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vicle fractur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17초

Acute Displaced Fracture of Lateral Acromion after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A Case Report and Surgical Technique

  • Cho, Chul-Hyun;Jung, Jae-Won;Lim, Young-Jae;Na, Sang-Soo;Kim, Du-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2호
    • /
    • pp.106-109
    • /
    • 2019
  • Acromial fractures are well-documented complications subsequent to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RSA), and most appear as stress fractures with no history of single trauma. To date, no study has reported the occurrence of acute displaced acromial fracture due to sudden strong deltoid contraction during heavy work. Displacement of the fracture results in a challenging surgery since it is difficult to obtain adequate fixation in thin and osteoporotic bones. We report a rare case of acute displaced acromial fracture after successful RSA treatment, using a novel technique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pplying two 4.5 mm cannulated screws and lateral clavicle precontoured plate.

쇄골 외측단 Rockwood 제2형 골절의 치료 (Treatment for the Rockwood type Ⅱ Fractures of Lateral End of Clavicle)

  • 오창욱;경희수;박건욱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1호
    • /
    • pp.66-71
    • /
    • 1998
  • The fractures of lateral end of clavicle can be treated by conservative or operative treatment, but many authors report the higher rate of non-union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nd that the operative treatment is more effective for the type II fractures. The authors reviewed and analysed 15 cases of lateral end fracture of clavicle which had been treated at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1 to 199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15 patients, male was 6,female 9 and the average age was 46.2 years ranged from 21 to 72 years. 2.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Rockwood, type II a was 8 cases and II b was 7 cases. 3. We treated operatively 12 cases, 9 cases with tension band wiring and 3 cases with intramedul-Iary K-wire fixation. And we treated conservatively 3 cases with Velpeau cast, but I case of nonunion was treated with tension band wiring. 4. The average follow-up was 3.2 years ranged from 2.1 to 4.7 years. 5. The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Weitzman's classification. 6. In the operatively treated cases, there were 4 cases(30.7%) in excellent, 7 cases(53.8%) in good and 2 cases(15.3%) in fair result. But, in the conservatively treated cases, there were 2 cases in good and I case in poor result, and the poor case did not united and ha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7. In conclusion, the operative treatment revealed good functional results in most cases (10/12) and earl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as better method than conservative treatment.

  • PDF

3.5 mm T형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 결과 (3.5 mm T-shaped LCP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for Unstable Distal Clavicular Fractures)

  • 이철우;김희천;노재영;박영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41-45
    • /
    • 2008
  • 목적: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에 대하여 3.5 mm T형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06년6월까지 3.5 mm T형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Neer 2형 원위 쇄골 골절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남자가 6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5.7세($32{\sim}62$)였다. 동반 손상은 다발성 골절이 1예가 있었으며, 비수술적 치료의 실패로 불유합이 발생하여 자가골 이식술을 동반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예가 2예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8개월($12{\sim}22$)이었으며, 골유합은 단순 방사선검사 소견으로 판정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UCLA점수와 관절 운동 범위 등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골유합은 평균 9주($6{\sim}12$주)에 얻을 수 있었으며, 최종 추시 시 UCLA 점수는 평균 33.4점($30{\sim}35$)으로 전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고, 관절 운동 범위도 전예에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나사못의 이완소견이 관찰 되었고, 1예에서 견봉-쇄골 관절의 경도의 아탈구가 발생하였으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 불안정성 원위 쇄골 골절에 사용한 3.5 mm T형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은 견봉 쇄골 관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었고, 분쇄의 정도가 아주 심하지 않은 원위쇄골 골절의 치료 시 고려 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로 사료된다.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의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 - 예비 보고 -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Endobutton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 Preliminary Report -)

  • 조철현;정구희;신홍관;이영국;박진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11
  • 목적: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을 시행하고 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오구 쇄골 인대 손상이 동반된 Neer 제 2형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로 TightRope$^{(R)}$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연속적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오구 쇄골 간격 측정 및 골유합을 판단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ASES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8예 (88.9%)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9 (9~16)주였다. 술 후 및 최종 추시 평균 오구 쇄골 간격은 5.6 mm, 6.2 mm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정복의 소실은 없었다 (p>0.05). ASES 점수는 평균 90.3 (78~96)점으로 우수 6예, 양호 2예, 보통 1예였으며, 8예 (88.9%)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초기 정복 소실로 인하여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보통의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그 외 고정물의 파손 및 감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TightRope$^{(R)}$ 고정술은 고정물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위 골편의 고정이 어려운 골절에서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위 쇄골 골절 2a 형에서의 경피적 환상 강선 고정술 -1례 보고- (Percutaneus Cerclage Wiring in Distal Clavicle Fracture Type 2a - One Case Report -)

  • 김재화;이순철;조덕연;윤형구;이윤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124-129
    • /
    • 2006
  • Distal clavicular fracture frequently requires operative treatment due to high rate of non-union. The operative technique includes the tension band wiring, K- wire fixation, and cerclage wiring etc. Each method has disadvantages somewhat like pin migration or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and so on. For the distal clavicular fracture type 2a, because of its oblique fracture line, the cerclage wiring is suitable. We performed the cerclage wiring percutaneously under minimal incision without injury to periosteum for the patient who had the distal clavicular fracture type 2a, and the result was favorable.

쇄골 간부 골절의 보존적 치료 분석 (The Analysis of Conservative Treatment in Midshaft Fractures of Clavicle)

  • 차승도;정수태;김용훈;박상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27-33
    • /
    • 2010
  • 목적: 대부분 쇄골 골절은 보존적 치료하는데 골 유합에는 여러 요인들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쇄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골 유합과 골 유합 후 기능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좀 더 빠르고 명확한 치료법의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관찰이 가능했던 쇄골 골절 환자 총 523예에서 보존적 치료를 통해 골 유합을 얻은 270예에 대해 수상 직후부터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연령, 골절 위치, 분쇄 및 분리 정도와 쇄골 길이 단축 등 골 유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과 골 유합 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결과: 쇄골 간부 골절을 보존적으로 치료한 결과, 골절의 분리 정도가 증가할수록 골 유합 기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나이는 골 유합 기간이 13세 이상에서 12세 이하보다 2배 정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쇄 정도는 골절부의 분쇄가 없는 경우가 분쇄가 있는 경우보다 2배 정도 골 유합이 빨리 이루어졌다. 그리고 추시 중 골절편의 전위는 2주 이내에 주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결론: 쇄골 간부 골절 치료시 나이가 13세 이상이고 분쇄가 있는 경우는 수상 기전과 전위 정도를 고려하여 골 유합 기간을 예상할 수 있고 골 유합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재활 치료의 시기를 늦추는 것이 필요하며 보존적 치료 중 2주 이내에는 전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극적인 관찰을 하고 전위가 증가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Late-onset Brachial Artery Occlusion caused by Subclavian Artery Stenosis after Clavicular Fracture: A Case Report

  • 조철현;송광순;민병우;배기채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8년도 제16차 학술대회
    • /
    • pp.175-175
    • /
    • 2008
  • We report a rare case of late-onset brachial artery occlusion caused by subclavian artery stenosis with excessive scar tissue after open reduction and plate fixation for clavicular fracture. When he referred to us, the right hand were pale and the radial and ulnar pulses at the wrist were absent. CT-angiogram showed compression of subclavian artery by excessive scar tissue beneath the fracture site and angiography revealed stenosis of subclavian artery with thrombus and complete obstruction of blood flow in the brachial artery with emboli. Therefore, we performed embolectomy. 2 years after operation, patient was essentially asymptomatic except mild pain after long standing elevation of arm. We recommend that minimal soft tissue dissection should be needed in the operative treatment of clavicular fracture, especially soft tissue beneath the clavicle should be protected maximally.

  • PDF

폐좌상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Lung Contusion)

  • 오중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0호
    • /
    • pp.833-837
    • /
    • 1994
  • Lung contusion due to blunt chest trauma is the most common lung injury and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course and prognosis. Its diagnosis by CT[Computerized Tomogram] gives a more clear and understandable three dimensional view, by which we are able to measure the volume of the contused and entire lung. Other variables are arterial blood gas, number of rib fracture, presence of hemopneumothorax, sternal fracture and clavicle fracture, number of associated non-thoracic injuries, ventilator time and presence of pulmonary complication. Percentage[%] of lung contusion are expressed as mean $\pm$ standard deviation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ns of multivariat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between positive thoracic injury group and negative group. The paired t-test was used. Differences of percentage of lung contusion between groups were assess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im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in the number of rib fracture and ventilator time. A p 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neumothorax and the number of associated other injuries affect the amount of lung contusion and pulmonary complication group has more contused lung volume. Arterial blood gas study shows no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lung contusion statistically. The number of rib fracture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ung contusion, which also correlated with ventilator time[r=0.56, p<0.05]. In conclusion, quantitative anlysis of lung contusion by CT predicts the clinical course and treatment such as ventilator care.

  • PDF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경견봉 강선 고정술과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의 비교 (Surgical Treatment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Comparison of Transacromial Pin Fixation and Hook Plate Fixation)

  • 김영성;이호민;장한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23-129
    • /
    • 2013
  • 서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 대하여 변형된 경견봉 강선 고정술과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Neer 분류 제 2형 골절에 대하여 경견봉 강선 고정술 혹은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견봉 강선 고정술(group I)을 시행한 경우가 12명,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group II)을 시행한 경우가 12명이었다. 정복 및 골유합의 평가는 수술 직후 및 최종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최종 추시 시의 UCLA score 및 Constant-Murley scor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뒤 group I은 평균 10주, group II는 평균 11.7주에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 추시 시의 평균 UCLA score는 group I은 33점, group II는 32.8점이었으며, 평균 Constant score는 group I은 88.5점, group II는 88.8점으로 두 기능적 평가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Neer 분류 제 2형 원위 쇄골 골절에서 경견봉 강선 고정술과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모두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우측 쇄골 및 늑골골절과 동반된 폐경식 1례 (Pulmonary Infarction Associated with Fracture of Right Clavicle and Multiple Ribs)

  • 김수성;이종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941-944
    • /
    • 1997
  • 폐경색은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폐암, 폐출혈, 울혈성 무기폐, 단순괴사와 감별이 힘든 질환으로 흉부외상과 관련되어 보고된 예는 없다. 환자는 45세 남자로 약 3주전 흉부외상에 의한 우측의 다발성 늑골골절과 쇄골골절로 치료를 받아오 다가 증상이 점점 악화되어 본원에 전원된 후 우상엽 절제술을 받았으며, 조직검사 결과 폐경 색으로 진 단되었다. 전원 당시 흉부의 컴퓨터 단층활영상 우상엽에 거대한 종괴음영이 있었고, 양측 폐야에 5개 정도의 작 은 결절상 음영이 있었으나 폐 생검에서 암세포는 발견되지 않았고, 우상엽 절제술 당시 대부분의 작은 결절들은 자연 소실되어 있었다 절제된 우상엽에서 육안적으로 인지되는 혈전은 보이지 않았고, 조직검사상 주로 폐동맥의 분지인 0.6 ∼2.0 mm 정도의 근형 동맥들이 혈전에 의해 폐쇄되어 있었으며 일부는 더 진행하여 기질화를 보이거나 혈류의 재소통이 이루어진 곳도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