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e-Map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9초

SPOT/VEGETATION NDVI 자료를 이용한 동북아시아의 생태기후지도 (Ecoclimatic Map over North-East Asia Using SPOT/VEGETATION 10-day Synthesis Data)

  • 박윤영;한경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6-96
    • /
    • 2006
  • 새로운 개념과 알고리즘으로 완성된 지표 변수 데이터베이스인 Ecoclimap-1이 전 지구 영역에 대해 1km의 해상도로 제공 된 바 있다. 이것은 기상과 기후의 모델에서 토양과 식물과 대기 사이의 이동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고안 되었으며, Ecoclimap-1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지표변수 자료들은 토지피복지도와 기후지도를 중첩하여 얻어진 생태기후 지도를 기본 주제도로 사용하여 각 클래스에 대한 값(per-class)로 제공된다. 생태기후지도의 제작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토지피복분류가 나타내지 못하는 동질 피복 내 생장 주기의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중첩하여 얻은 주제를 사용하더라도 역시 같은 class내부의 식생 생장 주기의 변동성은 여전히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법으로, SPOT/VEGETATION S10 NDVI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지도와 기후지도의 단순 중첩이 아닌 동일 토지피복 클래스 내의 sub-clustering을 통하여 보다 동질의 하위 집단으로 분류한다. 본 연구는 Ecoclimap-2 project의 전 지구 데이터 베이스 구축의 일환으로 동북 아시아 지역의 생태기후지도 제작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토지피복지도는 University of Maryland Global Land Cover Database를 사용하였고 기후지도는 각 토지피복 클래스의 sub-clustering시 초기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1999년부터 2004년 총 6년 동안의 NDVI 10-day 자료를 이용하였고 한 UMD토지피복 class내에 존재하는 모든 화소의 시 공간 긴밀도를 분석하여 비슷한 NDVI 정보를 가지는 화소들을 통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북아시아를 총 29개의 ecosystem으로 정의 하였다. 이러한 ecosystem map은 앞으로의 기후 모델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본 주제도로 유용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생태계모델, 기상모델의 중요한 input 자료로서 쓰여 질 것으로 사료 된다.

건축물 외장재 열화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자외선 발생량 추정 및 기후 맵 작성 (Assumption and Climate-Map Drawing of Ultra Violet Rays Influencing to the Deterioration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s)

  • 이정재
    • KIEAE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9-26
    • /
    • 2006
  • Recently, building requirements have been saturated and residents are demanding a variety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s faced with roofs, walls, windows and doors. On the other hand, when building exterior materials are exposed with ultra violet rays during some periods, these will be influenced deterioration effects like discolorations, exfoliations and cracks and will be needed exchange of materials. In this study, main 17-provinces of Korea were collated climate data and counted the computation results with an assumption formula for calculating ultra violet rays amounts. Lastly, ultra violet rays map of Korea was made by the counted data and was considered tendencies. Accordingly, in the phase of design the designer can select the appropriate exterior materials which have durabilities and resistances of ultra violet rays. So hereafter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study to sustain building exterior materials with ultra violet rays damages. Below is the summary of Korean ultra violet rays tendency. 1. Ultra violet rays during 1 year is from about $180MJ/m^2$ to about $210MJ/m^2$. 2. Southern province ultra violet rays is higher than northern province. 3. Annually counted rays is higher and higher.

環境因子의 空間分析을 통한 南韓지역의 山林植生帶 구분/지리정보시스템(GIS)에 의한 접근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Zone over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Lee, Kyu-Sung;Byong-Chun Lee;Joon Hwan Sh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65-476
    • /
    • 1996
  • There are several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may be influential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To create a map of forest vegetation zone over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digital map layers were produced for each of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include topography, geographic locations, and climate. In addition, an extensive set of field survey data was collected at relatively undisturbed forests and they were introduced into the GIS database with exact coordinates of survey sites. Preliminary statistical analysis on the survey data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previously defined five forest vegetation zones. Classification of the six layers of digital map representing environmental variables was carried out by a supervised classifier using the training statistics from field survey data and by a clustering algorithm. Although the maps from two classifiers were somewhat different due to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applied, they showed overall patterns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forest zones. considering the spatial contents of many ecological studies, GI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tool to manage and analyze spatial data. This study discusses more about the generation of digital map and the analysis procedure rather than the outcome map of forest vegetation zone.

  • PDF

식생 군집구조 안정성 평가항목 보완을 통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by Complement of the Vegetation Community Stability Item)

  • 전성우;송원경;이명진;강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4-123
    • /
    • 2010
  •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is a five grade assessment map created with nationally integra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values. The map is made through the evaluation of 67 items, including greenbelt area and bio-diversity. The ECVAM assesses the stability of the community using forest maps. However, the existing assessment method is problematic because the assessment grades are evaluated using higher than practical values; in part because it uses even-valued overlay and minimal indicator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suggest an integrated assessment method that could complement the stability evaluation based on existing methods. Accordingly, this study added forest typ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forest was natural or artificial, to the overlay method using forest diameter maps and forest density maps. As a result, the proposed ECVAM indicated a drastic grade change. After applying the method in South Korea, Grade I areas decreased 12.1%, from 52.6% to 40.6%, Grade II areas increased 11.9%, from 17.4% to 29.2%, and Grade III areas increased 0.2%, from 17.1% to 17.4%,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we found differences between natural forest and planted forest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mortality, species of shrubs, and vine cover. This means that natural forests are more stable than planted forests.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d assessment methodology to complement the existing EVCAM metho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environmental evaluations and forest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s in ecology and environmental fields.

드론 기반의 재배관리 지도 제작 및 활용방안 - 봄배추를 대상으로 -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ultivation Management Map Using Drone - Focused on Spring Chinese Cabbage -)

  • 나상일;이윤호;류재현;이동호;신형섭;김서준;조재일;박종화;안호용;소규호;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37-648
    • /
    • 2021
  • 영농계획 수립 지원을 위해서는 대상작물의 작황 변화에 대한 선제적 평가 및 정밀한 정보 제공이 중요하다. 따라서 드론을 이용한 과학적이고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영농단계별 의사결정에 필요한 맞춤형 정보 제공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지채소에 대한 영농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배관리 지도의 각각의 정보들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포장출현 지도, 스트레스 평가 지도 및 생산성 평가 지도와 같이 세가지 종류로 제작되었으며, 3차원 기반의 객체단위로 정보가 제공되어 포장내 공간적 변이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배관리 지도는 결주 지점 파악, 보식 여부 판단, 시비, 제초 및 방제, 관수시설 위치, 기간 및 조건 설정, 상품성 평가, 우선 수확지점 선정, 수확시기, 소요시간 및 비용 산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Impact of Urban Green Spaces on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Using a Temperature Map

  • Myeong, Soo-Jeo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5-680
    • /
    • 2010
  • Temperature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climate change, and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highly developed urban areas is an important issue that we need to deal with.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 of the cooling effects of urban green spaces. The study used a surface temperature map of Seoul. It found that the cooling effects of green space was observed within limited distances, although it varied a little depending on the parks investigated. The cooling effect distance ranged from 240m to 360m, averaging about 300m. It also found the size of an urban green space does not make much difference in cooling the surrounding areas. Although further investigation with diverse urban areas should be conducted on this matter, the results did imply that many small green spaces in the neighborhood are more effective than a single big green space in mitigating the heat island effects of cities.

수문기상 관측정보를 활용한 안동댐 유역 기후권역 구분 및 분석 (Analyzing Climate Zones Using Hydro-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in Andong Dam Watershed, South Korea)

  • 김세진;임철희;임윤진;문주연;송철호;이우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69-282
    • /
    • 2016
  • Watershed area can be submerged due to constructions and management of dams, and these change can impact not only on ecosystem and environment of river basin area but also on local climate.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struct and classify climate zones of Andong Dam watershed where the area is submer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dam. By apply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and Getis-Ord $Gi^*$ statistics, three climate zones were classified for the result. Each zone was then analyzed and validated with climatic and geological features including topography, land cover, and forest type ma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temperature, elevation, precipitation and tree species distribution among the zones. Also, an analysis of land cover map showed that there were more agricultural land near Andong Reservoir. This study on the climatic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to be useful as the basis for decision-making or policy enforcement regarding ecosystem, environmental management or climate change response.

한반도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취약성 지수 산정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Studies on Vulnerability Indicator for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over South Korea)

  • 김철희;김은화;송창근;홍유덕;유정아;홍성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89-798
    • /
    • 2011
  • Climate change assessment, together with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cess, would be one of the worldwide important issues, and the stud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icator has been an essential proble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Vulnerability indicator can be used as a good tool to estim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to map out the distribution of its vulnerability over the given area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is study addressed the conceptual summary on the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and its adaptation process. Previous studies on how to yield the vulnerability indicators of climate change are reviewed and several previous results of vulnerability indicators applied to Korean provinces are also discussed here.

기후변화가 신갈나무의 적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imate Changes on the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for Quercus mongolica in Korea)

  • 이영근;성주한;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05-612
    • /
    • 2014
  • 본 논문은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연도별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사용하여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신갈나무의 생태권역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4~6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6~0.49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추정식은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생태권역별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신갈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변화를 2020년부터 2100년까지 10년 단위로 추정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갈나무의 적지면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극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RCP 8.5를 적용할 경우 RCP 4.5에 비해 적지의 감소 폭이 훨씬 더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적지적수와 관련된 산림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분포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Changes of Yearly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 고성윤;성주한;천정화;이영근;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2-82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사용하여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5~7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2~0.46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추정식은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변화를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