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ied Records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3초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쇼핑몰에서 전략적 마케팅을 위한 고객세분화 알고리즘 향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to Upgrade Algorithm by Classification of Customers for Strategic Marketing Using Data-mining on Online Shopping Malls)

  • 임정홍;김제석;김장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95-49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마케팅을 위한 지능형 인터넷 쇼핑몰을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해 고객들의 접속 기록과 상품 구매 기록 및 신상정보를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고객을 세분화하여, 고객이 상품에 대한 인기도에 따라 상품 진열을 자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 향상에 관한 연구이다. 본 시스템을 통하여 쇼핑몰 관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쇼핑몰 관리 업무를 자동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최근에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 기법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규조기반 전이함수를 활용한 Holocene 중기 이후 고창군 신덕리 일대의 정량적 해수면 변동 (Quantitative Reconstruction of Sea Level Change Using Diatom-Based Transfer Function at Sinduk-ri, Gochang-Gun Since the Middle Holocene)

  • 김정윤;윤순옥;양동윤;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25
    • /
    • 2017
  • This study is quantitative reconstruction of palaeo sea level records around Sinduk-ri, Gochang-Gun. 7 cores were collected from GC14 to GC18 in order to examine the entire sedimentary facies and reconstruct the sea level records. The cores were analysed by AMS, sedimentary facies, diatom and WA-pls. As a result of the diatom analysis, diatom zone were classified as No diatom zone, B1 zone, M zone and B2 zone. The result of WA-pls was that the sea level was about 1.5m lower than the present level around 6,000 BP and about 1m lower during last 5,000 BP. Thereafter, sea level rose to the present during the Mc sub-diatom zone period. Moreover, during the Md sub-diatom zone period, sea level was about 0.5m higher than the present.

소양인의 매선시술과 시술 후 증상에 대한 체질침 치험 1 례 (A case of constitutional acupuncture treatment for symptoms after embedding therapy in Soyangin patient)

  • 조나영;신미란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9-56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constitutional acupuncture treatment in soyangin who received embedding therapy for wrinkle improvement.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reviewing medical records was conducted. The patient was classified as a Soyangin by a specialist based on K-PRISM, personality, appearance, voice and usual symptoms. Records on the degree of wrinkles, postoperative symptoms, and patient satisfaction were reviewed. Results The patient's wrinkles were improved after the embedding therapy. After therapy symptoms were fever, flushing, and burning sensation. After acupuncture, these symptoms were reduced. Patient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constitutional acupuncture treatment. Conclusion As a result of embedding treatment in Soyangin patients, there was an effect of wrinkle improvement. As a result of constitutional acupuncture treatment, anxiety and stress were reduced before the procedure, and symptoms of heat, burning, and flushing were reduced after the procedure.

한국불교 동발(銅鈸)전래와 바라무 전개 (The Introduction of Dongbal(銅鈸) to Korean 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Baramu(cymbals dance))

  • 한정미(해사)
    • 공연문화연구
    • /
    • 제43호
    • /
    • pp.441-483
    • /
    • 2021
  • 동발[바라]의 유입과정은 인도를 거쳐 중국을 통해 전승된 불교와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인도와 중국불교 속의 동발의 기록을 추적하고, 특히 경전에 수록된 동발과 한국불교 의식문에 수록된 동발의 기능과 활용방법, 전개된 바라무의 성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발이 기록된 경전 중 번역시기가 가장 이른 경전은 『묘법연화경』(406년)이며, 경전에 수록된 바라는 대부분 동발(銅鈸)이라 표기되었고, 의식 진행 시 법구(法具)로 사용되었거나, 기악공양물, 장엄물(莊嚴物)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 동발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일본 『서대사자재류기장』(780년)이며, 현재 보존된 유물 중 동발류의 악기가 등장한 최고(最古)시기는 통일신라 초기로, 682년 조성된 감은사 사리함이다. 이 유물로 보아 늦어도 7세기경 사찰에서 동발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청규와 의식문에 수록된 동발(銅鈸)의 기록은 명발(鳴鈸)과 동발(動鈸)로 구분된다. 명발의 '명(鳴)'은 소리를 내는 것으로, 바라를 부딪쳐서 울려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명발은 정립(定立)된 규칙이나 방법이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발(動鈸)은 움직임, 동작을 뜻하므로 바라무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바라를 울려 소리를 내었던 명발의 개념에 동작이 덧붙여져 동발(動鈸)이 되고, 현재 전승되고 있는 바라무로 발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불교의례에서 전승되고 있는 바라무는 7종이 있으며, 그 성격에 따라 정화의식(淨化儀式), 소청의식(召請儀式), 옹호의식(擁護儀式), 권공의식(勸供儀式), 관욕의식(灌浴儀式), 화의의식(化衣儀式), 기경의식(起經儀式), 찬탄의식(讚歎儀式)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ISAD(G)에서 RiC-CM으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Transition of Archival Description from ISAD(G) to Record in Context Conceptual Model)

  • 박지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3-11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ICA EGAD의 RiC-CM 초안을 분석하고 ISAD(G)의 기술요소와 맵핑하였으며, RiC-CM 기반의 기록물군 기술정보를 시범적으로 구축해 보았다. 이는 기록물 기술표준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기존의 기술표준과 연계할 때의 고려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RiC-CM과 ISAD(G)의 맵핑 유형에는 속성 간 맵핑, 속성-개체 맵핑, 속성-관계 맵핑이 있었다. 그리고 기술요소간 맵핑 외에 RiC-CM의 개체와 속성, 관계를 통해 기록레코드를 구축할 수 있는 프레임을 프로테제를 이용하여 구축하고, 예시 데이터를 시범적으로 입력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기술 정보를 RiC-CM을 통해서도 대부분 표현할 수 있었다. 게다가 RiC-CM에서는 기록 기술 정보가 상세히 구분되어 있고, 개별 개체 간의 관계를 브라우징할 수 있는 특징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양생법 고찰 (An Analysis of Yangseng(養生)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남정현;이재우;이상재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25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contents of each 'Yangseng(養生)' category appear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based on the Yangseng-related terms used in the records. Method : We selected 11 terms with the same meaning as 'Yangseng(養生)' and searched each of them on the website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online search service. Among the total of 679 records, 343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Mind Yangseng(精神養生)', 'Food Yangseng(飮食養生)', 'Doin-angyo(導引按蹻)', 'Lifestyle Yangseng(生活養生)', and 'Herb Yangseng(藥草養生)'.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Yangseng category appeared in the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were studied. Results : The term 'Jo-seop(調攝)' wa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same meaning as Yangseng(養生), followed by 'Jo-ri(調理)', 'Jo-ho(調護)', 'Jo-yang(調養)', and 'Seop-yang(攝養)'. The frequency of records categorized into specific Yangseng methods(養生法) was in the order of 'Lifestyle Yangseng', 'Mind Yangseng', 'Food Yangseng', 'Herb Yangseng' and 'Doin-angyo(導引按蹻)'. The contents of 'Mind Yangseng' included 'control of emotions and thoughts', 'control of self-interest',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mind', and 'avoidance of stress'. The contents of 'Food Yangseng' were related to the amount of food intake and types of food. The contents of 'Lifestyle Yangseng' were related to 'work-rest balance(勞逸)', 'seasons(季節)', 'residence(居處)', 'bath(沐浴)', 'sexual life', 'sleep', and 'clothing'. The frequency of 'work-rest balance(勞逸)' was among the highest. Conclusion : Emphasis on mental health and work-rest balance appear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a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people of today.

한국, 일본, 중국의 역사 기록에 나오는 별똥만발 기록의 새로 고친 목록 (A REVISED CATALOGUE OF METEOR OUTBURSTS IN KOREAN, JAPANESE, CHINESE HISTORIES)

  • 안상현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293-310
    • /
    • 2005
  • 한국, 일본, 중국의 옛 역사 기록에 나오는 벌똥만발 기록(meteor outbursts즉, 강한 별똥비 및 별똥 소나기 기록) 가운데 신뢰할 만한 것을 모은 목록을 새로 고쳐 만들었다. 이 고친 목록에서는 지구의 세차운동과 근일점이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별찌흐름(meteor stream)의 공간적 위치를 연구하기 위해 별똥만발이 나타난 시각을 나타내는데 새로운 시간 좌표계를 도입하였다. 즉 임의로 지구의 2000년 근일점을 기준으로 각 기록의 관측 시각이 항성년 단위로 끊을 때 나머지가 며칠인지를 가지고 시간 좌표계를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개별 별똥 기록으로 취급되어 별똥비 항목에서 누락되었던 중국 기록 19개를 찾아내서 목록에 추가했다. 우리는 새로 개정된 별똥만발 목록에서 지난 2천년 동안 별똥만발 현상을 일으킨 별찌흐름들은 물병자리 에타 별찌흐름, 오리온자리 별찌흐름, 페르세우스자리 별찌흐름, 사자자리 별찌흐름임을 확인하였다. 세 나라의 옛 별똥만발 기록만을 대상으로 할 때, 각 별똥만발들의 가장 오랜 기록들을 약간 수정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별똥만발 현상들을 일으키는 어미혜성이 핼리형 혜성(Halley-type comet)임에 주목하고 논의하였다.

19세기 영남지역 중기(重記)를 통해 본 지방관아의 조직과 기록물 연구 (Organizations and Records of Local Government Office in the 19th Century Through an Analysis on the Transition Documents in Yeongnam Region)

  • 손계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37-262
    • /
    • 2017
  • 조선시대 지방관아는 지역을 다스리기 위한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공간과 조직 사람이 필수적으로 존재하였고, 행정 업무의 결과를 통해 지방관아의 기록물이 생산되고 관리 보관되었다. 지방관아의 건물과 공간은 첫째, 수령의 통치와 생활공간, 둘째, 관속들의 행정업무 공간, 셋째, 창고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관속의 규모 측면에서도 대규모 기관이었기 때문에 조직구조도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관아의 조직은 크게 육방임과 기타 색임으로 구분하여 호장(戶長) 이방(吏房) 호방(戶房) 형방(刑房) 병방(兵房) 예방(禮房) 공방(工房)의 육방임 업무와 생산 기록물을 살펴보았고, 기타 색임의 업무를 살펴보았다. 또한 세기 영남지역 중기(重記)에 기재되어 있는 물목명 가운데 기록물류를 추출하여 지방관아에서 조직별로 관리하였던 기록물류를 크게 절목(節目), 안(案), 대장(大帳), 완문(完文), 등록(謄錄)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패션잡지 미국 "보그[Vogue]"에 나타난 패션 저널리즘 (Fashion Journalism Expressed in Vogue USA)

  • 남수현;하지수
    • 복식
    • /
    • 제57권1호
    • /
    • pp.118-129
    • /
    • 2007
  • Overflowing of fashion information that is derived from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ss media has rather hindered adopters from appropriately screening fashion information. Thus, responsibilities of fashion journalists who play a role of communicating fashion information have become heavier. Fashion journalism may be defined as 'delivery of modes and involvement in production and logistics'. Since it connects fashion and culture industries with the public by reflecting fashion from diversified perspectives, the role of fashion journalism should never be overlooked in terms of culture as well as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fashion journalism from fashion-advanced country by reviewing the fashion journalism from the US, which is so-called fashion-advanced country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Vogue USA. This study made a historical review of fashion journalism through a reference study, and from a total of 24 volumes of Vogue USA from January 2004 through December 2005 classified articles by functions, tones, contents, and brands, pictorial records by functions, images, and brands, and ads by brands, quantitatively analyzing them. Further, through a case study it explored those articles and pictorial records which featured n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USA, and examined how the fashion journalism in the USA imaged the fashion in the country. In addition, it tried to elicit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the USA as a conclusion by categorizing those images while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Vogue USA features American fashion definitely. Thus, consequently it is easy to find images of American fashion in pictorial records, let alone categorizing them.

방송영상기록물의 저작자 식별을 위한 패싯 기반 식별체계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Facet-Based Identifier for Identifying Creators of Broadcasting Video Record)

  • 정연주;이승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3-234
    • /
    • 2020
  • 본 연구는 방송영상기록물을 대상으로 방송영상기록물의 제작에 참여한 저작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항목을 제안하여 방송영상기록물에 대한 저자식별체계 구축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방송영상기록물의 저작자 식별을 위해, 이름, 성별, 생년월일, 저자식별체계, 국가, 소속기관, 분야 등 총 7개의 기술항목을 개인, 소속, 역할의 세 가지 범주로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해 2단계에 걸쳐 분류 및 범주화를 진행하였다. 이 구조를 바탕으로 총 10개의 기본 패싯과 14개의 하위 패싯을 구성하여 방송영상기록물 저작자의 식별을 위한 패싯 기반 구조를 구축하였으며, 방송영상기록물 저작자 식별을 위한 기술항목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