 검사건수는 68건이었다. 부위별 검사건수는 복부와 골반검사가 가장 많았다. 집계결과를 2007년도 통계청 우리나라 총 인구는 48,456,000명을 이용하여 연간으로 추계한 총 집단실효선량을 나누어 구한 국민 1인 당 선량은 0.952 mSv로 추정되었다. CT검사는 앞으로도 증가가 예상되며, 투시 등 응용도 확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장치의 발전도 눈부실 것이며, 환자 각자의 체격에 따라 자동적으로 가장 적합한 검사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피폭의 최적화가 기대된다.

국내 주요 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생물학적 측정법(Biological measurement)을 이용한 연구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in Major Korean Nursing Journals)

  • 김주현;최명애;김윤경;김진학;김희승;박미정;신기수;안경주;이윤미;이경숙;정재심;채영란;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61-72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requency,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published from 2000 to 2004 in 10 major nursing journals in Korea, Design: Literature analysis. Method: Journals including paper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s, publishing year, research design and outcome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1.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were 318(13.3%). 2.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in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were highest(97papers, 17.5%) among the nursing journals. The proportion of paper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to total number of papers was the highest in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as 77.3%(51papers). 3. The 233 papers(73.3%) were experimental researches among 318 paper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which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4. Patients were highest subjects of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197papers, 61.9%). 5. Blood test was most frequently used as physiological variables from 2001 to 2004. Conclusion: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of 10 Korean Nursing Journals in year 2000-year 2004 were very low. We need more researches using biological measurement to provide more objective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 PDF

생명공학기술적 관점에서 질병중심 중개연구의 효율적 성과분석에 대한 실증연구 (Effective Performance Analysis of Disease-oriented Translational Research from a Point of View of Biotechnology)

  • 전수환;정성철;제영태;김기태;김명환;박성호;전혜경;권준영;김동일;김동석;이경민;선경
    • KSBB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12
  • Recently, translational research (TR) in health technology (HT) has been considered as an emerging alternative research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health. TR from bench to bedside involves a strong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basic science discovery and clinical practice. To support R&D planning and policy in HT effectively, the performance of TR programs was analyzed and evaluated in a R&D project on health and medical technology. TR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unilateral TR, bilateral TR and multilateral TR. Bibliometrics and cit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ssess research papers and gather information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R programs. In addi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using ISI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Citations, SCOPUS and Knowledgematrix. In conclusi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R programs could significan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R&D plans, R&D management and evaluation for a safe and healthy life.

Fe(NO3)3 수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에 따른 지르코니아의 색상 및 특성 변화 (The change of color and physical properties of zirconia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and dipping time of Fe(NO3)3solution)

  • 서정일;박원욱;고재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1-290
    • /
    • 2016
  • Purpose: The increased aesthetic requirements and demands of patients have resulted in the developments of coloring liquid for zirconia. Methods: In this study, zirconia block was dipped into $Fe(NO_3)_3$solution, which showed a color and then concentration of $Fe(NO_3)_3$and zirconia's color and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dipping time were observed and compared with exclusive coloring solutions. As the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Results: When compared with the specimens that were colored using exclusive solutions, $L^*$ value rose overall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Fe(NO_3)_3$and $a^*$ value was red in the form of (+) in all the specimens. Also, $b^*$ value was in the form of (+) at 0.5 to $1{\ss}fl$, but was in the form of (-) at 1.5 to $2{\ss}fl$. The dipping time did not highly influence $L^*$ value, but $a^*$ value and $b^*$ value were directly opposite to the specimens, which were not colored, except the sample that was dipped for only 2 seconds. When compared with exclusive coloring solutions, $Fe(NO_3)_3$had the most similar color at 0.5 to $1{\ss}fl$ and the longer the coloring time, the higher the rate of color change became. In relation to the density change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Fe(NO_3)_3$, there was the lowest density at $2{\ss}fl$ and the density was increased in the specimens that were not colored.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Fe(NO_3)_3$solution can be used to make colored zirconia. It is expected that newly made colored zirconia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because the colored zirconia not only possesses the mechanical properties that all ceramic core material should have but also was biocompatible to a living cells.

임상간호사의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2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The Effect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 on Nurses in Secondary Hospitals)

  • 장경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648-7655
    • /
    • 2015
  •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대상자들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간호서비스 질은 간호사의 직무태도와 행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였다. 그 것은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조직시민행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임상실무에서는 간호사들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시민행동이 매우 중요하며 조직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의 중요한 영향요인이다.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이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지역 소재 500병상 미만의 2차 의료기관 3곳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Win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ra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총 조직공정성과 그 하위요인 인 분배, 절차,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172~.540, p=.000). 또한 총 조직공정성은 29.1%의 설명력을 가지고 총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beta}$=.540)을 미쳤다(F=93.777, p=.000).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절차공정성을 제외한 분배공정성(${\beta}$=.283)과 상호작용공정성(${\beta}$=.249)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성과, 보상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사회적 관계인 상호작용공정성에 초점을 맞춘 간호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의 비교 - 정신과입원환자를 대상으로 - (Comparison between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ment of Sleep in Psychiatric Inpatients)

  • 정현강;이문수;고영훈;임세원;김승현;정인과;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30-39
    • /
    • 2010
  • 연구목적 : 임상현장에서 주로 환자나 간호사의 주관적인 수면보고에 의존하여 수면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을 이용한 수면평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 32명의 정신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들에게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 수면일지, 주관적인 수면의 질에 대한 시각적 증상 정도 평가, BDI, STAI를 시행하였다. 간호사도 3일 동안 한 시간마다 환자의 수면을 평가하였다. 결 과 : 환자의 보고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측정상 입면잠복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는 간호사보다 자고 있음에도 깨어있었다고 더 많이 보고하였다.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 수면평가의 차이는 불안, 우울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주관적으로 수면의 질을 낮게 평가하는 환자일수록 활동기록기로 측정한 입면잠복시간과 더 큰 차이를 보였고, 우울, 불안 증상이 심한 환자의 수면보고는 활동기록 측정값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런 환자들에게 수면의 질에 대한 질문만으로는 정확한 수면평가가 어려우므로 객관적인 수면평가가 필요하겠다.

  • PDF

Associations of serum levels of vitamins A, C, and E with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mong elderly Koreans

  • Kim, Sung Hee;Park, Yeong Mi;Choi, Bo Youl;Kim, Mi Kyung;Roh, Sungwon;Kim, Kyunga;Yang, Yoon J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2호
    • /
    • pp.160-165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Korea is quickly becoming an aged society. Dementia is also becoming a vital public health problem in Korea. Cognitive impairment as a pre-stage of dementia shares most risk factors for dementi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associations of serum levels of vitamins A, C, and E with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mong elderly Koreans. SUBJECTS/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a total of 230 participants aged 60-79 years from Yangpyeong cohort were included.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The logistic multivariable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rum vitamins A, C, and E on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nd serum levels of vitamin A and vitamin C. There was a significant odd ratio when the second tertile group of beta-gamma tocopherol level was compared to the first tertile group [odds ratio (OR) = 0.3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4-0.98, P for trend = 0.051]. In subgroup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beta-gamma tocopherol level and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in men (OR = 0.17, 95% CI = 0.03-0.87, P for trend = 0.028), non-drinkers or former drinkers (OR = 0.13, 95% CI = 0.02-0.66, P for trend = 0.025), and non-smokers or former smokers (OR = 0.27, 95% CI = 0.09-0.82, P for trend = 0.017). CONCLUSION: Serum beta-gamma tocopherol levels tended to be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Further prospective large-scaled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is association.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역량과 팀활동 경험 (Teamwork Competency and Team Activity Experiences in Capstone Design Nursing Research Course)

  • 민혜영;김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05-716
    • /
    • 2020
  •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역량 효과와 팀활동 경험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한 통합연구(Triangulation)이다. 연구대상자는 D대학교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를 수강한 간호대학생 99명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수업 전, 후의 팀워크역량을 비교하였으며, 팀별 성찰일지의 서술형 자료를 통해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에서의 팀활동 경험을 질적내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수행역량이 수업 후 유의하게 높아 졌으며(t=-2.166 p=.033), 과제수행역량 중 목표실행능력이 수업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2.224, p=.028). 대인관계역량 중 리더십이 수업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2.085, p=.040). 팀활동 경험 내용은 '자원관리의 어려움', '개인의 노력과 역량 발휘의 중요성 인식', '효과적인 역할 분배를 위한 노력',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깨달음', '임상실무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함'의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개인의 노력과 역량 발휘, 효과적인 역할 분배와 의사소통을 통해 임상실무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팀활동 경험을 제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팀워크역량 강화를 통해 간호연구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에 활용해야할 것이다.

Fluorouracil의 환경감시 및 제거약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Monitoring of Fluorouracil and Decontamination Reagents)

  • 이수길;이내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52
    • /
    • 2009
  • 이 연구는 Fluorouracil(5-FU)가 병원에서 암치료제로 쓰이는 세포독성약제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병원내부에 5-FU의 폭로 정도와 그 관리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세척약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세포독성 약제실이나 종약학 병동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들은 세포독성약제로 오염된 표면에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면 세포유전성이나 DNA손상에 대한 위험이 높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약제의 세척제실험을 위하여 4가지 약제로서 시행한분해시험에서 0.5%(w/v) NaClO 용액만이 5-FU를 즉시 분해시켰으므로 이 용액은 오염표면의 잔유물을 분해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세포독성 약제실의 오염표면에서 확인된 농도범위는 2.0에서 $13.8{\mu}g/m^2$까지이고, 종약학 병동의 오염표면에서 측정한 농도범위는 5.39에서 $11.53{\mu}g/m^2$이었다. 5-FU와 같은 세포독성약제로부터 피부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작업장의 노출허용기준과 같은 법적인 조치, 완벽한 표면세척제 및 보호구사용과 같은 엄격한 관리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