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ic Change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3초

동절기 기후 요소와 수직면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발전량의 상관관계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nge Tendency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Electricity Generation of Building Integrated Photo Voltaic in Winter)

  • 박강현;김수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4권8호
    • /
    • pp.599-604
    • /
    • 2012
  • Most air pollution and smog are a result of the burning of fossil fuels. The use of fossil fuels also causes acid rain and global warming. So the need for solar energy utilization is increased. It is essentially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reduce usage of fossil energy resourc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ic elements(Cloud cover, Duration of sunshine, Temperature) and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loud cover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7. And duration of sunshin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3. The order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uration of sunshine, cloud cover, temperature. To accurately analyze of the degree of correlation for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dditional research about climatic elements that show a high correlation is needed.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변 외래식물인 털물참새피의 분포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 Waterfront Alien Plant,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 조강현;이승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206-215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른 침입외래식물의 잠재적 분포지를 예측하는 것은 하천과 저수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적 관리를 위하여 중요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의 잠재적 미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털물참새피는 담수생태계의 수변에서 심각한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침입 초본식물이다. 현재와 미래의 기후에서 털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Max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기후 자료로서 Worldclim 1.4의 19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고, 미래의 기후 자료로서 RCP 2.6와 RCP 8.5 시나리오에 따라서 HadGEM2- AO에 의하여 예측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다. 예측된 털물참새피의 현재 잠재분포지는 실제 위치 자료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식물의 잠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수는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 연평균기온 및 가장 추운 분기의 평균기온이었다. 2050년에 기후변화에 따른 털물참새피의 분포 예측에 의하면 이 식물의 현재 분포지에서는 기후 적합성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이 식물이 보다 내륙과 북쪽으로 분포지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예측 모델은 잠재적 분포를 이해하고 분포 변화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며 외래식물에 의한 생물적 침입의 위해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ppraisal of Building Energy Systems considering Environment Constraint Conditions

  • Park, Tong-So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37-44
    • /
    • 2001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sector effects with the appraisal of building energy systems of urban ecosystem considering cost effects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condition such as climatic change factors including $CO_2$ gas which are not dealt in the institutional boundary as components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energy performance of each part of a building applied on heavy energy spending buildings at present. The results of the appraisal of building energy systems shows that the existing building energy systems are not enough to fulfil the environmental condition under the environmental constraints supposing QELROs(Quantified Emission Limitation and Reduction Objectives) of carbon-dioxide exhaust. Henceforth, it is needed to fulfill the environmental criteria required by the Climatic Change Agreement for improving the adiabatic performance of each part of a building and active using of the solar energy.

  • PDF

2002년 8월의 집중호우와 저온현상 (Agricultural Implications of Rainfall Events and Low Temperature in August 2002)

  • 이양수;심교문;황규홍;고문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69-174
    • /
    • 2002
  • When the long - lasting stationary fronts were pushed northward by the Pacific Highs in late July, mostly clear skies with intermittent showers were a typical weather of August in Korea. However, torrential rains and flash floods are now a seasonal event of August in recent years. Some meteorologists suspect this unusual phenomenon might be connected with the global change and are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summer climatic pattern in Korea. August of year 2002 must be remembered to be one of the record breaking months with respect to the rainfall event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weather and crop data nationwide for August in 2002, and suggest a few countermeasures necessary to overcome the wet and cool summer impacts on agricultural sector.

도시기후 평가와 방재를 위한 도시기상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Urban Climate Assessment and Hazard)

  • 오성남
    • 한국방재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40-47
    • /
    • 2002
  • Sin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io-climatic change in Seoul for ecological city planning in the future,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n bio-climate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s at Seoul. We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in recent years using the observations of 24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n urbanization, Seoul metropolitan area is densely populated and is concentrated with high buildings. This urban activity changes land covering, which modifies the local circulation of radiation, heat and moisture, precipitation and creating a specific climate. Urban climate is evidently manifested in the phenomena of the increase of the air temperature, called urban heat Island and in addition urban sqall line of heavy rain. Since a city has its different land cover and street structure, these form their own climate character such as climate comfort zone. The thermal fold in urban area such as the heat island is produced by the change of land use and the air pollution that provide the bio-climate change of urban eco-system. The urban wind flow is the most important climate element on dispersion of air pollution, thermal effects and heavy shower. Numerical modeling indicates that the bio-climatic transition of wind wake in urban area and the dispersion of the air pollution by the simulations of the wind variation depend on the urban land cover change. The winds are separately simulated on small and micro-scale at Seoul with two kinds of kinetic model, Witrak and MUKLIMO.

  • PDF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제주도 확률강우량 산정 (Estimation of Design Rainfall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in Jeju Island)

  • 이준호;양성기;정우열;양원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3-391
    • /
    • 2015
  • As occurrence of gradually increasing extreme temperature events in Jeju Island, a hybrid downscaling technique that simultaneously applies by dynamical method and statistical method has implemented on design rainfall in order to reduce flood damages from severe storms and typhoons.As a result of computation, Case 1 shows a strong tendency to excessively compute rainfall, which is continuously increasing. While Case 2 showed similar trend as Case 1, low design rainfall has computed by rainfall in A1B scenario. Based on the design rainfall computation method mainly used in Preventive Disaster System through Pre-disaster Effect Examination System and Basic Plan for River of Jeju Island which are considering climatic change for selecting 50-year and 100-year frequencies. Case 3 selecting for Jeju rain gage station and Case 1 for Seogwipo rain gage station. The results were different for each rain gage station because of difference in rainfal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cent climatic change, and the risk of currently known design rainfall can be increased in near future.

고해상도(1km) SSP-RCP시나리오 기반 한반도의 벼 기후생산력지수 변화 전망 (Climatic Yield Potential Changes Under Climate Change over Korean Peninsula Using 1-km High Resolution SSP-RCP Scenarios)

  • 조세라;김용석;허지나;이준리;김응섭;심교문;강민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4-30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1km 고해상도 앙상블 신기후변화 시나리오(공통사회 경제경로 시나리오)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남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의 벼 기후생산성(CYP)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자료에서 제공하는 제한적인 변수를 활용하기 위해 일조시간을 대신하여 일사량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 기후에 비해 온난화된 미래 기후조건에서 CYPmax 값은 감소하고 최적출수일은 점차 늦춰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고도가 높은 한반도 북동부의 산악 지역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특히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SSP585시나리오 일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배출 시나리오의 이점을 보여주는 동시에 온실 가스 배출을 제한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한편, CYPmax의 시계열에서 넓은 폭의 앙상블 스프레드가 나타났는데, 이는 단일모형 혹은 작은 수의 모형을 선택하였을 때 미래 변화 분석에 내재된 불확실성을 보여주며 앙상블 예측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장기간의 기온 및 일사 조건의 변화에 따른 기후학적 벼 생산성 변화 및 불확실성에 대한 분석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초정보로써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 기후 절기별 기온 변화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Temperature Changes of Climatic Solar Terms and Their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 진미정;박선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3-36
    • /
    • 2015
  • 본 연구는 계절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후 절기의 기온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실제 기상 현상과의 부합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국 61개 관측소 자료를 통한 분석 결과, 관측지점 평균 기온이 증가할수록 연중 기온변화 파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극서기중심이 7월 21일에서 8월 5일, 즉 절기적으로 입추 쪽으로 이동하였다. 주요 기후 절기인 대서, 상강, 대설, 대한을 중심으로 살펴 본 절기부합도는 전체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지역적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부분 관측소에서 각 절기에 해당하는 기상 현상은 현저히 늦게 나타났는데, 각 절기일 기준 1주 이내로 관측된 경우는 전체의 7.7~40.4%에 머물렀다. 대서, 상강, 대설의 절기부합도는 동서 방향으로 차이를 보였고, 절기부합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난 대한에는 동서 간의 차이보다는 남북 방향의 위도 조건이 절기부합도 변화 패턴에 영향을 주었다. 절기별 기온변화 경향과 속도가 지역적으로 균일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개별 절기의 배열과 각 절기 간 시간 간격에 대한 조정을 고려함으로써 24절기의 현실적 유용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최근 60년간 도시 및 농촌 지역의 국지적 기후변화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Impact of Regional Anthropogenic Climatic Change in Urban and Rural Areas in South Korea (1955-2016))

  • 윤동현;남원호;홍은미;김태곤;허창회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3호
    • /
    • pp.37-50
    • /
    • 2018
  •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for both urban and rural areas can be attributed to multiple factors. Two factors affecting these characteristics include: 1) greenhouse gases related to global warming, and 2) urban heat island (UHI) effects caused by changes in surface land use and energy balances related to rapid urbanization. Because of the unique hydrological and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cities compared with rural and forested areas, distinguishing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urbanization is important. In this study, we analyzed anthropogenic climatic changes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Weather elements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the last 60 years (1955-2016) are compared in urban areas (Seoul, Incheon, Pohang, Daegu, Jeonju, Ulsan, Gwangju, Busan) and rural/forested areas (Gangneung, Chupungnyeong, Mokpo, and Yeosu).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se areas reveal the effects of urbanization and global warm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analyze and forecast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in other urban and non-urban areas.

ANALYSIS OF FLOW RESPONSE CHANCE ON A DAM CATCHMENT DUE TO GLOBAL WARMING

  • Shin, Sha-Chul;Koh, Deuk-Koo
    • 물과 미래
    • /
    • 제35권5호
    • /
    • pp.31-4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온난화에 의한 하천유역의 수문응답(강우유출, 특히 일단위의 유황)의 변화양상을 수치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따른 온난화의 진행으로 야기되는 수문학적 평가는 많은 관측자료를 필요로 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장래의 기후를 예측하는 수단으로서 적정한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평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상정할 수 있는 시나리오 중 기온은 $0^{\circ}C$에서 $4.0^{\circ}C$까지 변화하며 강수량은 15%까지 증감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불확실성이 큰 지구온난화의 문제에 대하여 간단하면서 명확한 가정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대상유역인 안동댐 유역에 대한 장래의 하천유량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야기되는 강수량을 발생시켜 탱크모형에 의하여 일 유량을 모의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30년을 이산화탄소 농도가 배증되는 시점 ($2{\times}CO2$), 2010년, 2020년 및 2050년을 각각 ($1.5{\times}CO2$),($1.75{\times}CO2$) 및 ($2.5{\times}CO2$)로 설정하였으며, 이 시기에 대한 하천 유황의 해석 및 온난화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와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