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dosporium sp.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5초

Phylogene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Cladosporium perangustum Associated with Flyspeck on Shine Muscat Grapes in South Korea

  • Hassan, Oliul;Lim, Yang-Sook;Chang, Taehyun
    • Mycobiology
    • /
    • 제49권2호
    • /
    • pp.183-187
    • /
    • 2021
  • The Shine Muscat is a table grape, popular in South Korea for its unique mango-flavor taste. Flyspeck is a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small, black, and circular specks on the grape cuticle was first observed in several commercial orchards in Sangju, South Korea, in August 2019. Here we identified the causal agent of flyspeck based on an advanced diagnosis approach, comprised of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s isolated from grape flyspeck were identical to the fungus Cladosporium perangustum. The concatenated sequences of ITS, ACT, and EF1-α were used for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BLAST searches along with Bayesian inference-based phylogeny, confirmed that the causal agent of grape flyspeck is C. perangustum. The cultured fungal isolates also produced flyspeck symptoms on healthy fruits in pathogenicity tests. To the best of my knowledge, this is the first documented evidence of any Cladosporium sp. producing flyspeck symptoms on any plant.

Optical Sensing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Disease Caused by Cladosporium sp. in Barley under Warmer Conditions

  • Oh, Dohyeok;Ryu, Jae-Hyun;Oh, Sehee;Jeong, Hoejeong;Park, Jisung;Jeong, Rae-Dong;Kim, Wonsik;Cho, Jaei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236-240
    • /
    • 2018
  • Crop yield is critically related to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disease resistance of the crop, which could be strongly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We observed the changes in the growth of barley under higher than ambient air-temperature conditions using a temperature gradient field chamber (TGFC) during winter and spring. Before the stem extension stage of barley growth, Cladosporium sp. spontaneously appeared in the TGFC. The severity of disease became serious under warmer temperature conditions. Further, the stomata closed as the severity of the disease increased; however, stomatal conductance at the initial stage of disea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leaves. This was likely due to the Iwanov effect, which explains that stressed plants rapidly and transiently open their stomata before longer-term closure. In this study, we tested three optical methods: soil-plant analysis development (SPAD) chlorophyll index, photochemical reflectance index (PRI), and maximum quantum yield (Fv/Fm). These rapid evaluation methods have not been used in studies focusing on disease stress, although some studies have used these methods to monitor other stresses. These three indicative parameters revealed that diseased barley exhibited lower values of these parameters than normal, and with the increase in disease severity, these values declined further. Our results will be useful in effici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crop diseases under future warming conditions.

벼 이삭마름병해에 관여하는 균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gi Associated with Ear Blight of Rice)

  • 강창식;김장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1-107
    • /
    • 1972
  • 벼 이삭마름병해에 관여하는 균류와 이들 균류에 대한 약제별 살균효과를 알고저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 장려품종 및 통일품종의 변색된 벼알에서 균류를 조사한 결과 일반 장려품종에서는 Pyricularia oryzae, Helminthosporium oryzae, Epicoccum purpurascens, Curvularia lunata,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균 등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고 통일 품종에서는 Trichoconis padwickii, Fusarium dimerum, Nigrospora oryzae균 등이 많이 검출되었다. 2. 벼 이삭도열병에 이병된 이 삭의 각 부위로부터 균류를 조사한 결과 이삭목에서는 Pyricularia oryzae, Nigrospora oryzae, Curvularia lunata 균등이 이삭가지에서는 Helminthosporium eryzae, Trichoconis padwickii, Stemphylium sp.,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균 등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벼알에서는 Phema spp. 균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다. 3. 각종 균류에 이병된 이삭가지 및 벼 알에서의 Difolatan 수화제, Dithane M-45 수화제의 살균효과를 실내에서 시험한 결과 Difolatan 800배 액은 Helminthosporium oryzae,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 균 등에 살균효과가 좋았고 Dithane M-45 500배 액은 Pyricularia oryzae, Trichoconis padwickii, Curvularia lunate 균등에 비교적 효과가 좋았다. 4. 약제 방제시기는 유숙기살포구, 출수개화기살포구의 순으로 효과가 좋았으며 약제별 방제효과는 본 시험포장에 이삭도열병 발생이 많았던 관계로 도열병 방제 약제인 히노산유제, 가스가민유제가 Difolatan 수화제, Dithane M-45 수화제에 비하여 다소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장마철 표고(Lentinula edodes) 재배사내 발생 유해 진균류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during the rainy season)

  • 정상욱;장은경;최선규;이원호;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0
    • /
    • 2021
  • 표고 재배사내 진균류의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골목에서 발생한 진균류를 분리·동정하고 재배사내 온·습도 환경을 분석하였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진균을 분석한 결과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cremonium sp. 6종으로 확인되었다. 재배사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는 5월 1일부터 10월 12일 사이에 재배사내 최고·저 온도가 14.0~30.1℃, 평균습도는 82.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 재배과정 중 진균류의 발생이 활발한 초여름부터 가을철 사이에 철저한 재배관리가 중요하며, 한번 발병한 진균류는 연중 재배사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에 유해 진균류 발생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예방해야 한다.

벼 이삭마름병해(病害)에 관여(關與)하는 균류(菌類)의 검출(檢出)과 검출(檢出)된 균류(菌類)가 종자(種子) 변색(變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Detec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Ear Blighting of Rice Plants and Their Effect on Seed Discoloration and Yield)

  • 권진숙;박종성;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9-205
    • /
    • 1985
  • 1. 벼 종자(種子)의 변색정도(變色程度)에 따른 균류(菌類)의 검출(檢出)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변색(變色)이 심한 종자(種子)에서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Curvularia lunata, Fusarium semitectum, Gerlachia oryzae, Phoma sp. Trichoconiella padwickii 등이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고 특히 반점종자(斑點種子)에서는 Helminthosporium 균(菌)이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다. 2. 벼 종자상(種子上)에서 진균(眞菌)의 검출(檢出)에 미치는 광선(光線)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Alternaria tenuis, Helminthosporium oryaze, Trichoconiella padwickii, Fusarium moniliforme, Fusarium semitectum 등(等)은 암흑구(暗黑區)에서 보다 광선조사구(光線照射區)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고 Phoma sp. Curvularia lunata, Epicoccum purpurascens, Verticillium sp.는 광선조사구(光線照射區)나 암흑구(暗黑區)나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Gerlachia oryzae는 암흑구(暗黑區)에서 오히려 검출율(檢出率)이 높았다. 3. 벼 종자상(種子上)의 배양온도(培養溫度)가 균류(菌類)의 검출(檢出)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는 저온구$(15^{\circ}C)$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고 Phoma sp.는 고온구$(30^{\circ}C)$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다. 4. 검출(檢出)된 각(各) 균류(菌類)가 종자(種子) 변색(變色)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공시(供試)한 7게(個)의 균류(菌類) 모두가 종자(種子) 변색(變色)에 관여(關與)하여 인공접종(人工接種)한 이삭에서의 천립중(千粒重)은 대조구의 천립중(千粒重)에 비해 모두 낮았고 특히 공시(供試)한 7개(個)의 균(菌)을 혼합접종(混合接種)한 이삭의 천립중(千粒重)과 등숙비율(登熟比率)은 대조구보다 저하(低下)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류 및 섬유질 문화재의 미생물에 관한 연구 (紙類 및 纖維質 文化財의 微生物에 關한 硏究) ­경남지방(慶南地方)을 중심(中心)으로-

  • 민경희;안희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14권
    • /
    • pp.225-250
    • /
    • 1981
  • 경남지방(慶南地方)의 지류(紙類) 및 섬유질유물(纖維質遺物) 보관고내(保管庫內) 공중균(空中菌)의 분포(分布) 조사(調査)를 위하여 중요민속자료(重要民俗資料) 37호(號) 이휴정소장출토복식(二休亭所藏出土服飾) 등(等) 4개소(個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리배지(分離培地)는 malt extract agar이었으며 잡균(雜菌)의 증식(增殖)을 방지(防止)하기 위(爲)하여 chloram phenicol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4개소 유물보관고(遺物保管庫)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된 공중(空中) 사상균(絲狀菌)은 Cladosprium cladosprioides, Alternaria chlamydo-spora, Aspergillus fumigatus, A. versicolor, Eurotium chevalieri penicillum charlesii Var. rapidum, P. oxalicum, P. viridcatum, Trichoderma viride, Acremonium sp, Mucor sp, yeast 등(等) 8속(屬) 9종(種) 이었으며 또한 4개소(個所)의 유물보관고내(遺物保管庫內)에 분포(分布)된 사상균(絲狀菌) 포자(包子)는 Cladosporium cladosporioides가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Acremonium sp, penicillium, Aspergillus Trichoderma, Aeternaria, Eurotium의 순서이었다. 또한 지류(紙類) 및 섬유질문화재(纖維質文化財)로부터 사상균(絲狀菌)을 직접 채취(直接 採取)하여 분리(分離)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8속(屬) 14(種)이 검출되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분리(分離)된 종(種)은 Clodosporium cladosporioides이었고 그 외에 Acremonium, Penicillium, Asper gillus, Trichoderma 등도 분리(分離) 동정(同定) 되었다. 이중에서 특히 아직 우리 나라에서 미기록종(未記錄種)은 Chacetomium globosum, Mucor racemosus, Pspinalosum, Torulaellisii 등(等) 4종(種)이 발견(發見)되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끝으로 화학약제(化學藥劑)에 대(對)한 방균(防菌) 효과(效果) 실험(實驗)은 Aspergillus penicillium, cladosporium Trichoderma 등(等) 8종(種)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약품(藥品)은 Benzoic acid, Sorbic acide, Dehydroacetic acid, Thymol 등(等) 4가지 화학약품(化學藥品)을 사용(使用)하여 방균효과(防菌效果)를 조사(調査) 하였다. 동실험결과(同實驗結果) Thymol은 0.5%이상(以上)에서 모든 균(菌)의 생장(生長)을 저지하였으며 기타 3가지의 화학약제(化學藥劑)는 각각(各各)의 농도(濃度)에 따라 억제상황(狀況)이 상이(相異)하게 나타났음을 보고(報告) 드린다.

모의운송시 접목선인장의 품종별 품질변화 (Qualitative Changes in Grafted Cactus Cultivars during Simulated Transportation)

  • 윤정한;송종은;변혜진;박주현;김영호;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75-582
    • /
    • 2011
  • 본 실험은 접목선인장의 품질변화을 조사하고, 선박운송 중 발생되는 부패균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 비모란의 '후광', '후홍', '연화', '황월'의 네 품종을, 산취의 '골드크라운', '옐로우크라운'를 사용하였으며, 모의 운송기간 중 생체중, 구경, $CO_2$ 발생량, 부패율을 측정하였다. 모의운송 40일 후에는 접목선인장을 온실 환경(평균온도 $28{\pm}12^{\circ}C$, 평균습도 $36{\pm}15.3%$)하에 두고 28일간 재생률과 부패율을 조사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체중과 구경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_2$ 발생량은 품종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접수 부분이 삼각주 부분 보다 부패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부패에 따른 부패균을 분석한 결과, 비모란에서는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Colletotrichum sp., Fusarium sp., Penicillium sp. 등이 조사되었으며, 산취에서도 Alternaria sp., Bipolaris sp., Cladospoirum sp. 등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접목선인장의 품질을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확 후 부터 수출까지 부패발생 요인을 분석하고, 부패율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처리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각종(各種) 곡류(穀類) 및 효소식품(酵素食品)에서 분리(分離)된 진균류(眞菌類)의 분류(分類) 및 Amylase 생성능(生成能)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and Amylase Producing Activity of Fungi Isolated from Various Local Grains and Fermented Pastes)

  • 고춘명;유준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6
    • /
    • 1970
  • 1. Of the 35 various grains, 446 colonies of fungi were isolated. Among the 446 colonies, 423 were possible to identify into 17 genera. 2. Of the 10 bean-pastes, fungi were isolated 193 colonies. It can be identified 11 genera. 3. It will be noted that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 Mucor sp., Cladosporium sp. were predominated genera. 4. A total of 155 colonies of Aspergillus sp. isolated from various grains were obtained from the samples. Asp. versicolor was the frequent species and 47 colonies isolated. 5. Penicillium where was isolated from various grains, obtained 115 colonies. Pen. camemberti was the most frequent species. 6. Penicillium palitans was most excellent amylase producing fungi and which was 1ml per 6.300 unit.

  • PDF

Identification of Culturable Bioaerosols Collected over Dryland in Northwest China: Observation using a Tethered Balloon

  • Chen, Bin;Kobayashi, Fumihisa;Yamada, Maromu;Kim, Yang-Hoon;Iwasaka, Yasunobu;Shi, Guang-Yu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5권3호
    • /
    • pp.172-180
    • /
    • 2011
  • The transfer of microorganisms is important process for ecosystems. Microorganisms in dryland can transport itself to wetland through atmospheric diffusion, but only few papers reported about the atmospheric bioaerosol present over dryland. We carried out the direct sampling using a tethered balloon over Dunhuang City, China's northwestern dryland. Bioaerosols were collected using a tethered balloon with a bioaerosol collector at 820 m above the ground (1,960 m above the sea level) around noon on August 17, 2007. The bioaerosols were cultured after the collection at Dunhuang Meteorological observatory. Two strains of molds were isolated using the Nutrient agar medium. About 400-bp 18S rRNA partial sequences were amplified by PCR and determined afterwards. The results of a homology search by 18S rRNA sequences of isolates in DNA databases (GenBank, DDBJ, and EMBL) and an observation of the form revealed that two bioaerosols in the convective mixed layer over Dunhuang City were Cladosporium sp. and Aspergillus 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