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nurses

검색결과 2,355건 처리시간 0.036초

뇌졸중 환자의 말, 언어장애 선별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 및 훈련효과 (Inter-rater Reliability and Training Effec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 for Stroke Patients)

  • 김정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07-413
    • /
    • 2011
  •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유무를 정확히 판별하고 환자의 미세한 언어적 변화를 적절히 관찰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신뢰로운 검사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검사자가 해당 도구의 사용에 있어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의 진단에서 검사자의 전공영역에 따른 관찰자간 신뢰도를 살펴보고 훈련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침상에 있는 뇌졸중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언어치료사, 신경과 전공의, 그리고 간호사 각각 4명씩 총 12명이 동시에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전공 영역의 전문가들 간에 말명료도 과제와/아/모음연장발성 과제의 '음질' 영역에서만 'acceptable'로 나타났고, 나머지 하부검사 영역에서는 'good-excellent'로 나타났다. 관찰자간 신뢰도가 'acceptable'로 나타난 과제들에 대해 3주간의 비디오 훈련 전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훈련 후 말명료도 과제에서 검사자들 간의 평정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음질' 평정의 정확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상 경험 정도와 각 하부검사에 대한 평정 정확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언어치료사들은 임상 경험 정도가 증가할수록 그림설명하기 과제와 말명료도 과제에서, 그리고 의사 및 간호사들은 그림설명하기 과제에서 판정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진단에 있어 신경언어장애 환자 중, 특히 말장애환자에 대한 꾸준한 경험과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며, 훈련을 통해 평정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담간호사 운영현황과 역할 실태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 곽찬영;박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83-595
    • /
    • 2014
  • 본 연구는 전담간호사의 운영현황 및 업무 실태를 전수조사 하여 전담간호사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총 318개의 종합병원 이상의 의료기관 부서장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141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704명의 전담간호사를 대상으로 2011년 4월부터 5월에 자료수집이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담간호사의 평균연령은 32.5세이며, 교육수준은 대졸이 가장 많았고, 전문간호사 자격증 보유자는 13.4%이었고, 전담간호사의 전반적인 업무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3점이었으며, 불명확한 업무 구분이 전담간호사를 가장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담간호사 역할정립을 위해 업무에 대한 법적 보호 장치 마련(5점 만점에 평균 4.71)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담간호사 실태는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한 낮은 만족도, 부적합한 자격과 업무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전담간호사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담간호사를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며, 한국 실정에 맞는 전담간호사 제도 확립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겠다.

산업장의 건강검진과 보건관리실태에 관한연구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iodic Medical Examination, and Health Care Management Programs of Industries -Busan City Province-)

  • 황보선;신유선;윤석옥;이지현;김정순;김이순;김복용;강영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2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dition of periodic medical examination and the health care services of industries in order to offer some basic data on developing industrial nursing care. To achieve this goal a self - administe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cademic affairs of community health nursing) was provieded to the nurses in 56 industries from Dec. 10, 1992 to Jan. 20, 1993. The statistical computer package, SPSS, was used to manipulate the data along with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s: The greater part of the industries were manufacturing company, and below 300 employees of industry were 55.4%. The shift system was mostly one shift(66.1%) and three shift(23.2%), and 50.0% them organized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Commitee. Average a number of employees was 631 person. 2. Periodic Medical Examination: Most of the workers were receiving periodic medical examination from the designated hospital (95.71%). From the about 12.89% were gone through a colse medical examination. In colse medical examination 58.41% were decided 'C' and 36.73% were decided 'D'. About 6.23% off those who had any clinical findings were work-time shortening(7.84%), work-transition(8.12%), recoverating at home. The majority of the workers receive the result of the periodic medical examination individually (78.5%). 3. Special medical examination: The rate of those who are receiving special medical examination were 76.82% and about 8.24% were decided 'C' and 1.23% were decided 'D' Those who had any health problems were receiving follow-up checking (9.10%) and medical treatment while working (15.04%). The health managers in the company can consult (85.7%) those who had any suspicious sign and symptoms of occupational disease. 4. Health care services: The average score of health care services were 17.57 point out of 28 point, and the score was lower in health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hygiene than medical diagnosis and health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hygine (F=3.72, P=0.017), health care services(F=3.94, P=0.013)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ize of the industries The other's significancy is not shown by any type of industrial nurse. The level of health care services were higher in the wokers who had better health and showed no singificant differences(T=-0.73, P=0.470).

  • PDF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논문 분석 (Analyses of Studies on the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Elderly with Dementia)

  • 차현수;황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91-40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낙상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문헌 검색은 치매, 알쯔하이머, 알츠하이머, 낙상, 낙상예방을 검색어로 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4u.net),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http://kiss. kstudy.com)와 pubMed, CINAHL을 통해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을 검색하였다. 전자 자료를 검색한 후 연구자가 원본을 확인하여 선별한 13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중재분야는 운동 치료(8편, 61.5%), 물리 치료와 작업 치료(2편, 15.4%), 보완대체요법(2편, 15.4%), 음악 치료(1편, 7.7%)이었다.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의 체크 리스트로 논문의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 결과 10점 만점에 9점인 연구가 2편, 8점인 연구가 5편, 7점인 연구가 6편이었다. 낙상예방 중재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재시간은 1회당 평균 55분을 시행하였고 중재 총 시행 횟수는 평균 37회이었다. 분석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운동 치료(타이치 포함), 음악 치료, 물리 치료와 작업 치료, 율동 동작 치료 등이 치매노인의 낙상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 현장에서 간호사에 의한 낙상예방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 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Selection and optimization of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s for esophageal cancer patients in China

  • Dong, Wen;Liu, Xiguang;Zhu, Shunfang;Lu, Di;Cai, Kaican;Cai, Ruijun;Li, Qing;Zeng, Jingjing;Li, Me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1호
    • /
    • pp.20-24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Malnutrition has multiple impacts on surgical succ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costs, particularly for cancer patients. There are various nutrition risk screening tools available for clinical use. Herein, we aim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al risk screening system for esophageal cancer (EC) patients in China. SUBJECTS/METHODS: In total, 138 EC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evaluated by experienced nurses using three different nutritional screening tools, the Nutrition Risk Screening 2002 tool (NRS2002), the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e Assessment (PG-SGA), and the Nutrition Risk Index (NRI).We compar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likelihood ratios, and Youden index generated by each of the three screening tools. Finally, cut-off points for all three tools were re-defined to optimize and validate the best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 for assessing EC patients. RESULTS: Our data suggested that all three screening tools were 100% sensitive for EC patients, while the specificities were 44.4%, 2.96%, and 59.26% for NRS 2002, PG-SGA, and NRI, respectively. NRI had a higher positive likelihood ratio as well as a higher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compared to those of NRS 2002 and PG-SGA; although, all three tools had null negative likelihood ratios. After adjusting the cut-off points, the specificity and accuracy for all tool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the NRI remained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al risk screening system for EC patients. CONCLUSIONS: The NRI is the most suitable (highest sensitivity and accuracy)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 for EC patients. The performance of the NRI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f the cut-off point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using MedCalc software.

투약적용의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Clinical Decision Making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 김명수;박정하;김성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650-1662
    • /
    • 2014
  • 본 연구는 고위험약물의 투약조정을 위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구축하고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xcode 4.5와 ios 6.1 SDK(software development kit)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4주간의 중재 후 35명의 중환자실 간호사들에게 기능적, 내용적, 화용적 측면의 만족도를 물었다. 또한 하루의 사용횟수와 사용의 빈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서술적 분석, ANOVA를 적용하였다. 약물계산 식을 개발하고 과다 혹은 과소 용량에 대한 알람을 주는 과정을 개발하였고, 고위험 약물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였다. 만족도와 관련된 문항 중 이 어플리케이션은 약물계산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문항이 3.14점이었으나 이 어플리케이션에 만족한다는 문항은 2.94에 그쳤다. 하루의 사용횟수와 사용빈도와 관련해서 만족도의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 근거할 때 추후 더욱 진보된 고위험약물을 위한 투약조정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환자안전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웃음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관절통증, 관절기능상태,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Joint Pain, Functional Status of Knee Joint and Depression in Elderly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

  • 이임선;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40-449
    • /
    • 2020
  • 본 연구는 웃음요법이 퇴행성 관절염 노인 환자의 관절 통증, 관절기능 이상, 우울에 주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을 통해 S시의 경로당 및 복지관을 이용중인 65세 이상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을 선정하였다. 2019년 1월 8일부터 3월 11일까지 주 2회, 회당 60분, 8주, 총 16회의 웃음요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VAS, 압통역치, WOMAC, 한국형 노인 우울 단축형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역치(p=.012)와 통증, 관절경직, 신체기능을 측정하는 관절기능상태(p<.001), 우울(p<.001)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 후 개선되어 웃음요법이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웃음요법은 육체적 또는 지적 활동을 통해 웃음을 경험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으로 침습적인 시술이 이루어지지 않고 약간의 훈련으로 간호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웃음요법을 지역사회 및 임상 현장에서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우울을 개선하는 중재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가정 호스피스 운영 실태 (The Status of Home-Based Hospice Care in Korea)

  • 박재순;윤수진;정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2호
    • /
    • pp.98-107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가정 호스피스 기관의 서비스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가정 호스피스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가정 호스피스의 표준 설정과 제도화, 다양한 호스피스 유형들의 연계 체계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2011년 5월을 기준으로 확인된 호스피스 기관 166개 중 의학적 돌봄을 포함하는 가정 호스피스를 운영한다고 응답한 29개 기관 전수의 질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대상 기관 중 호스피스 입원 병실이 있는 경우는 51.7%, 순수 가정형은 34.5%이었다. 팀 구성원은 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각각 62.0%, 62.1%, 팀 구성원의 방문은 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각각 평균 8.84회와 6.0회, 팀 회의는 월평균 2.65회, 비용은 대부분 무료로,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방법에는 개인의 기부가 가장 많았다. 하루 평균 방문 환자 수는 평균 2.46명, 비암성 환자는 6.9%의 기관만이 돌보고 있었다. 58.6% 기관에서 협력의뢰를 위한 공식적인 체계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방문 범위는 44.8%에서 거리나 시간에 제한을 두고 있었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가족 상담과 서비스 연계가 가장 많았고, 가정 호스피스 의뢰방법은 환자 및 가족의 직접 의뢰가 51.7%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의료장비 및 물품을 갖추고 있는 반면 특수 장비는 부족하였다. 호스피스 전용병상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정부 및 공공기관의 후원으로 이루어지고 서비스 측면에서는 팀 회의, 통증조절, 증상조절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기관운영 장애요인으로는 재정문제, 인력부족, 호스피스 인식 부족의 순위를 보였으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수가제도화'라고 주장하였다. 결론: 현재 우리나라의 가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많은 제한이 있으므로 빠른 제도화와 서비스 표준 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X-ray 이미지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심전도 측정시스템 개발 (Using the X-ray Image, Augmented Reality based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Development)

  • 이광인;장진수;이태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31-339
    • /
    • 2016
  •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습관 변화로 인한 만성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심뇌혈관질환은 사망원인의 약 20%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심장의 이상을 측정하는 검사는 심전도검사로, 심장의 리듬을 전기적으로 측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심전도 검사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극의 부착 위치인데,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모두 정확하게 부착한 것은 2.6%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션 기반의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 본인의 Chest X-ray 사진을 흉부에 중첩시켜 투영시킴으로써 정확한 전극 부착위치를 쉽게 알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와 개발한 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더니 2.6cm의 오차를 보였다. 그에 따른 심전도 결과에서도 V1, V2, V3위치에서 눈에 띄는 파형의 차이가 있었다. 본 시스템으로 정확하게 측정된 심전도는 의료진들의 환자관리 및 임상적 의사결정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삼기활력약침이 불면, 피로에 미치는 효과 (The Clinical Review of Samgi-Halleak Pharmacopuncture Effects for Insomnia & Fatigue)

  • 이유환;권기순;이승훤;이은솔;김철홍;장경전;송춘호;김영균;김원일;윤현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01-113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mgi-Halleak pharmacopuncture treatment on insomnia and fatigue. Methods : This study was done with 47 nurses under shiftwork schedul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Samgi-Halleak pharmacopuncture treated group(experimental group, N=24), normal saline treated group(control group, N=23). The procedures had been conducted to the subjects injecting 0.1~0.2mL total 1mL, 0.5~1cm deep on each acupoint 2 times per week. The acupoints were Pungji($GB_{20}$), Gyeonjeong($GB_{21}$), Sinsu($BL_{23}$). Both of groups were treated total 8 times, but control group was treated additional pharmacopuncture the same way as experimental group after 8 times normal saline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nsomnia and fatigue at baseline and post pharmacopuncture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Paired t-test, ${\chi}^2$-test by SPSS 18.0 Windows program. Results : After 8 times treatment, the scores of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somnia and fatigue. Compar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re were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in the scores of insomnia and fatigue. Conclusions : Samgi-Halleak pharmacopuncture can be used for effec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insomnia and fati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