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GIS Prediction Model of Domestic Fruit Cultivation Location Changes by the Global Warming -Six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지구온난화에 따른 국내 과수작물 재배지 변화에 대한 GIS 예측 모형 연구 -여섯 가지 열대 및 아열대 과수를 중심으로-

  • 곽태식 (한동대학교 GLS학부) ;
  • 기정훈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
  • 김영은 (한동대학교 공간시스템공학부) ;
  • 전해민 (한동대학교 공간시스템공학부) ;
  • 김시진 (한동대학교 공간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For agriculture is very highly dependent on climate and weather condistions, global warming seems to have a great impact on it, including its productivity, cultivation condition, product quality, and optimum cultivation location. In this study, we adopte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Korea's cultivation area which are caused by global warming, especially with the examples of such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as lemon, fig, kiwi, orange, pomegranate, and mandarin. In terms of GIS techniques, we utilized the interpolate function for temperature changes, surface analysis function for slope, and raster calculator. Currently, these fruits's cultivation areas are in Jeju island and southern part of Korea. But these areas will be expanded according as our GIS model assumes $3^{\circ}C$ and $4.5^{\circ}$ increases of average and lowest temperature by the global warming in Korea. Optimum cultivation areas of these six fruits have two patterns; one is expansion and the other is belt shape shift.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all for an urgent need of Korea government's policy and farmers' reasonable responses about global warming, which will be able to give more opportunities and better foods to Korea society in general.

농업은 기상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분야로서 지구온난화는 농업의 생산성, 생산여건, 그리고 품질 및 재배적지 등에 미칠 영향이 매우 클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지구 온난화에 따른 국내 과수작물 재배지의 입지분석을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에 확대도입이 가능한 레몬, 무화과, 키위, 오렌지, 석류, 한라봉을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의 기술적 측면에서 기온에 대한 Interpolate 기능과 경사도에 대한 surface analysis 기능, 그리고 raster Calculator를 이용하였다. 기온의 상승에 따라 각 과수들은 재배지역이 현재는 제주도와 남부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나, 평균기온이나 최저기온이 3도, 4.5도 상승함에 따라 두 가지의 형태 즉, 중부지역으로 확산되거나 띠모양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우리는 지구온난화라는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고 더 나아가 농촌의 농가 소득향상과 국민에게 다양한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기후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농민들의 합리적인 대응이 시급하게 필요함을 주장하지 않을 수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