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LOW RESPONSE CHANCE ON A DAM CATCHMENT DUE TO GLOBAL WARMING

  • Shin, Sha-Chul (Department of Civil & Environ.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oh, Deuk-Koo (Water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This study describes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on river flow response due to global warming. Forecasts of changes in climatic conditions are required to estimate the hydrologic effects of increasing trace gas concentratrions in the atmosphere. However, reliable forecasts of regional climate change are unavailable. In there absense various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scenarios of furture climatic conditions are used. The approach in this study is to prescribe climatic changes for a river basin in a simplified manner. As a rule, such scenarios apecify air temperature increases from $0^{\circ}C$ to $4.0^{\circ}C$ and precipitation chang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range of 0% to 15%. On the basis of acceptable supposition of warming scenarios, furute daily stream flow is simulated using rainfall-runoff model in the Andong Dam basin. The numerical experiments have quantitatively revealed the change of discharge at 2010, 2020, 2030 and 1050 for each warming scenarios and compared it with the results for a non-worming scenario.

본 연구에서는 온난화에 의한 하천유역의 수문응답(강우유출, 특히 일단위의 유황)의 변화양상을 수치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따른 온난화의 진행으로 야기되는 수문학적 평가는 많은 관측자료를 필요로 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장래의 기후를 예측하는 수단으로서 적정한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평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상정할 수 있는 시나리오 중 기온은 $0^{\circ}C$에서 $4.0^{\circ}C$까지 변화하며 강수량은 15%까지 증감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불확실성이 큰 지구온난화의 문제에 대하여 간단하면서 명확한 가정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대상유역인 안동댐 유역에 대한 장래의 하천유량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야기되는 강수량을 발생시켜 탱크모형에 의하여 일 유량을 모의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30년을 이산화탄소 농도가 배증되는 시점 ($2{\times}CO2$), 2010년, 2020년 및 2050년을 각각 ($1.5{\times}CO2$),($1.75{\times}CO2$) 및 ($2.5{\times}CO2$)로 설정하였으며, 이 시기에 대한 하천 유황의 해석 및 온난화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와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