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A Review of Articles (2006-2017)

  • 윤갑정 (대구한의대학교) ;
  • 손환희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SSK))
  • Yoon, Gab-Jung (Daegu Haany University) ;
  • Son, Hwan-He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Research Center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8.05.15
  • 심사 : 2018.06.30
  • 발행 : 2018.06.30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유아', '적응', '생활'로 검색된 학술논문들 중 다문화교육, 언어발달, 아동과 부모대상 논문을 제외한 최종 41편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적응개념과 접근법을 분석기준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연구는 2010년 이후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구 주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양상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의 개념과 접근법은 적응의 개념이 언급되지 않은 연구가 많았으며, 적응의 내용은 또래관계, 친사회성, 규칙과 일과 적응 등의 사회문화적 차원의 적응이 심리적 차원의 적응보다 많았다. 또한 유아기 기관생활적응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관점이 문화적응 관점보다 많았으며, 성장과 학습중심의 관점보다 문제 중심의 접근 연구가 많았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 국내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관련 연구가 보다 다양한 주제와 방법으로 이루어지되, 문화적응의 관점에서 이들의 정체성과 정서 등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더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을 개인적 발달과 구조적인 적응을 넘어 구성원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급공동체 형성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for researchers around research topics and cultural adaptation orientation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 literatures with key words of'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aptation', and'life'through paper search system. This study was analysed the research themes, methods, subjects, and perspectives of cultural adaptation in adaptation research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006-2017 from peer reviewed journals with analysis frameworks. The results showed that : (a)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 continues to be about adaptation condition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 among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has most frequently used in, followed by qualitative methods, mixed methods, and literature review; (c) cultural adaptation was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al-cultural adaptation, developmental importance of adaptation in early childhood and problems-based research. It implicated that further researches are need to focused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formation of classroom community beyond personal and structural adaptation in preschools.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2017S1A3A2067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