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ic

검색결과 1,603건 처리시간 0.028초

남한의 연 누적 온습도 지수에 따른 생리기후유형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Bioclimatic Types According to Annual Cumulative Temperature-Humidity Index in South Korea)

  • 강철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2-32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인간 생활에 기본이 되는 온도, 상대습도를 기초로 하여 인간의 온열감을 측정하여 남한의 온열감 분포의 특성과 기후유형을 파악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 검사를 통하여 온습도 지수 공식을 이용, 월별 온열감, 연 누적 온열감 지수를 계산하였다. 월별 온열감 지수 분석 결과 온열감의 지역적 차이는 위도 및 고도, 지형적 요인, 기단체계에 따른 영향으로 나타났다. 연 누적 온열감 지수분포는 대체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해안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기후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원인으로 겨울의 추위 스트레스와 여름의 더위 스트레스가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연 생리 기후유형은 쾌적함(M)기후유형, 극히 무더움(ES)유형, 쾌적함-극히 무더움(M-ES)유형, 쾌적함-무더움(M-S)유형, 더움-극히 무더움(W-ES)유형, 서늘함-극히 무더움(C-ES)유형, 서늘함-쾌적함(C-M)유형, 서늘함-쾌적함-극히 무더움(C-M-ES)유형으로 도합 8개의 기후유형으로 구분된다.

도시 기후 변화가 도시하천의 부착규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in an Urban Stream in Busan: Effected of Urban Climatic Conditions)

  • 이유정;김경선;조정구
    • 환경생물
    • /
    • 제35권2호
    • /
    • pp.143-151
    • /
    • 2017
  • 본 연구는 부산시의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온천천에서 가뭄 및 집중호우 등 환경적 교란이 수질 및 부착규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2014년 2년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긴 갈수기였던 2013년 4분기~2014년 1분기와 2014년 3분기에 강한 집중 호우 사이에 급격한 하천 수질 변화를 보였다. 부착규조류는 비교적 짧은 유하거리에 비해 도심화 정도에 따라 상류에서 하류까지 뚜렷하게 군집 구조 변화를 보였으나 긴 가뭄기간 동안 감소된 유량은 종조성에 영향을 주어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에서 Gomphonema clevei이 우점종으로 바뀌고 Gomphonema 속 등 주요 분포 종으로 조사되었다. 갈수기 이후 강한 강우로 부착규조류의 종조성보다 생물량이 급격하게 감소되었고 이는 국지적 기후 변화로 수생태계 구조와 기능에 많은 영향이 생김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후 변화에 의한 도시기후의 이상현상과 도시하천의 수질 및 부착규조류의 분포 특성 연구는 도시하천 생태계 특성과 변화 연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국지적인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도시하천의 유지관리 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내장산 지역 굴거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요소와의 관계 (Growth of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Climatic Factors at Mt. Naejang, Korea)

  • 구경아;박원규;공우석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1
    • /
    • 2000
  • 굴거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굴거리나무의 분포상 북방한계선 지역인 내장산에서 연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륜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연자봉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18그루의 굴거리나무에서 생장편을 각 2개씩 채취하였다. 굴거리나무의 연륜을 분석한 결과 마스터 연대기의 연대 구간은 1915년부터 생장편의 채취시기인 1998년으로 작성되었으며, 생장이 매우 저조했던 시기는 1920년, 1932년, 1934년, 1937년, 1942번, 1946년, 1964년, 1969년, 1985년으로 나타났다. 반응 함수를 이용하여 연륜 지수와 기후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8월 및 9월 강수량과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거리나무의 생장이 8월 및 9월 강수량과 음의 관계를 갖는 것은 이 시기에 강수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적어지고 적은 일사량은 광합성량을 감소시켜 굴거리나무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위성자료(NOAA, Topex/Poseidon)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의 기후적 특성 (On Climatic Characteristics in the East Asian Seas by satellite data(NOAA, Topex/Poseidon))

  • 윤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23-429
    • /
    • 2001
  • Satellite data, with sea surface temperature(557) by NOAA and sea level(SL) by Topex/poseidon, are used to estimate characteristics on the variations and correlations of 557 and SL in the East Asian Seas from January 1993 through May 1998. We found that there are two climatic characteristics in the East Asian seas the oceanic climate, the eastern sea of Japan, and the continental climate, the eastern sea of China, respectively. In the oceanic climate, the variations of SL have the high values in the main current of Kuroshio and the variations of 557 have not the remarkable seasonal variations because of the continuos compensation of warm current by Kuroshio. In the continental climate, SL has high variations in the estuaries(the Yellow River, the Yangtze River) with the mixing the fresh water and the saline water in the coasts of continent and 557 has highly the seasonal variations due to the climatic effect of continents. In the steric variations of summer, the eastern sea of Japan, the East China Sea and the western sod of Korea is increased the sea level about 10~20cm. But the Bohai bay in China have relatively the high values about 20~30cm due to the continental climate. generally the trends of SST and SL increased during all periods. That is say, the slopes of 557 and SL Is presented 0.29$^{\circ}C$/year and 0.84cm/year, respectively. The annual and semi-annual amplitudes have a remarkable variations in the western sea of Korea and the eastern sea of Japan. In the case of the annual peaks, there appeared mainly In the western sea of Korea and the eastern sea of .Japan because of the remarkable variations of SL associated with Kuroshio. But in the case of the semi-annual peaks, there appeared in the eastern sea of Japan by the influence of current, and in the western sea of Korea by the influence of seasonal temperature, respectively. From our results, it should be believed that 557 and SL gradually Increase in the East Asian seas concerning to the global warming. So that, it should be requested 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gainst In the change of the abnormal climate.

  • PDF

한반도의 기후적 요인에 따른 한국 전통 특수의상연구 - 조선시대 기층민 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in Accordance with Climatic Factors of the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 홍보라;간호섭
    • 복식
    • /
    • 제66권3호
    • /
    • pp.107-120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functions in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in accordance with the climatic factor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udy focused on clothes worn by common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Climate change has been a major global issue in recent times, and it has been a hot topic in social, cultural, scientific, economic, and industrial communitie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and finding ways to cope with unusual temperatures. This thesis studies the development of special costumes in preparation for unusual climates, and requirements of the costume in accordance with the climatic factor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Its biggest significance lies in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research data on special costume studies, and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which have been fairly insufficient up to this point. After the Little Ice Age, the Joseon Dynasty period faced poor external environment due to unusual temperatures. The results of studying the costumes of the commoners are as follows: The climate of the Korean peninsula display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eason, so the form, material, and appearance of the seasonal clothing items showed clear differences, and the difference in the crops cultivated according to the climate led to difference in material and material preference shown in the costumes. This meant that costumes differed based on region. In addition, difference in social hierarchy, regulations on costume according to class, and farming oriented social background during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slowed the development of costumes of commoners, but appear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pecial costumes. We anticipate more succeeding studies on costumes of the commoners and special costumes in the future. We hope more costumes that can wisely respond to the approaching changes in temperature i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designed via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special costumes.

농작물의 기상재해와 대책 (Past and Present Meteorological Stress in Crop Production and Its Significance)

  • 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1-295
    • /
    • 1982
  • The biosphere of the earth is not only about to overpass the limit to meet the food demand of the world but also the stability of its food production has been also jeopardized by the disasters and pests, especially by the unpredictable weather disasters. In addition the agricultural and industrial pollution against biosphere aggravates the unst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onstitutes a threat in securing the food of the world. In Korea the yield level of crops has been greatly enhanced by the improved agrotechnologies and varietal improvement, but the yield variability due to unfavorable weather events and pests remained unchanged with the change in time. Among weather-related disasters the drought and flood damages has occurred most frequently and impacted most greatly o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ts stability. During last decade (1970-l980) the rice production experienced the average annual loss of 0.544 million metric ton which was composed of 0.21 million M/T by climatic disaster, 0.21 million M/T by disease and 0.12 million M/T by insects, and the annual loss of upland crop production from climatic disasters amounted to 0.06 million metric tons. Especially in 1980, the global climatic disasters due to cold or hot temperature endangered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ll over the world and also the rice production of Korea recorded the unprecedented yield reduction of about 30 percent due to cool summer weather. Nowadays, the unusual weather conditions are prevaling throughout the world, and agro-meteologists predict that the unpredictable cool summer and drought will often attack the rice and other crops in 1980's. To meet the coming weather unstability and to secure the stable crop production, multilateral efforts should be rendered. Therefore, the Korea Society of Crop Science, which commemorate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founding, prepared the symposium on Meteological Stress in Crop Production and its Countermeasures to discuss the de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on due to weather-related disasters and to devise the multilateral counter-measures against the unfavorable weather events.

  • PDF

뽕나무의 온실재배에서 신초 생육 특성과 기상 요인 (Shoot Growth Characteristics and Climatic Factors in Greenhouse Cultivation of Mulberry)

  • 김호철;권태오;배종향;김태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4-78
    • /
    • 2012
  • 본 연구는 전북 부안에서 재배되고 있는 뽕나무를 대상으로 온실 재배를 통하여 조기 수확 및 안정적 수확량 확보가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신초 생육 특성과 이에 관계하는 기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발아 및 착색 시기는 온실의 뽕나무에서 노지에 비해 18~19일 정도 빨랐고, 발아시에서 착색시까지의 일수는 39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아 후 39일 동안 온실에서 뽕나무의 신초 길이, 신초당 착과수는 노지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마디수는 적었다. 생육 기간 동안 온실 내부의 주별 광량은 노지에 비해 0.3~0.8배 범위 수준이었고, 총 누적량은 절반수준으로 아주 적었다. 그러나 온실에서 주별 누적온도는 노지와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후반기로 가며 다소 상승하는 경향이었으며, 총 누적량도 노지에 1.1배로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다. 생육 기간 동안 상대습도는 온실에서 53~94.5%로 노지에 비해 대부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뽕나무는 광의 영향을 적게 받고 안정적인 수량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어 온실 재배 작목으로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