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Laboratory Science

검색결과 2,457건 처리시간 0.028초

[18F]FET PET is a useful tool for treatment evaluation and prognosis prediction of anti-angiogenic drug in an orthotopic glioblastoma mouse model

  • Kim, Ok-Sun;Park, Jang Woo;Lee, Eun Sang;Yoo, Ran Ji;Kim, Won-Il;Lee, Kyo Chul;Shim, Jae Hoon;Chung, Hye Kyung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248-256
    • /
    • 2018
  • O-2-$^{18}F$-fluoroethyl-l-tyrosine ($[^{18}F]FET$) has been widely used for glioblastomas (GBM) in clinical practice, although evaluation of its applicability in non-clinical research is still lack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 of $[^{18}F]FET$ for treatment evaluation and prognosis prediction of anti-angiogenic drug in an orthotopic mouse model of GBM. Human U87MG cells were implanted into nude mice and then bevacizumab, a representative anti-angiogenic drug, was administered. We monitored the effect of anti-angiogenic agents using multiple imaging modalities, including bioluminescence imaging (BLI),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mong these imaging methods analyzed, only $[^{18}F]FET$ uptak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2 and P=0.03 at 5 and 20 mg/kg,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18}F]FET$ PET is a sensitive method to monitor the response of GBM bearing mice to anti-angiogenic drug. Moreover, $[^{18}F]FET$ uptake was confirmed to be a significant parameter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anti-angiogenic drug (P=0.041 and P=0.007, on Days 7 and 12, respectively, on Pearson's correlation; P=0.048 and P=0.030, on Days 7 and 12, respectively, on Cox regression analysis). However, results of BLI or MRI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rvival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18}F]FET$ PET imaging is a pertinent imaging modality for sensitive monitoring and accurate prediction of treatment response to anti-angiogenic agents in an orthotopic model of GBM.

중소의료기관의 외부정도관리 시행과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Relevant Factors and External Quality Assessment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

  • 김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94-299
    • /
    • 2019
  • 국내 의료기관은 임상 검사의 질 향상을 위하여 외부 정도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나 일차 의료기관의 경우 기관장의 인식부족 및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미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임상 화학 분야 외부정도관리를 시행하고 종합병원 이상의 의료기관 외부정도관리 결과와 비교해 보며, 정도관리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중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3년간 년 1회 임상화학 분야 21개 종목의 외부 정도관리를 실시하고 항목별 분석방법, 변이계수, 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른 이상치를 분석하였다. 검사 항목별 분석 방법 및 변이 계수는 3년간 특이적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며, 중소 의료기관은 임상화학 검사의 분석방법이 다양하고 변이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정도관리에 영향을 주는 이상치(poor value)와 같은 오류 발생은 외부 정도관리를 실시하지 않을수록(p<0.05), 내부 정도관리의 주기가 매일 이루어지지 않을수록(p<0.01), 검사 량이 적은 의료기관 일수록(p<0.01)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중소 의료기관의 외부 정도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과 중소 의료기관 종사자를 위한 맞춤식 교육이 필요하다 하겠다.

재조합 mannose-binding lectin 단백질과 anti-mannose-binding lectin polyclonal 항체 제작 (Recombinant Mannose-binding Lectin Protein and Anti-Mannose-binding Lectin Polyclonal Antibody Production)

  • 권현미;박정애;최병태;최영현;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4-288
    • /
    • 2009
  • 선천성 면역은 숙주의 물리적 방어벽을 뚫고 침입하는 감염성 질병 원인균에 대항하는 첫 번째 방어로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Mannose-binding lectin (MBL 또는 mannan-binding protein, MBP)은 혈청 내에 존재하는 면역성 단백질로서 감염 후 즉시 유발되는 acute phase response의 특정 단백질이다. MBL 단백질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의 탄수화합물 구조에 결합하여 식균 작용을 돕거나 보체경로를 활성화 시킨다. MBL 단백질은 C-말단이 탄수화물을 인식하는 도메인이며, 연결 목 부위와 콜라겐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혈청 내의 MBL 농도가 낮으면 높은 빈도로 면역결핍현상이 관찰된다고 알려져 있다. MBL 단백질의 기능과 유전에 대해 많은 연구가 되어져 왔으나 아직 MBL 단백질 복합체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MBL 연구에 필수적인 MBL cDNA 제조와 재조합 단백질의 합성, 그리고 재조합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polyclonal antibody를 생산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결과로 획득한 MBL cDNA, 재조합 단백질과 anti-MBL 항체는 앞으로의 MBL 연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마우스에서 울금 에탄올 추출물의 단회 경구투여 독성에 관한 연구 (Acute Oral Toxicity Study of Ethanol Extract of Curcuma longa L. in Mice)

  • 김수환;이형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132-1136
    • /
    • 2014
  • 울금(Curcuma longa L., turmeric)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전통적으로 한약재, 향신료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 울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항돌연변이성, 항염증, 항암성 및 항균성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울금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이미 많이 이루어져 있는 반면 울금에 대한 독성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울금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을 BALB/c 마우스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울금 에탄올 추출물은 0, 20, 200, 2,000 mg/kg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14일간 관찰 후 희생시켰다. 울금 에탄올 추출물 투여 후 운동성, 비정상적 임상증상, 부검 소견상, 체중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적 측정과 다양한 장기의 무게에서도 유의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들 결과로 미루어볼 때 울금 에탄올 추출물의 단회 투여에 따른 치사량은 2,000 mg/kg 이상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되며 급성독성에 어떠한 유해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Electrical Stimulation Promotes Healing Accompanied by NOR in Keratinocytes and IGF-1 mRNA Expression in Skin Wound of Rat

  • Lee, Jae-Hyoung;Lee, Jong-Sook;Jeong, Myung-A.;JeKal, Seung-Joo;Kil, Eyn-Young;Park, Seung-Teack;Park, Chan-Eui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igh voltage pulsed Current (HVPC) stimulation on the healing rate and the proliferative activity of keratinocytes and IGF-I mRNA expression of an incisional wound in rat skin. Twenty male Sprague-Dawley rats ($265{\sim}290g$) were randomly divided into HVPC (n=10) and control group (n=10). Rats received 10 mm length of full-thickness incision wound on the back under the anesthesia. The HVPC group received electrical stimulation with a Current intensity of 50 V at 100 pps for a duration of 30 minute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same treatment without electricity for a week. Polarity was negative in first three days and positive thereafter. The wound length was measured and evaluated as percentage. The mean number of nucleolar organizer regions (NORs) per nucleus and level of IGF-I mRNA expression were calculated. The mean percent of wound closure were $51.17{\pm}17.76%$ and $80.71{\pm}11.91%$, respectively, in the sham treated control and HVPC stimulated groups (t=-4.308, P<0.001). The mean NOR number per nucleus of the keratinocytes in the control and HVPC group were $1.85{\pm}0.20$ and $2.70{\pm}0.23$, respectively (t=8.638, P<0.001). The IGF-I mRNA level were $0.76{\pm}0.44$ and $1.32{\pm}0.41$, respectively, in the control and HVPC stimulated wounds (t=2.906,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NOR number per nucleus and IGF-l mRNA level with a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2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VPC may activate the rRNA of the basal keratinocytes and upregulate the IGF-I mRNA levels by alteration of the electrical environment, and it may increase 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keratinocytes in the skin wound of the rat.

  • PDF

Bacillus subtilis BK-17 유래 혈전용해효소(Bacillokinase)의 고체배양 (Solid Cultivation of Fibrinolytic Enzyme (Bacillokinase) from Bacilis subtilis BK-17)

  • 정영기;백현;서민정;김민정;이혜현;주우홍;김정인;최영현;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78-1483
    • /
    • 2009
  • 곡물을 소재로 혈행개선에 효과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BK-17을 이용하여 고체 배양을 시도하였다. 고체배양에 접종하는 미생물은 영양세포보다 포자 접종이 혈전용해효소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포자 생산을 위한 배지는 SFM (0.8% nutrient broth, 0.05% yeast extract, $10^{-1}$ M $MgCl_2$, $10^{-3}$ M $FeCl_3$, $10^{-4}$ $MnCl_2$, $10^{-5}$ M dipicolic acid, pH 6.5)이 최적이었고, 포자 생성에 대한 최적 pH 와 온도는 각각 pH6과 $30^{\circ}C$였으며 포자는 배양 후 60 시간에서 가장 많은 생산을 보였다. 각종 곡물을 기질로 하였을 때 녹두가 혈전용해능이 가장 높았으며 강낭콩, 검정콩, 대두, 옥수수는 녹두의 약 90% 수준의 활성으로 높은 혈전용해능을 보였다. 반면에 보리와 밀과 같은 탄수화물 곡물은 낮은 활성을 보였다. 고체 배양한 발효 대두는 단백질과 지질 함량에 있어 발효하지 않은 대두보다 약 10%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과 일반 아미노산의 함량 역시 발효 대두 쪽이 약 5 - 20% 높은 것으로 보아 혈행개선기능성 뿐만 아니라 식품으로 실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새로운 국내 분리 토끼출혈병바이러스(RHDVa)를 감염시킨 토끼에서의 경시적인 병리학적 변화와 조직 내 바이러스 항원 분포 (Sequential pathologic changes and viral distribution in rabbi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new Korean strain of rabbit hemorrhagic disease virus (RHDVa))

  • 박중원;전지은;양동군;박은정;김한;이명헌;황의경;이중복;우계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5-131
    • /
    • 2012
  • Rabbit hemorrhagic disease is a highly acute and fatal viral disease caused by rabbit hemorrhagic disease virus (RHDV). Since first outbreak in Korea 1987, RHDV has been continually affected in the country, but the pattern of outbreak seem to be changed.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athogenesis of the new RHDVa serotype, we therefore carried out to inoculate RHDVa to rabbits, and to examine the sequential histopathologic changes and viral distribution. Macroscopically, various sized dark red or white spots or appearance were observed in the liver, lung, kidney uterus and ureter. In euhanized rabbits, significant pathologic findings such as infiltration of heterophils and mononuclear cells were observed at 24 hours after inoculation (HAI), and these were sequentially extended periportal to centrilobular area. However, in dead rabbits, severe hepatic degeneration and/or necrosis with relatively weak inflammatory responses were observed. RHDV antigens began to detect in liver, spleen, and lung from 12 HAI by PCR. Immunohistochemically, RHDV positive cells were seen in only liver from 24 HAI, and the degree of immunogen reactivity was stronger in dead rabbits than in euthanized ones. In conclusion, RHDVa caused the subacute or chronic infection accompanying low mortality and moderate to severe inflammatory reaction in rabbits,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RHD could become endemic.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Digital을 이용한 수종의 구강양치액의 치면세균막 감소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Dental Plaque Reduction according to Various Mouthwashes Using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Digital)

  • 이새롬;김재홍;허성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34-439
    • /
    • 2013
  • 본 연구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강양치액(Listerine, Hexamedin)을 선정하여 치면세균막의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0명의 실험참가자를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동일한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교차연구모형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치면세균막 측정은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QLF-D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 제거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이종의 구강양치액 모두 치면세균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Listerine의 ${\Delta}R30$값과 ${\Delta}R70$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Hexamedin는 경우에서는 SPS와 ${\Delta}R30$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측정결과를 종합한 결과 Hexamedin이 Listerine보다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는 더 큰 폭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구강양치액은 효과적인 치면세균막 조절 제재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QLF-D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의 제거효과를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이 시도되었다. 추후에 임상적용 시 유용한 치면세균막의 평가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화학적 표식자에 따른 성인들의 골밀도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the Biochemical Variable Markers in Adults)

  • 김순근;권대철;송운흥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4호
    • /
    • pp.411-418
    • /
    • 2009
  • 성인들의 생화학적 표식자를 검사해 골밀도에 직접 관여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전적 또는 생화학적 인자들을 규명하고 성인들의 골다공증 병태생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등과의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2007년 9월 12일부터 2008년 3월 18일까지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남성 568명 여성 430명으로 총 998명 수진자를 대상으로 양 에너지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골밀도에 직접 관여하는 혈액의 생화학적 표식자는 인, 칼슘, 관절염, 헤모글로빈, 글루코오스, 간 기능검사의 GOT, GPT, $\gamma$-GTP를 측정하여 성인들의 골다공증 병태생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및 예방에 생화학적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 남성은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여성은 대퇴경부의 골밀도가 20대에서 가장 높았으나 척추는 40대에서 골밀도가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여성들 중 폐경 후의 여성들보다 폐경 전의 여성들이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의 생화학적 표식자 인에서 정상 기준치 이상 군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에서 골밀도가 높았으며 여성은 정상치군일 때가 대퇴경부와 척추에서 골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골밀도는 낮아지고 체중이 높아지면 골밀도는 높아졌다.

  • PDF

별아교세포 선택적 유전자 치료전달을 위한 PLGA 나노입자 개발 (Development of PLGA Nanoparticles for Astrocyte-specific Delivery of Gene Therapy: A Review)

  • 신효정;이가영;권기상;권오유;김동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49-855
    • /
    • 2021
  • 최근에는 나노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고 활용되면서 신약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나노입자는 약물의 단일 투여로 장기간 동안 혈중 약물 농도를 유지하고, 병리학적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방출되는 장점이 있어 비병리 주위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Poly (D,L-lactic-co-glycolic acid) (PLGA)는 가장 광범위하게 개발된 생분해성 고분자 중 하나이다. PLGA는 다양한 응용분야의 약물전달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FAD에 의해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승인되었으며, 유전자 치료제와 같은 제어방출제형에 널리 적용된다. PLGA 나노입자는 수동 및 능동 표적화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세포 유형에 고효율의 전달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PLGA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개발 후 표적 부위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하고 질병에 따라 장기간 유효 혈중 농도를 최적화한다. 이 리뷰논문에서 우리는 유전자 치료를 위한 PLGA 나노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성상 세포 선택적 나노입자의 개발을 조사하여 세포 특이적으로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