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e Policy Model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6초

Estimation of unused forest biomass potential resource amount in Korea

  • Sangho Yun;Sung-Min Choi;Joon-Woo Lee;Sung-Min Park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317-330
    • /
    • 2022
  • Recently, the policy regarding climate change in Korea and overseas has been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forest biomass to achieve net zero emissions. In addi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unused forest biomass system in 2018, the size of the Korean market for manufacturing wood pellets and wood chips using unused forest biomass is rapidly expan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total amount of unused forest biomass that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and to identify the capacity that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annually.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actual forest area that can be produced of logging residue and the potential amount of unused forest biomass resources based on GT (green ton). Using a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1 : 25,000), 5th digital forest type map (1 : 25,000), and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he forest area with a slope of 30° or less and mountain ridges of 70% or less was estimated based on production forest and IV age class or more. The total forest area where unused forest biomass can be produced was estimated to be 1,453,047 ha. Based on GT, the total amount of unused forest biomass potential resources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117,741,436 tons. By forest type, coniferous forests were estimated to be 48,513,580 tons (41.2%), broad-leaved forests 27,419,391 tons (23.3%), and mixed forests 41,808,465 tons (35.5%). Data from this research analysi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stimate commercial use of unused forest biomass.

특허정보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술 동향 분석 및 기술융합기회 발굴 (Exploring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and Discovering Technology Convergence Opportunities in the Digital Twin using Patent Information)

  • 유경영;송지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471-481
    • /
    • 2023
  • Digital twin is considered as a key technology of industry 4.0, thus being essential for the future of industrial production. Despite the significance, a systematic analysis of its technological landscape is lack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trends and newly emerging technological convergence opportunities in the domain of digital twin by exploiting patent information derived from U SPTO. For this purpose, this study visualized and predicted the convergence dynamics among patent classification codes by adopting 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and link prediction approach. The findings show that the number of digital twin-related patent application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8. The CPC code G06F showed the highest eigenvector centrality, while G05B was characterized by highest betweenness centrality. According to the predictive model, 41 novel links were revealed, acting as potential technology convergence opportunities. These links were then categorized into 11 different domains. The most dominant category was "digital data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ould play a foundational role in the diffusion of digital twin technology. The presence of digital twin technology is dominant in manufacturing, but its applications are expected to expand, including "climate change", "healthcare" and "aerospace engineering". The derived insights can support R&D managers and policy makers in formulating R&D strategies and directing future R&D investment decisions.

A Study on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 Jiyoon YANG;Myungsun YANG;Yeonjung HAN;Myungkil KIM;Won Joung HW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555-568
    • /
    • 2023
  •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were establish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prepare a diffusion plan of wood culture and wood utiliz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Standardization of wood culture', 'Valuation of wood culture', and 'Habituation of wood culture' were set as three major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priorities were evaluat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 order: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for each age group for rational and efficient use of eco-friendly wood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wood education standard guidelines linked to the curriculum', 'Preparation of scientific basis data on human compatibility and eco-friendliness of woo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wood and wood products', and 'Establishment of monitoring and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designation as a model school'. Throug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an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in public attitudes through publicity, and expanding opportunities to use wood and wood products were necessary for wood culture diff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rive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and establish a roadmap and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to revitalize wood culture.

임상도 특성에 따른 임목축적 및 탄소저장량 추정: 강원도를 중심으로 (Estimation of Growing Stock and Carbon Stock based on Components of Forest Type Map: The case of Kangwon Province)

  • 김소원;손영모;김은숙;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46-452
    • /
    • 2014
  • 본 연구는 임상도 상의 특성인 영급, 경급 및 수관밀도를 이용하여 임목의 축적 및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가산림조사(강원도 중심)를 바탕으로 한 임목축적 자료를 임상도 제작 당시의 축적으로 전환하였으며, 이 자료와 임상도 특성과의 관계를 수량화I방법을 통하여 임목축적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임상도 특성이 임목축적 추정에 기여하는 바를 알 수 있는 제곱 편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영급이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었으며, 다음이 수관밀도, 임상, 경급의 순이었다. 임목축적 추정치 중 최소치는 활엽수림의 영급 II, 경급 '소', 수관밀도 '소'인 분류기준에서 ha당 $20.0m^3$이고, 최대치는 침엽수림의 영급 VI,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ha당 305.0이었다. 임상별로 침엽수림은 ha당 $30.5{\sim}305.0m^3$, 활엽수림은 ha당 $20.0{\sim}200.4m^3$, 혼효림은 ha당 $23.8{\sim}238.1m^3$로 추정되었다. 임상별 탄소저장량을 비교해 보면, 임상에 무관하게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임목축적에 따른 영급별 탄소저장량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임상도 특성을 이용한 임목축적 추정은 산지 전용 또는 산지 재해에 의한 임목축적의 감소 및 탄소저장량 변화를 충분히 추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일선 산림관계자 또는 정책입안자의 산림경영 의사결정에도 유효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미래 시나리오 기후조건하에서의 사과 '후지' 품종 재배적지 탐색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 김수옥;정유란;김승희;최인명;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2-173
    • /
    • 2009
  •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 재배적지의 이동에 관한 정보는 농업분야 적응전략의 기초이기 때문에 연구자들뿐 아니라 정책결정자들도 큰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재배적지의 개념을 분석차원에서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일이 어렵기 때문에 아직 실용적인 적지판정법이 개발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시나리오 기후조건에서 사과 '후지'의 재배적지를 조사하기 위해 GIS 기반의 탐색기법을 이용하여 전자기후도, 토양전자지도, 수치지형정보, 농업기후 및 작물품질 예측모형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 체계적인 적지판정기법을 구현하였다. '후지'를 대상으로 한 적지판정 1차기준은 지표피복, 경사도, 토성이며, 2차 기준은 월동기간 중 동해위험도, 늦서리 피해위험도, 생육가능기간 등 기후조건, 3차기준은 과피의 색택, 과형지수 등 품질조건이다. 이들 조건을 지리정보시스템의 속성 레이어로 구현하고 중첩분석을 통해 재배적지를 검색하였다. 이 방법을 현재평년(1971-2000년)과 A1B 시나리오의 미래평년(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 기후에 적용하여 남한 전역을 대상으로 재배적지를 검색한 결과 현재평년의 경우 전국의 6.5%가 후지 재배적지에 해당하였고 2011-2040년 평년기후에는 전국의 약 1.8%, 2041-2070년 평년에는 0.3%, 2071-2100년 평년에는 전국의 0.1%까지 감소하여 전국규모에서 재배적지의 한계선 북상추세를 감지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개별 주산지 내에서도 적지이동 양상을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국내 과수작물 재배지 변화에 대한 GIS 예측 모형 연구 -여섯 가지 열대 및 아열대 과수를 중심으로- (A Study of GIS Prediction Model of Domestic Fruit Cultivation Location Changes by the Global Warming -Six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 곽태식;기정훈;김영은;전해민;김시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93-106
    • /
    • 2008
  • 농업은 기상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분야로서 지구온난화는 농업의 생산성, 생산여건, 그리고 품질 및 재배적지 등에 미칠 영향이 매우 클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지구 온난화에 따른 국내 과수작물 재배지의 입지분석을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에 확대도입이 가능한 레몬, 무화과, 키위, 오렌지, 석류, 한라봉을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의 기술적 측면에서 기온에 대한 Interpolate 기능과 경사도에 대한 surface analysis 기능, 그리고 raster Calculator를 이용하였다. 기온의 상승에 따라 각 과수들은 재배지역이 현재는 제주도와 남부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나, 평균기온이나 최저기온이 3도, 4.5도 상승함에 따라 두 가지의 형태 즉, 중부지역으로 확산되거나 띠모양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우리는 지구온난화라는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고 더 나아가 농촌의 농가 소득향상과 국민에게 다양한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기후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농민들의 합리적인 대응이 시급하게 필요함을 주장하지 않을 수 없다.

  • PDF

고속도로 구간의 온실가스 On-Line 모니터링 산정방법 (Evaluation Methodology of Greenhouse Gas On-Line Monitoring on Freeway)

  • 이숭봉;장현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2-104
    • /
    • 2017
  • 기존의 도로교통의 속도관리 목표는 이동성 및 안전성 개선을 목표로 운영되어 왔으며, 환경적 측면과 에너지 효율 측면에 대한 고려는 미미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외부적 여건변화에 따라 환경가치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교통부문에서의 탄소배출량 저감정책은 개인교통수단에서 대중교통으로 의 전환 및 친환경자동차 개발에만 집중되어있어 상대적으로 도로운영의 개선을 통한 저감 노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향후 우리나라의 자동차 보유대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적응전략 및 대비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이동성 중심의 도로운영 정책에서 환경측면을 고려한 정책으로, 도로운영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교통운영 측면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현재 도로상에서 어느 정도 온실가스가 배출되는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교통자료를 이용하여 5분 후의 상태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전략적 니치관리(SNM)를 활용한 정부 신재생 R&D 성장과정 분석 (A Study on the Growth Proccess and Strategic Niche Management of New Energy Technology: A Case Study with Government Supporting Photovoltaic R&D Project)

  • 김봉균;문선우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2호
    • /
    • pp.161-187
    • /
    • 2012
  • 상대적으로 비싼 에너지비용이 소요되는 신재생에너지를 사업화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진보가 필수적이다. 신재생에너지 기술은 타 기술에 비해 충분한 실증-보급의 검증과정을 거치는 Long term High Risk의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전략적 니치 관리(SNM, Strategic Niche Management) 개념을 적용하여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R&D를 단기 성과지향에서 중장기적 성장으로, 에너지시스템의 효율화 중심에서 사회시스템과의 상호교류 중심으로 전환하는 정책실행적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층적 관점(MLP, Multi-Level Perspective)을 분석틀로 하여 태양광 기술개발과제가 니치단계에서 사업화 단계로 성장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박막실리콘과 CIGS의 급속한 발전의 배경에는 개발주체가 과거 메모리 반도체의 NAND와 NOR 간 경쟁에서 사전적 학습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니치기술 중 경쟁기술이 존재할수록 학습효과는 더욱 배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업계를 중심으로 학계와 출연연구소가 공동연구를 추진할 때 사업화로 진행되는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정부 연구개발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과제기획 단계에서 지원대상 발굴시 기존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 산업군에서 얻을 수 있는 경험(실패 또는 성공), Network 형성 단계 등의 지식흐름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본 연구가 구성한 전략적 니치 관리(Strategic Niche Management)의 개념틀은 메타적 차원이며 향후, 실증을 위한 검증과 추가적 정합성 분석으로 구체화 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methane emissions from local and crossbreed beef cattle in Daklak province of Vietnam

  • Ramirez-Restrepo, Carlos Alberto;Van Tien, Dung;Le Duc, Ngoan;Herrero, Mario;Le Dinh, Phung;Van, Dung Dinh;Le Thi Hoa, Sen;Chi, Cuong Vu;Solano-Patino, Cesar;Lerner, Amy M.;Searchinger, Timothy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1054-106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effects of cattle breed resources and alternative mixed-feeding practices on meat productivity and emission intensities from household farming systems (HFS) in Daklak Province, Vietnam. Methods: Records from Local $Yellow{\time}Red$ Sindhi (Bos indicus; Lai Sind) and 1/2 Limousin, 1/2 Drought Master, and 1/2 Red Angus cattle during the growth (0 to 21 months) and fattening (22 to 25 months) periods were used to better understand variations on meat productivity and enteric methane emissions.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the ruminant model. Four scenarios were developed: (HFS1) grazing from birth to slaughter on native grasses for approximately 10 h plus 1.5 kg dry matter/d (0.8% live weight [LW]) of a mixture of guinea grass (19%), cassava (43%) powder, cotton (23%) seed, and rice (15%) straw; (HFS2) growth period fed with elephant grass (1% of LW) plus supplementation (1.5% of LW) of rice bran (36%), maize (33%), and cassava (31%) meals; and HFS3 and HFS4 computed elephant grass, but concentrate supplementation reaching 2% and 1% of LW, respectively. Results: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HFS1, emissions ($72.3{\pm}0.96kg\;CH_4/animal/life$; least squares $means{\pm}standard$ error of the mean) were 15%, 6%, and 23% lower (p<0.01) for the HFS2, HFS3, and HFS4, respectively. The predicted methane efficiencies ($CO_2eq$) per kg of LW at slaughter ($4.3{\pm}0.15$), carcass weight ($8.8{\pm}0.25kg$) and kg of edible protein ($44.1{\pm}1.29$) were also lower (p<0.05) in the HFS4. In particular, irrespective of the HSF, feed supply and ratio changes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emission intensities when crossbred 1/2 Red Angus cattle were fed than in their crossbred counterparts. Conclusion: Modest improvements on feeding practices and integrated modelling frameworks may offer potential trade-off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Vietnam.

전주지역의 바람길 특성 분석 및 활용 방안 (Analysi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Ventilation Corridor Characteristics in Jeon-ju Area)

  • 엄정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6-374
    • /
    • 2019
  • 본 연구는 폭염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계획요소인 바람길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해보고자, 전주시를 대상으로 바람길의 특성을 분석하고, 바람길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호남정맥에 위치하는 전주지역 일대의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 층 높이 등 찬공기 특성을 분석하였고, 전주시의 주요한 바람길을 특정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주시 일대의 산림관리 및 도시계획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이용하여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주시 외곽 북동쪽 및 동쪽에 위치한 산림에서 생성된 찬공기의 흐름이 뚜렷해지고, 계곡지역과 농경지 일대에서 찬공기층의 높이가 증가하였다. 특히, 전주시의 찬공기 흐름은 북동쪽과 동쪽에서 생성된 찬공기가 전주시 중심 시가지로 유입되어 남쪽으로 흘러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상적인 바람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찬공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산림지역 일대를 '찬공기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원활한 찬공기 흐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찬공기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찬공기 흐름을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주시의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바람길숲 조성 사업 등 폭염과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