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vic Consciousnes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안전속도 5030 시행에 따른 제한속도 및 도로서비스 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Speed Limit and Roa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Speed 5030 Policy)

  • 이환진;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4호
    • /
    • pp.405-416
    • /
    • 2021
  • 최근 전국적으로 시행을 추진하고 있는 안전속도 5030 정책은 이동성의 저하 및 통행 불편 등으로 인해 일부 시민들의 불만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교통사고, 통행속도 등 정량적인 정책평가 기준에서 벗어나 도로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를 이용하는 시민을 운전자 집단과 비운전자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를 대상으로 안전속도 5030 정책 시행에 따른 제한속도의 적정성 평가와 도로서비스 질의 만족도 평가(MDS),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등 시민의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민의식 분석결과, 도로서비스 질 중에 특히, 이동성, 경제성, 환경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에 만족도가 낮은 도로를 대상으로 제한속도와 도로서비스 질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안전속도 5030 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The Transformation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its Motive in Korea)

  • 김은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3권
    • /
    • pp.87-114
    • /
    • 2006
  • 대안적 공론장의 현실화를 지칭하는 용어는 저항언론, 대항언론, 민중언론, 지하언론, 풀뿌리언론, 대안언론, 시민미디어 등 다양한 개념이 존재하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논자의 강조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언론구조가 민주적 공론장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했던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한국의 대안적 공론장은 70년대의 저항언론 자유언론에서, 80년대의 대항언론 민중언론, 90년대의 대안언론, 2000년대의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은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확장과 사회운동 진영이다. 그리고 사회운동 주도세력의 성격에 따라 대안적 공론장의 내용성 역시 변화해 왔다. 80년대 민중운동이 한국의 사회운동을 이끌었을 때는 대안적 공론장도 당파성에 입각한 민중언론의 성격을 나타냈으며, 90년대 시민운동으로 그 주도권이 바뀌었을 때는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발현됐다. 또한, 사회운동과 대안적 공론장은 변증법적으로 변화 발전했다. 요컨대, 사회운동은 대안적 공론장을 통해 운동의 활성화와 역량을 축적하면서 사회변화를 이끌었고, 이러한 사회운동은 다시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 PDF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지역신문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the Local Newspaper for Community Development)

  • 남부현;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권1호
    • /
    • pp.141-15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le of local newspaper for community development in Korea.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 1) to identify the role of local newspaper in community development, 2) to analyze problems and situations on local newspapers in Korea, and 3) to suggest desirable roles of local newspaper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To attain the above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test analysis of selected local newspaper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selected readers of local newspap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7 readers of local newspaper who participated in the farmers` training session in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y using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total of 26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e study were frequence, percentile, standard deviation utilizing the $SPSS/PC^+$.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ajor roles of functions of local newspapers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to reinforce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o form community opinion, to watch and to monitor community environment, to provid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and to contribute to the conveyance and promotion of community culture. 2.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local newspaper readers surveyed were; a) average distance from town to their village was 9.3 Km, b) average age was 29 years, c) about 75% of them were senior high school graduates, and d) about 96% of them participated in group activities. 3. About 45% of the respondents used television or radio for their moor sources of local news were TV or radio, while about 31% respondents used immunity newspaper for their moor sources of local news. About 67% of the respondents kept their readership over two years, and about 40% of them read community newspaper regularly at their home. 4.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showed drat the local newspapers were dealing with articles on cultural affairs, community consciousness, administrative and civic affairs, however, there were not enough educational news, and various kinds of general news in the community. 5. Survey also showed the most needed news were ; 1) political news including administrative and civic affairs, 2) economic news including sales and distribution, 3) social news including social problems 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works, 4) educational news including technology and information, 5) cultural news including guide to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and local brief news. 6. In the evaluation of local newspaper, the readers were generally positive in valued roles of local newspaper in community relations, community development, promoting community cohesion and understanding of community members, and about 40% of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 in predicting the bright future perspectives of local newspapers. 7. In the readers` evaluation of local newspaper, readers responded that local newspapers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residents, reflecting the current concerns of local population and recognizing the value of community media, and the contents of local newspaper were positively related to daily lives of community residents and opinions of overall community.

  • PDF

사회복지사 정치참여 실태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social worker'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state and an influenced factor)

  • 김교연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 /
    • pp.651-673
    • /
    • 2005
  • Politica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social worker is changed and politics participation activity is putting forth with a bud. Currently,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in study of social worker'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s short.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action and will present political participation action contents and direc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may give practical meaning to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nd educational scope about what we must do to become a political influence the group. The object of this study is 1229 people in choosing social welfare politics participation investigation committee data. A participation of Korean social worker appeared that a meeting or a demonstration is high when comparing the United States. Also, electioneers, and, government bureaucrat contact, financial contributions is a half experience. The strong variable in explaining social worker'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 politics efficacy, politics interest.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s interest, a joining and a political behavior proposal of an association is a influenced factor. Through this result The Civic Volunteer Model is a theory to able to explain social worker'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pproach growing the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s interest is very important in activating politics participation. Role of a social welfare association or a group was important in order to induce politics participation and concentrate.

  • PDF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활용한 청년 공유마을 연구 -대전광역시 어은동 청년 공유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outh Shared Villages Based on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cus on Youth Sharing Village in Eoeun-dong, Daejeon)

  • 정용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14-322
    • /
    • 2018
  • 최근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민 참여 정부 정책 결정 모델들이 늘어나고 있다. 과거 공급자 위주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 실행 수용의지가 낮아 정책의 효과가 반감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민 참여 정책 서비스디자인을 2014년부터 매년 행정자치부에서 국민디자인단 이라는 명칭으로 진행 중이다. 공유 마을은 공유경제를 실행하기 위한 넓은 의미에서의 마을공동체로 마을 구성원간의 공유 의식을 높이고 상생과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공유마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서비스디자인 방법 툴킷(Toolkit)을 활용하여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공유마을, 도시재생, 청년취업 정착에 대한 3가지 문제들을 복합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인과관계가 광범위하고 해결방법 제시에 따른 각각의 대상이 가지는 결과 만족도를 검증하기 위한 만족도 조사 및 연구기간의 한계가 있어 향후 지속적인 검증과 문제점 개선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4대강 사업에서 시민의 신뢰 변화와 과학기술 시민자격의 전망 (Changes in citizens' trust about '4 Rivers Project' and the Prospect of the Scientific-Tecnnological Citizenship)

  • 정태석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69-107
    • /
    • 2015
  •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4대강 사업에 관한 시민의식의 변화, 특히 시민의 전문가 신뢰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전문지식 정치'의 변화 양상을 이해해보고자 했다. 조사결과로 정부와 찬성 측 전문가의 신뢰도가 하락한 반면에, 반대 측 전문가, 환경단체의 신뢰도는 유지되거나 약간 상승하였다. 이것은 4대강 사업이 전문지식을 둘러싼 정치적 대결의 장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정부의 4대강 사업 정책결정 과정은 그 타당성을 둘러싼 과학기술적 전문지식권력의 활용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문지식 정치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4대강 사업과 같이 전문가의 전문지식의 영향이 큰 과학기술적 생태적 쟁점과 관련하여, 시민들의 관심이 높고 또 이러한 사업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이 큰 것은 시민들의 권리의식이 높아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책결정 과정에의 참여 필요성에 대한 생각이나 실제적인 참여 의향이 적지 않은 것은 과학기술 시민자격, 특히 '시민자격-책무 덕성'의 발달에 기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 관한 연구(응급구조사의 병원 전 응급의료의 제한 중심으로) (A Study on Emergency Medical System Out of Hospital (Centering on the Limita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Out of Hospital in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박상섭;백홍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9-100
    • /
    • 2005
  • Due to the improvement in life, we, human beings, are living in the more convenient world. However, as society gets complex, it comes to be faced a dangerous situation that needs to request a help due to an unexpected accident. The promptly emergency relief and emergency treatment from this accident, can be said to be extremely important in increasing a rate of resuscitation. This study analyzed on a case study and problems about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out of hospital in our country. The contents in the results of a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given the occurrence of medical disputes in a situation of emergency treatment, the regulation in the legal protection 'Will need to be reinforced. 2. in relation to the mobilization of ambulance, the preferentially passage right in ambulance needs to be guaranteed. In general, the preferentially passage right in ambulance is secured, but it will need to be supplemented by improving the education in civic consciousness and the social system. 3. in case of emergency duties in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he countermeasure will need to be strengthened in terms of abusive language and violence from a citizen. 4. in terms of emergency duties in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iming to keep safety from a sudden situation, the possession of the protective equipments will need to be completely provided. 5. the limitation of activity will need to be eased by expanding the range of duties in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ithin the ambulance, and the opening of duties will need not to be allowed to the similarly job category. 6. it needs to be reinforced the safety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from infectious diseases. Aiming at thes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hose service spirit is thoroughgoing, the n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will need to form all the conditions in which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can be active passionately.

  • PDF

이스라엘의 구소련 유대인 이주자들의 문화정체성 연구 - 1990년대 이주한 뉴커머들의 언어 사용과 종교 수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Cultural Identities of Jewish Immigrants from Former Soviet Union in Israel : Focused on the Language Use and Acceptance of Religion of the Newcomers who immigrated during the 1990s)

  • 최아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38권
    • /
    • pp.297-329
    • /
    • 2015
  • Since 1989 about one million Jews from Former Soviet Union have immigrated to Israel. Now Russian speaking Jews are the second largest ethnic groups after the Israeli Jews who were born in Israel. Although FSU Jews have returned to their ethnic homeland, they continue to live as 'foreigners' due to a cultural distance between sending and receiving society, such as, lack of knowledge about Jewish tradition and religious practice and low level of Hebrew proficiency. Because of this reason FSU immigrants tend to continue remain strong ties with Russian language and culture.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such a relatively slow process of language shift of FSU Jewish immigrants, the language shift to Hebrew. Firstly, majority of FSU immigrants moved to Israel since the 1990s are older than 45. Secondly, their first residences in Israel are mostly located in small and mid-sized cities, where the proportion of Russian speaking immigrants is more than 30%. And finally they consider Russian culture is 'superior' to Israel's Levantine culture. For many Jewish diasporic communities, Judaism was a dominant factor for self-consciousness, but because of Soviet regime, aimed to break all the religious institution including Jewish, Soviet Jewry was uprooted from their religious traditions. Besides about 30% of FSU immigrants are not defined as Jews by the Jewish religious law(Halakhah). And many of them are reluctant to convert to Judaism. FSU Jewish immigrant agree that Israel must be a Jewish state, but for them 'Jewish' does not include religious elements. FSU immigrants consider that religious affiliation of citizens of Israel should not affect their civic rights.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활용이 초·중생의 안전의식 고취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n the Safety Consciousnes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 권진석;이효정;신은혜;박소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23-338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초 중생 안전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활용하여 초 중생 약 425명이 참여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역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티맵핑 활동을 통해 초 중생의 실제 생활주변 위험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고 활동 전 후 설문조사를 통해 참가자의 안전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맵핑 툴과 유사한 기능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편의성, 접근성, 확장성이 있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통해 어린이 안전교육의 하나의 콘텐츠로 활용하여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고 초 중생의 안전역량 제고를 기대한다.

현대 상업영화의 예술성 분석연구 (영화 "1987(2017)"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tistic Analysis of Modern Commercial Movies (Focusing on "1987(2017)"))

  • 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425-433
    • /
    • 2018
  • 한국의 영화산업구조는 대기업 중심의 상업영화에 집중되어 그 다양성과 예술성이 상대적으로 간과되며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트렌드와 맞물려 C. G 등 특수효과 중심, 그리고 본능적 감성의 자극에 편승한 소모성 콘텐츠들의 범람 등, 대중예술로서의 격을 잃어가고 있다. 대중예술은 개인과 사회의 인문학적 고찰에 관한 소재와 표현을 통해 간접적 경험과 세상에 대한 넓은 식견을 키우게 하는 교육 계몽적 성격을 띄우며 성숙한 사회문화를 선도해야 한다. 영화 "(2017)"에 대한 사회의제와 예술성의 분석은 상업영화에 있어 예술성의 정의 및 종류, 그리고 예술성의 발현에 대한 방법론 등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수 있다. 연구방법론으로는 본 영화 '1987'이 말하고자 하는 사회의제의 본질에 대한 지적탐구나 논리적 완성도 등 대중예술로서의 영화의 위상을 분석하면서 영화 산업의 미래를 가늠해 보려 한다. 이러한 상업영화 속 예술성에 대한 분석과 비평을 통해 상업영화의 예술적 본질에 대한 지표를 도출하여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화 "1987"은 문화적 소양을 함양케 하고, 계몽적 메시지로 시민의식을 고취시키며 예술 체험을 통한 자아성찰의 역할을 담당하는 예술성을 내재한 이상적인 상업영화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즉, 진정어린 역사와 사회에 대한 인문학적인 고찰, 영화 속 사회의제를 통해 표현된 감독의 통찰적인 시선 등 대중문화에 있어 예술성을 내재한 상업영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