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윤재 (2012), 원전사고와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문성의 정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제15권 1호, pp. 35-44.
과학기술학회마을
|
2 |
구도완 (1999), 1980년대 이후의 한국인의 환경의식, 환경정책, 제7권 2호, pp. 17-33.
|
3 |
김두식 (2005), 환경주의와 탈물질주의적 가치에 대한 태도 연구, ECO, 제9권, pp. 135-180.
|
4 |
김상현 (2012),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경제와사회, 제93호, pp. 13-41.
|
5 |
박순열 (2010), 생태시티즌십 논의의 쟁점과 한국적 함의, ECO, 제14권 1호, pp. 167-194.
|
6 |
박재흥.강수택 (2013), "환경의식의 코호트별 변화 추이와 국가간 비교, OUGHTOPIA, 제28권 2호, pp. 109-143.
|
7 |
윤순진 (2010), 4대강 사업에 대한 TV뉴스의 의제 설정과 프레임, ECO, 제14권 1호, pp. 7-62.
|
8 |
이소영 (2011), 한국인의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수준의 비교분석, ECO, 제15권 2호, pp. 80-109.
|
9 |
이영희 (2012), 전문성의 정치와 사회운동, 경제와사회, 제93호, pp. 13-41.
|
10 |
이영희 (2013), 고준위 핵폐기물 관리를 위한 사회적 의사결정과 전문성의 정치, 동향과전망, 제88호, pp. 249-289.
|
11 |
정태석 (2012), 방폐장 입지선정에서 전문성의 정치와 과학기술적 안전성 담론의 균열, 경제와사회, 제93호, pp. 72-103.
|
12 |
정태석 (2013a), 독일과 한국에서 핵에너지 정책 결정과정에서의 국가 -시민사회 관계 비교와 전문성 정치의 함의, 지역사회학, 제15권 1호, pp. 31-56.
|
13 |
정태석 (2013b), 녹색국가와 녹색정치, 한국환경사회학회 편, 환경사회학 이론과 환경문제, 한울아카데미.
|
14 |
정태석 (2014), 행복의 사회학, 책읽는수요일.
|
15 |
정태석 (2015), 시민자격의 역사적 발달과 세계화 및 위험사회에서의 그 함의, 지역사회학, 제16권 1호, pp. 239-270.
|
16 |
진상현 (2011), 21세기 환경의식의 변화에 관한 주관성 연구: 동강에서 4대강까지, 환경정책, 제19권 제3호, pp. 1-24.
|
17 |
홍덕화.이영희 (2014), 한국의 에너지 운동과 에너지 시티즌십: 유형과 특징, ECO, 제18권 1호, pp. 7-44.
|
18 |
시민환경연구소 (2014), 4대강 사업 사후 국민의식조사 요약보고서.
|
19 |
오마이뉴스 (2014. 11. 5), 국민 두 명 중 한 명, 4대강 보 철거 '찬성' - 시민환경연구소 여론조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502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