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ic Factors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37초

우리나라 증발접시 증발량과 Penman 증발량 추세 비교분석 (Comparisons of the Pan and Penman Evaporation Trends in South Korea)

  • 임창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5B호
    • /
    • pp.445-45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 및 월별 기후요소와 지역특성이 증발접시 증발량과 Penman 증발량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 52개 기상관측지점에서 관측된 연 및 월별 기후자료를 수집하여 추세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변량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연구지역의 지리적 요소와 기후요소가 증발접시 및 Penman 증발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단계입력방식의 다변량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년별 증발접시 증발량의 경우 지리적 요소로서 도시화율이, 기후요소로서 기온, 습도, 풍속, 일사량 등이 포함되어 이들 지리적 및 기후요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풍속에 의해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enman 증발량은 지리적 요소가 회귀식에 포함되지 않아서 지리적 요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수량을 제외한 다른 기후요소(기온, 습도, 풍속, 일사량)가 회귀식에 포함되어 이들 기후요소에 의해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풍속에 의해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증발접시 증발량 추세의 경우 7월에 지리적 요소로서 해안근접성이 회귀식에 포함되어 증발접시 증발량 추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별 및 다른 계절에서는 지리적 요소 및 기후요소가 회귀식에 포함되지 않아서 증발접시 증발량 추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enman 증발량 추세는 년별 및 월별 모두에서 지리적 요소가 회귀식에 포함되지 않아서 이들 지리적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요인과 잎담배 품질과의 관계 (Relation of Climatic Factors and Leaf Tobacco Quality)

  • 이용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0-124
    • /
    • 1995
  • 담배 재배 기간중 기상환경요인과 잎담배 품질 등급별 생산(율)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잎담배 생산성연구의 기초 자과로 이용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종 잎담배 고품질엽생산과 정상관의 관계식이 검정되는 기상요인은 4월하순의 강우량, 5월하순의 일조시수, 6월, 6월하순의 강우량과 일조시수, 7월중순의 평균기온이다. 2. 다음 부상관이 검정되는 기상요인은 4월하순의 최저기온, 5월중ㆍ하순의 강우량과 6월하순, 7월상순의 강우량이다. 3. 버어리종 잎담배 고품질엽생산과 정상관이 검정되는 기상요인은 4월, 5월하순의 강우량, 5월상순, 중순, 7월상순의 일조시수, 7월중순의 평균기온이다. 4. 다음 부상관이 검정되는 기상요인은 4월하순의 최저기온 5월상순, 중순의 강우량이다.

  • PDF

Outdoor $(1{\rightarrow}3)-{\beta}$-D-glucan Levels and Related Climatic Factors

  • Hwang, Sung Ho;Yoon, Chung Sik;Park, Jae Bum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7권2호
    • /
    • pp.124-128
    • /
    • 2014
  • Objectives: To evaluate the monthly variation in the airborne $(1{\rightarrow}3)-{\beta}$-D-glucan level throughout one year and its relationship with climatic factor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hours of daylight, cloud cover, and pollen counts). Methods: A total of 106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two-stage cyclone sampler at five outdoor sampling locations (on top of 5 university buildings). The kinetic limulus amebocyte lysate assay was used to obtain $(1{\rightarrow}3)-{\beta}$-D-glucan levels. Results: Airborne $(1{\rightarrow}3)-{\beta}$-D-gluca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ring, particularly in April, and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1{\rightarrow}3)-{\beta}$-D-glucan levels (r=0.339, p<0.05). Conclusions: $(1{\rightarrow}3)-{\beta}$-D-glucan levels may be highest in the spring, and outdoor temperature may influence $(1{\rightarrow}3)-{\beta}$-D-glucan levels.

Factors Affecting Income from Public Agricultural Land Use: An Empirical Study from Vietnam

  • PHAM, Phuong Nam;TRAN, Thai Ye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6호
    • /
    • pp.1-9
    • /
    • 2022
  • The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actors and their influence on the income from using public agricultural land of households. Public agricultural land is agricultural land, including land for growing annual crops, perennial crops, and land for aquaculture, leased by commune-level People's Committees with a lease term of not more than 5 years. Secondary data were collected for the 2017-2021 period at state agencies. Primar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150 households renting public agricultural land. The regression model assumed that there were 28 factors belonging to 7 groups. The test results show that 25 factors affect income, and 03 factors do not. The group of COVID-19 pandemic factors has the strongest impact, followed by the groups of agricultural product market factors, land factors, capital factors, production cost factors, labor factors, and climatic factors. The impact rate of COVID-19 pandemic factors is the largest (23.00%); The impact rate of climatic factors is the smallest (6.04%). Proposals to increase income include good implementation of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increasing the land lease term; accurately forecasting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agricultural market; raising the level of the household head; ensuring sufficient production capital, and adapting to the climate.

산림 입지토양 환경요인에 의한 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의 적지추정 (Estimation of Forest Productive Area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ongolica Using Site Environmental Variables)

  • 이승우;원형규;신만용;손영모;이윤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29-434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site productivity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ongolica by four forest climatic zones. We used site environmental variables (28 geographical and pedological factors) and site index as a site productivity indicator from nation-wide 23,315 stand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ite index and major environmental variables, the best-fit multivaliate models were made by each species and forest climatic zone. Most of site index prediction models by species were regressed with seven to eight factors, including altitude, relief, soil depth, and soil moisture etc. For those models, three evaluation statistics such as mean difference,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 and standard error of difference were applied to the test data set for the validation of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tatistics, it was found that the models by climatic zones and species fitted well to the test data set with relatively low bias and variation. Also having above middle of site index range, total area of productive sites for the two Quercus spp. estimated by those models would be about 6% of total forest area. Northern temperate forest zone and central temperate forest zone had more productive area than southern temperate forest zone and warm temperate forest zon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regressive prediction with site environmental variables by climatic zones and species had enough estimation capability of forest site productivity.

기상요인이 콩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Climatic Influence on Seed Protein Content in Soybean(Glycine max))

  • 양무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9-54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how soybean seed protein concentration is influenced by climatic factors. Twelve lines selected for seed protein concentration were studied in 13 environments of North Carolina. Sensitivity of seed protein concentration, total seed protein, and seed yield to climatic variables was investigated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Best response models were determined using two stepwise selection methods, Maximum R-square and Stepwise Selection. There were wide climatic effects in seed protein concentration, total protein and seed yield. The highest protein concentration environ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most high temperature days(HTD) and the smallest variance of average daily temperature range (VADTRg), while the lowest protein concentration environment was distinguished by the fewest HTD and the largest VADTRg. For protein concentration, all lines responded positively to average maximum daily temperature(MxDT), HTD, and average daily temperature range(ADTRg) and negatively to ADRa, while they responded positively or negatively to average daily temperature(ADT), variance of average minimum daily temperature (VMnDT), and VADTRg, indicating that genotypes may greatly differ in degrees of sensitivity to each climatic variable. Eleven lines seemed to have best response models with 2 or 3 variables. Exceptionally, NC106 did not show a significant sensitivity to any climatic variable and thus did not have a best response model. This indicates that it may be considered phenotypically more stable. For total seed protein and seed yield, all the lines responded negatively to both ADTRg and VADRa, suggesting that synthesis of seed components may increase with less daily temperature range and less variation in daily rainfall.

  • PDF

기후인자가 Pinus densiflora의 연륜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Tree 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 이상태;박문섭;전향미;박진영;조현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7-186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의 지역별 연륜생장의 특성 및 기후권역 분류에 의한 온도 및 강수량이 임목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륜생태학적 측면에서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전국 28개 시군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 권역별 군집분석에 의하여 구분된 5개 기후권역은 거창, 보은, 봉화, 영주, 영동, 영월, 원주, 제천, 태백 등의 백두대간지방과 구미, 대구, 문경, 안동, 영천, 의성 등의 경북내륙지방, 금산, 남원, 임실, 장수 등의 호남내륙지방, 밀양, 산청, 진주, 합천 등의 경남내륙지방과 그리고 김해, 영덕, 울산, 울진, 포항 등의 동부해안지방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따른 각 지역별 소나무의 연륜생장과 월별평균 온도, 월별강수량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백두대간지방은 당해연도 3월, 경북내륙지방과 동부해안지방은 당해연도의 2~3월 그리고 호남내륙지방은 생장기 전년도 10월에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지방은 당해연도 4월, 경북내륙지방은 전년도 8월과 9월 그리고 당해연도 3월에서 정의 상관을, 호남내륙과 경남내륙지방에서는 생장기 당해연도 6월, 동부해안지역에서 6월과 9월의 강수가 정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배 '신고'의 연차간 과실 생장과 기상 요인과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Yearly Fruit Growth and Climatic Factors in 'Niitaka' Pear)

  • 한점화;손인창;최인명;김승희;조정건;윤석규;김호철;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8-13
    • /
    • 2013
  • 본 연구는 배 '신고'의 과실 생장에 대한 주요 기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2000년에서 2010년까지 평균 만개일은 4월 19일이었고, 편차는 4.2일이었다. 만개 후 160일째의 평균 과실 횡경은 102.4mm였고 편차는 7.5mm였다. 10년간 기상 요인 중 기온보다 강우량과 일조시수의 변이계수가 컸다. 만개 후 160일째의 과실 횡경은 만개 후 160일 동안의 기상 요인 중에서 누적 일조시수가 상관계수 $r=0.68^*$로 정의 상관을 보였다. 만개일의 조만과 만개 후 160일째의 과실 횡경 간에는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반된 과실 생장 경향을 보였던 2004년과 2009년은 지속적인 강우 시기의 존재와 그에 따른 일조시수의 차이에 의한 것이었다. 따라서 배 '신고'의 과실 생장은 기온보다는 누적일조시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환경, 재배방법 및 기상요인이 황색종 잎담배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Factors, Cultural Practices and Climatic Conditions on Some Chemical Components of Flue-cured Tobacco)

  • 정기택;김상범;조수헌;복진영;이종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2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 cultural practices and climatic conditions on some chemical constituents of flue-cured tobacco. Increasing the nicotine and total nitrogen contents may be useful to reduce the total sugar content of cured leaves in flue-cured tobacco. Delaying the transplanting date and increasing the soil nitrogen($N0_3-N$ and $N0_4-N$) content for 30 days after transplanting by fertilizing are desirable so as to increase the nicotine and total nitrogen contents of cured leaves. Those treatments will delay the ripeness, and elongate the duration of cultivation(day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and increase the fresh leaf weight. Moderate rainfall in April and May, lower relative humidity in June, and higher mean daily air temperature in June and July seem to be necessary for good leaf of flue-cured tobacco in Korea.

기후요인에 의한 제주도 토양분포 (Regional Soil Distribution in Jeju Island by Climatic Factors)

  • 문경환;임한철;현해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48-354
    • /
    • 2009
  •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요인과 토양분포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온, 강우량, 증발산량 등 기후요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중심지역의 Mesic상 지역과 주변부의 Thermic상 지역으로 구분하고, 월별 수분수지빈도를 기준으로 4개로 구분하여, 온도, 수분수지로 전체를 온대수분과 다지역(집단1), 난대수분과다지역(집단2), 난대수분균형지역(집단3), 난대수분부족지역(집단4), 난대수분매우부족지역(집단5)의 5개의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집단1에서 집단5로 갈수록 토양분류측면에서는 andisols, inceptisols, alfisols, ultisols의 분포 비중이, 토색측면에서는 흑색토양, 농암갈색토양, 암갈색토양의 분포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