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room Culture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교육위기" 담론의 의미와 주체구성 방식 연구: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chanism for discoursive constitution of meaning and subject appeared in "Educational crisis" by Korea mass media)

  • 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3권
    • /
    • pp.7-5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으로 한국언론에 나타난 교육위기담론의 의미구성방식과 주체 구성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진보-보수 언론이 갖는 대립적 입장과 이데올로기적 특성들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셀 페쇠의 담론이론에서 제시된 언어체계의 선택과 조합방식들-선구성과 절합 메커니즘-,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주체구성 방식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실제 사례분석에 들어가고자 한다. 사례분석의 대상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고, 두 신문의 진보와 보수라는 상징적 적대성을 근거로 선정했다. 이와 함께 "교실붕괴"나 "학교붕괴" 등의 교육위기 담론을 현장진술, 원인과 책임규명 그리고 사후대책의 범주 속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영어 교실의 문학 텍스트 -영어교육의 통합적 접근 (Literary Texts in the English Classroom: An Integrated Approach to English Instruction)

  • 강규한
    • 영어영문학
    • /
    • 제55권1호
    • /
    • pp.107-128
    • /
    • 2009
  • Literature had been at center-stage in the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focused English classrooms up to the mid-twentieth century. As the Audiolingual Method and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have gained popularity in the English classrooms, however, literature has receded into the background of English education. The main reasons for using literary texts in the English classrooms for communication-focused English instruction need to be examined. First of all, students can come in touch with the subtle and varied uses of language through literature-based teaching. They also feel close to certain characters in the literary work and share the emotional reponses with them. They get personally involved in the plot of the story. Universal human experience and cultural enrichment are two other merits which can be conferred on students by literary texts. Such linguistic and literary experiences can be significantly integrated into the literature-based instruction. More significantly, the four language skill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can be combined with one another and integrated into a literature-focused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The value of literary texts in the English classrooms can be clearly demonstrated by effective ways of using such texts as Charlotte's Web for integrated instruction. The full array of benefits that literature can bring to English instruction, however, has yet to be fully realized. These potentials need to be materialized into classroom practice.

제 2언어, 문화 및 윤리 교육 자료로서의 영화 음악 활용: 라이온 킹 OST를 중심으로 (Using Film Music for Second Language, Target Culture, and Ethics Education: With Reference to the OST of The Lion King)

  • 김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09-51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2언어와 목표 문화, 그리고 윤리 교육을 위한 학습 자료로서 영화 음악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그것의 효율적인 활용도를 고찰하는 것이다. 몇몇 교수자들은 언어 교실에서 음악이나 노래가 단지 부차적인 학습 자료라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음악은 시대에 따라 그 나라의 언어뿐만 아니라 사상과 문화 및 다양한 관념을 반영하기 때문에 훌륭한 학습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를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디즈니의 유명한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The Lion King) 음악을 선정하여 이를 활용한 구체적인 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영화 음악 중 선정된 5곡은 , , , , 이다. 먼저 언어 학습 중 듣기 말하기 활동, 어휘와 문장 구조 및 문법 학습 활동, 쓰기 활동을 위해 빈칸 채우기 과업, 노래 따라 부르고 녹음하기 과업,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가사 직접 써보기 등의 다양한 과업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문화 학습을 위해 목표어의 특정 문화에 대한 토론하고 자각하기 활동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윤리 학습을 위해 주제곡들을 활용해서 자연의 섭리와 인생철학, 지도자의 자질과 조건, 그리고 행복을 즐기는 인생관 등에 대해 탐구하였다. 문화와 윤리 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자각도에 대해 개방형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음악은 문화와 윤리적 가치를 자각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화 음악은 제 2언어와 목표 문화 그리고 윤리 교육을 위한 매우 효율적인 학습 자료가 될 수 있다.

식당 비디오 테이핑 및 직무 의사소통 그림판 제작활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staurant Video Taping and Job Communication Drawing Board Production Activities on Cooking Job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영준;김화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9-29
    • /
    • 2022
  • 본 연구는 식당 비디오 테이핑 및 직무 의사소통 그림판 제작활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조리직무기술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에 재학 중인 세 명의 지적장애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환경은 식당 내 주방과 특수학교 내 교실로 구성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에 따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 기법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들이 식당 사업체의 주방의 환경적 시설과 도구 및 재료, 직원들의 조리직무에 대한 수행 장면을 비디오 테이핑한 후 교실의 장면에서 테이핑한 자료를 직무 의사소통 그림판으로 제작하는 연계 절차로 적용되었다. 종속변인으로 구성된 조리직무기술은 연구 참여자들이 식당의 주방에서 김밥을 직접 조리하는 수행으로 정의된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조리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유지,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자기 서사 글쓰기의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s of Self-Narrative Writing for University Students)

  • 김현주;양영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357-366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자기 서사 글쓰기 수업의 교재와 관련 논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자신을 인식하고 표현하여 소통하는 학습인 자기 서사 글쓰기 교과는 입시 위주의 교육을 거쳐 대학생이 되었을 때 더욱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 연구 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서사 글쓰기가 포함된 3개 대학의 교재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 성찰이 온전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과 과정 내에 포함된 부분적인 수업 진행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목표에 집중하여 장기간 이루어질 수 있는 교재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자기 서사 글쓰기 수업에 대한 기존의 논의와 실제 사례를 통해 자기 서사 글쓰기의 교육 방안을 분석하였다. 자기 서사 글쓰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면밀한 자기 성찰과 이를 글쓰기로 연결하기 위한 단계별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글쓰기 과정 동안 다양한 첨삭과 피드백 활동이 거시적이고 단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교수자와 학생뿐 아니라 학생과 학생 간의 소통과 피드백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자기 서사 글쓰기의 보완점과 교육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자기 서사 글쓰기의 수업 모델을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A Review of Articles (2006-2017))

  • 윤갑정;손환희
    • 문화예술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81-10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유아', '적응', '생활'로 검색된 학술논문들 중 다문화교육, 언어발달, 아동과 부모대상 논문을 제외한 최종 41편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적응개념과 접근법을 분석기준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연구는 2010년 이후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구 주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양상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의 개념과 접근법은 적응의 개념이 언급되지 않은 연구가 많았으며, 적응의 내용은 또래관계, 친사회성, 규칙과 일과 적응 등의 사회문화적 차원의 적응이 심리적 차원의 적응보다 많았다. 또한 유아기 기관생활적응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관점이 문화적응 관점보다 많았으며, 성장과 학습중심의 관점보다 문제 중심의 접근 연구가 많았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 국내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관련 연구가 보다 다양한 주제와 방법으로 이루어지되, 문화적응의 관점에서 이들의 정체성과 정서 등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더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을 개인적 발달과 구조적인 적응을 넘어 구성원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급공동체 형성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Exploration of Socio-Cultural Factors Affecting Korean Adolescents' Motivation)

  • 봉미미;김혜연;신지연;이수현;이화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319-348
    • /
    • 2008
  • 학업성취와 관련된 청소년의 인지, 정서 및 행동 유형을 설명하는 대표적 학습동기 구인에는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과제가치, 귀인 등이 있다. 이들 구인은 학습자의 연령, 성별, 소속국가 및 인종의 차이를 뛰어넘는 설명력과 예측력을 보임으로써 그 중요도와 일반성을 입증받고 있다.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 역시 이러한 일반적 양상과 큰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한국 고유의 사회, 문화, 심리적 환경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그들만의 독특한 학습동기 유형이 나타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회문화적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요인으로는 상호의존적 자아이해, 효의 전통윤리 및 가족주의, 그리고 배움에 대한 가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요인으로는 교육열과 학력주의, 그리고 제도적 요인으로는 대학입시제도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나아가 이들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며,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심리적 학습환경 요인으로서 부모-자녀 관계, 교사-학생 관계 및 교실목표구조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주요 학습동기 구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 PDF

홈페이지를 활용한 학교 토론문화 활성화 방안 (Application of School Discussion Atmosphere Using Homepage)

  • 손봉숙;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9-129
    • /
    • 2001
  • 지금 학교 현장의 모습은 그 동안 관료적이고 권위적인 풍토아래 정착된 학교문화로 인해 학교붕괴, 교실붕괴라는 심각한 사태에 직면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학교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학교에 대한 바람과 요구를 적극 수렴하여 구성원 개개인의 의견이 최대한 존중받는 가운데 자유롭고 열린 토론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건전하고 다양한 생각들을 밖으로 끌어 낼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인 학교토론방(SDR)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상 토론을 통해 구성원들의 자유 의사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불건전한 메시지 차단 DB를 SDR 시스템과 연동하여 올바른 용어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교육주체들의 참여 기회의 확대, 개방적이고 활동적인 참여, 집단 목적 달성을 위한 태도 변화, 건전한 토론 문화 형성의 측면에서 학교토론문화 정착에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천시 초등학교의 급식운영 및 관리와 영양교육실태 (A Study on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Inchon)

  • 천종희;최은옥;홍성야;우경자;김영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7-429
    • /
    • 1999
  • The status of general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was investigated in 11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on Metropolitan Area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ost schools served 5 lunches per week. Meal cost per capita was 1212.1 won in urban type school and 979.0 won in rural type school. Most schools(91.9%) had 1 regular dietitian and 1 regular cook. With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the number of temporary employees increased significantly. Most school dietitians(86.5%) were in their twenties and had 2 year careers. 2. Most dietitians(90.1%) planned the menu based on the RDA with the first consideration in nutritional needs of the students. Many dietitians(81.8%) surveyed on the food preferences of the students at least once a year. About 86% of the schools had the food service committee which was helpful. Dietitians were the first one in charge of food purchasing and checking, and sometimes a manager in general school affairs worked together. One third of the schools used the volunteer parents in food services. 3. Most school dietitians(97.2%) gave the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using handouts once a week. However, they could not teach the students through the classroom lecture because they are not the regular teachers. Food garbages were removed by the professional trash collecting company or by using fermentation machines or by giving them to animals as feeds. School events concerning the food and nutrition were mostly drawing pictures and composition. Only 36.4% of the school dietitians had experienced in nutrition counseling for an individual student. Most of them(99.1%) thought that individual counseling is necessary if they have enough time and chances to do.

  • PDF

Effects on the Use of Two Textbooks for Four Types of Classes in a South Korean University

  • Ramos, Ian Done D.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24-32
    • /
    • 2013
  • This paper determined students' ranks of difficulty on the use of materials in terms of 1) understanding the layout of the learning materials, 2)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3) realization on relevance to needs of the learning materials. It also determined students' 4) rank and frequency of attitude on the materials. With the data gathered through 128 survey questionnaires, 7 focused group discussions, and 10 interviews, the results were found out that there was an inappropriate assessment procedure set by this particular university. The researcher concludes that: 1) design of four types of classes by just using the two textbooks with their respective workbooks is grammar-based with limited conversation activities; 2) placement for these students in one big class size was implemented without considering their common interest and motivation and language levels; and, 3) qualification of teachers teaching these EFL students did not support students' real needs and the language program itself. Content professors who were made to teach may have the ability to input learning, but their teaching styles may differ from the ones who are real English teachers. This paper then recommends that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ion should have an appropriate placement exam before students attend the class, especially in a big class size. There could only be a few problems among students in one big class size when students' level of competence is proportioned. With this, topics and conversation activities can even be more flexible with the maneuver of art of questioning, various dimensions of thinking, strategic competence, learning attitude or behavior, etc. to ensure sustenance of communicative mode and level of interest and motivation in the classroom. Grammar-based instruction can only be taught when a need arises. Thus, the course description of each class will be able to transact the objectives ready for develop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Moreover, proper measurement can be utilized to validly assess the amount of students' learning and the progress of language curriculum design in terms of materials selection and teaching approa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