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ied Records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28초

뇌신경계 중환자실 전담 약사의 활동에 따른 약물 조정 효과 및 회피비용 분석 (Effects of Medication Reconciliation and Cost Avoidance Analysis by Clinical Pharmacists in a Neurocritical Care Unit)

  • 조의상;송영주;정영미;최경숙;이은숙;김은경;한문구
    •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0-118
    • /
    • 2018
  • Background: The role of clinical pharmacists in medication therapy to improve clinical and economic outcomes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details of medication intervention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clinical pharmacists into the care of neurocritical care unit (NCU)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economic effects of clinical pharmacists by calculating the avoidance cost.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review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from June 2013 to May 2014 (before), and from June 2016 to May 2017 (after). We calculated the number and rates of intervention, the acceptance rates of it, and also reviewed the list of interventions. We calculated avoidance cost if there was no intervention. Results: The monthly mean number of interventions increased from 8.0 (${\pm}5.7$) to 31.7 (${\pm}12.8$) (P<0.001) and the frequency of intervention also increased from 0.8% to 1.6% (P=0.003).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pharmacist intervention was nutritional support before introduction of clinical pharmacists and discussions on the medication plan after. The number of classified interventions was 14 before introduction of clinical pharmacist services and 33 after. The calculated cost avoidance associated with a clinical pharmacists' integration was 77,990,615 won per year. Conclusion: Introduction of clinicals pharmacist into the NCU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vention rates and expanded types of clinical interventions. The cost avoidance achieved by the pharmacists' interventions can be further explored to evaluate if similar expansions of pharmacists' services achieve similar results in other settings.

Impact of the Interval between Previous Endoscopic Exam and Diagnosis on the Mortality and Treatment Modality of Undifferentiated-Type Gastric Cancer

  • Lee, Ayoung;Chung, Hyunsoo;Lee, Hyuk-Joon;Cho, Soo-Jeong;Kim, Jue Lie;Ahn, Hye Seong;Suh, Yun-Suhk;Kong, Seong-Ho;Choe, Hwi Nyeong;Yang, Han-Kwang;Kim, Sang Gyu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2호
    • /
    • pp.203-212
    • /
    • 2021
  • Purpose: The impact of the interval between previous endoscopy and diagnosis on the treatment modality or mortality of undifferentiated (UD)-type gastric cancer is unclea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doscopic screening interval on the stage, cancer-related mortality, and treatment methods of UD-type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UD gastric cancer in 2013, in whom the interval between previous endoscopy and diagnosis could be determin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 period from the previous endoscopy to diagnosis (<12 months, 12-23 months, 24-35 months, ≥36 months, and no history of endoscopy), and the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and surgical treatment were reclassified based on the final treatment results. Results: The number of enrolled patients was 440, with males representing 64.1% of the study population; 11.8%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undergone endoscopy for the first time in their cancer diagnosis. The percentage of stage I cancer at diagnosi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interval from the previous endoscopy to diagnosis increased (65.4%, 63.2%, 64.2%, 45.9%, and 35.2% for intervals of <12 months, 12-23 months, 24-35 months, ≥36 months, and no previous endoscopy, respectively, P<0.01). Cancer-related mort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for a 3-year interval of endoscopy (P<0.001). Conclusions: A 3-year interval of endoscopic screening reduces gastric-cancer-related mortality, particularly in cases of UD histology.

집모양토기를 통한 가야 건축 연구 (A Study about Gaya Architecture with House-Shaped Earthenware)

  • 한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1호
    • /
    • pp.32-51
    • /
    • 2021
  • 가야 건축과 관련한 건축적 증거는 그 어떤 지역보다도 미미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야 건축을 연구하는 데에는 가형토기라고도 불리는 집모양토기가 특히 도움이 된다. 집모양토기는 사용 목적이 건축적이지는 않지만 그 모습이 건축물을 모방하였기 때문에 당시 건축의 모습을 보다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러나 집모양토기가 건축물을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본래 건축과는 상관없는 특별한 기능을 갖는 기물이므로 건축물에 대한 정확한 묘사보다는 본래의 기능에 맞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그 형태를 살펴 건축적인 부분과 아닌 부분을 구분해내고 건축적인 부분을 통해 건축물의 모습을 규명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집모양토기의 건축적 고찰을 통하여 가야의 건축적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시도해보았다. 여기에는 역사기록과 함께 특히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난 고고학적 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모양토기는 그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유형은 각각 구별되는 건축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둘째, 한국을 비롯한 동양 건축의 특징 중 하나인 지붕면을 정면으로 하는 것과 비교할 때, 집모양토기에 나타나는 맞배지붕의 박공면을 정면으로 하는 건축 의장적 특성은 가야 건축이 갖는 매우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일부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가야 건축에서는 기능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이 존재하였으며, 집모양토기는 이들 가운데 풍요의 상징성을 갖는 고상 창고, 축사, 주택의 형태를 모방하여 제작된 것이다.

국내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통합적 문헌고찰(2018~2020)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2018~2020))

  • 김유림;이현경;이혜연;이미경;김수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30-44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health problems and social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An integrative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Whittemore & Knafl's guideline. An electronic search that included publications from 2018 to 2020 in the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RISS, and KISS databases was conducted. Of a total of 67 records that were identified, 13 finally met full inclusion criteria. Text network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keywords network trends using NetMiner program. Results: The health problem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classified into mental health (depression, anxiety, suicide and acculturative stress) and health risk behaviors (smoking, risky drinking, smartphone dependence and sexual behavior). As social determinants affecting the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biologic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visible minority,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ego-resiliency were identified. The sociocultural factors were identified as family economic status, residential area,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parents' country of birth. As a result of text network analysis, a total of 41 words were identif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mental health and health risk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as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ur finding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broaden the scope of health determinants to account for the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ealth care system.

우주과학자에게 필요한 달의 지형과 지질 (Basic Lunar Topography and Geology for Space Scientists)

  • 김용하;최성희;유용재;김경자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1권2호
    • /
    • pp.217-240
    • /
    • 2021
  • 본 논문은 다가오는 달 유인 탐사시대를 대비하여 달의 지형 및 지질학적 기초 지식을 우주과학자들에게 소개한다. 달 지형 용어에 대한 학술적 기원을 간단히 정리하였으며, 현재 통용되는 한글 용어를 확장하여 새로운 지형 용어들을 제안하였다. 특히, 일반인도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달의 지형으로 1 대양(폭풍의 대양), 10대 바다(비의 바다, 평온의 바다, 고요의 바다, 감로주의 바다, 풍요의 바다, 위난의 바다, 증기의 바다, 인식의 바다, 습기의 바다, 구름의 바다), 6대 충돌구(티코,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아리스타쿠스, 스테비누스, 랑그레누스)를 제안한다. 달의 지형으로 고원(highland), 바다(maria), 산맥(mountains), 충돌구(crater), 함몰 용암굴/열구(rille, rima), 지구대(graben), 돔(dome), 용암동굴(lava tube), 주름 능선(wrinkle ridge), 참호(trench), 절벽(rupes), 그리고 달의 표면 흙을 표토(regolith)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달의 내부 구조 표준 모델과 대표적 암석을 소개하였다. 지구의 지질 시대구분은 발견 화석과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절대연령 측정을 기준으로 하는 반면, 표준적인 달의 지질 시대 구분은 대표적인 충돌구 형성을 기준으로 선-넥타리스 기(Pre-Nectarian), 넥타리스 기(Nectarian), 임브리움 기(Imbrian), 에라토스네스 기(Erathostenesian), 코페르니쿠스 기(Copernican)로 나뉜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달 활용에 획기적인 계기가 되는 최근의 달 표면 물 발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향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개발될 물 채취 장치의 개념도 소개하였다.

COVID-19 전후 한방병원 침구의학과 내원 환자들에 대한 비교 분석 - 일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 (Statistical Analysis of Patients Visiting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Korean Medicine Hospital Before and After COVID-19 - Focusing on a Korean Medicine Hospital in Daejeon -)

  • 이영록;차현지;최현규;김민주;김범석;성기정;전주현;김은석;김영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1-49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tient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korean medicine hospital(KMH) in Daejeon before and after COVID-19.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63,185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at KMH in Daejeon for 3 years from January 1, 2018 to August 31, 2020. Data were classified by year, month, new/old type, gender, age and Disease group. IBM-SPSS-Statistics ver25.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1.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gender, the rate of new patients after COVID-19 outbreak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years. The old patients showed an increase in the rate of visits by men and a decrease in the rate of visits by women. 2.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age group, the rate of new patients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year. the rate of patients in their 20s and 50s decreased, and the rate of patients over 60 increased. 3.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frequent disease,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number of patients decreased in 14 disease groups excluding cervical sprains among the 15 frequent disease groups. 4. For inpatients, even after COVID-19 outbreak, the results of all variables were similar to the previous years. Conclusions: After COVID-19, on outpatients, the percentage of female visits, the percentage of patients in their 20s to 50s and Number of patients with frequent disease decreased significantly. On Inpatients, the results of all variables were similar to those before COVID-19.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 분석 - 야외 식물 관찰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ation Abil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ocus on Observation Learning of Outdoor Plants)

  • 김현주;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593-615
    • /
    • 2022
  • 본 연구는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관찰능력과 과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5학년 21명을 대상으로 야외 식물 관찰 학습을 시행했다. 관찰 과제를 통해 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적 창의성을 평가하여 정량적 자료를 얻은 뒤, 식물 관찰에 대한 학생과의 면담을 통해 정성적 자료를 얻었다. 이외에도 연구자의 참여 관찰 기록, 학생의 활동 결과물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 상·하 수준에 따라 HH(고관찰-고창의)형, HL(고관찰-저창의)형, LH(저관찰-고창의)형, LL(저관찰-저창의)형의 4개 집단으로 유형화한 결과 전체 학생 21명 중 HH형과 LL형에 속한 학생이 15명으로 관찰 능력이 높을수록 과학적 창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과학 창의성 요소 중 독창성과도 관찰 능력과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상시 식물 관찰 빈도와 식물 관찰 학습에 대한 흥미, 식물 관찰 학습에서의 협력이었다. 넷째,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과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찰 능력과 식물 관련 지식의 양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코로나 전후 행복 이슈 변화 분석 및 행복 증진 방안 연구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the Analysis of Happiness Issues Before and After Pandemic)

  • 김가혜;이소현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3호
    • /
    • pp.81-103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정신건강과 웰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세계 행복 보고서를 통해 꾸준하게 대중의 행복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전염병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이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팬데믹 이후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알렸고, 수치상으로 행복 지수가 낮아졌음을 밝혔다. 전염병 이후 한국 사회에서 대중들이 느끼는 행복의 이슈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이슈를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한국인의 행복이슈에 생긴 변화를 파악하고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19 이전 데이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코로나19 이후 데이터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로 시기를 나누어 수집하였다. ERG 이론에 기반한 하위 키워드 32가지를 검색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코로나19 전후 토픽 모델링 결과를 국회 미래연구원에서 발표한 '행복 지표 2.0'의 '건강', '안전', '경제', '교육', '관계 및 사회참여', '여가', '삶의 만족' 영역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토픽과 키워드의 세부적인 의미에서 코로나19 전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영역의 관점에서 행복 증진 방안을 토픽과 키워드를 비교 해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실제 대중들의 '행복' 관련 의견을 마이닝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시사한다. 또한, 기존 행복 증진 불행 경감 방안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인 행복 지표 영역을 활용해 행복 증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오토인코더 기반의 외부망 적대적 사이버 활동 징후 감지 (Detection of Signs of Hostile Cyber Activity against External Networks based on Autoencoder)

  • 박한솔;김국진;정재영;장지수;윤재필;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39-48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 공격은 계속 증가해 왔으며 그 피해는 정부 시설을 넘어 민간인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사이버 이상징후를 조기에 식별하여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위와 같이, 사이버 이상징후를 효과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BGP(Border Gateway Protocol) 데이터를 머신러닝 모델을 통해 학습하고, 이를 이상징후로 식별하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BGP 데이터는 이상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보다 적은 불균형 데이터(Imbalanced data)이다. 이는, 모델에 학습이 편향된 결과를 가지게 되어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실제 사이버 상황에서 보안 담당자들이 머신러닝의 정형적인 결과로 사이버 상황을 인식시킬 수 없는 한계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 네트워크 기록을 보관하는 BGP(Border Gateway Protocol)를 조사하고, SMOTE(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 활용해 불균형 데이터 문제를 해결한다. 그 후, 사이버 공방(Cyber Range) 상황을 가정하여, 오토인코더를 통해 사이버 이상징후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를 가시화한다. 머신러닝 모델인 오토인코더는 정상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시켜 이상 데이터를 분류하는 성능을 92.4%의 정확도를 도출했고 보조 지표도 90%의 성능을 보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또한, 혼잡한 사이버 공간을 가시화하여 효율적으로 상황을 인식할 수 있기에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고 전망된다.

COVID-19 전후에 따른 지역별 대전대학교 한방병원의 외래 환자에 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Outpatients Trend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of Daejeon University by Region before and after COVID-19)

  • 차현지;김범석;성기정;이영록;최현규;김민주;이예지;전주현;김영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4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statistically analyze data of outpatients visiting for recent 3 years. The purpose is to identify tendencies of patients who visit the hospitals before and after COVID-19.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452,487 patients who visited to the Daejeon·Cheonan·Cheongju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from January 1, 2018 to August 31, 2020. The data is classified according to year, month, gender, age, and visit typ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decreased in 2020 compared to before 2020,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 each hospital also decreased from the previous year. According to the year of each hospital, the difference by yea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Daejeon Hospital, but Cheonan and Cheongju Hospital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The change in monthly according to the year by hospital has continued to decrease from January to March in 2020, unlike the previous year, which recovered from a decline in March. In the analysis of patients by a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above 60s according to the year, while those under 60s have a tendency to significantly decrease. Conclusion: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in analyzing effects of COVID-19 at health care uti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