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y-Regions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25초

KOMPSAT과 Landsat 8을 이용한 도시확장에 따른 열환경 분석: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by Urban Expansion using KOMPSAT and Landsat 8: Sejong City)

  • 유철희;박선영;김예지;조동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4호
    • /
    • pp.1403-1415
    • /
    • 2019
  • 도시인구 증가와 이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는 도시 내 여러 열환경 문제를 수반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hot Spot 분석과 같은 도심 열환경 모니터링이 필요시 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세종특별자치시의 14개의 동과 주변 행정구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2013년부터 2018년 여름철의 도시 확장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Landsat 8 지표면온도와 KOMPSAT2/3 기반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및 NDBI(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를 이용하여 연구 지역의 지표면 온도 분포를 모의하고, 도심지 확장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 양상을 구축된 NDVI와 NDBI를 이용해 논의했다. 특히, 연구지역 안에서의 도심지 확장이 뚜렷한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고해상도의 KOMPSAT영상으로 지역 내 hot spot의 변화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지역 내에서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에 hot spot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적으로 NDVI가 낮거나 NDBI가 높을수록 hot spot의 영향이 뚜렷하고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표면온도와 위성기반 산출물을 이용해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된 지역과 급격하게 나타난 지역이 구분되었으며 토지피복에 따른 상이한 특성도 파악할 수 있었다. 도시화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가 뚜렷한 지역에 본 연구와 같이 고해상도의 KOMPSAT 영상을 통한 분석이 수반되면 향후 도시계획 및 정책 활용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8년 폭염 기간 동안 경북의 내륙과 해안 도시 간 열 환경 비교 - 대구와 포항의 비교 - (Comparison of Thermal Environment between Inland and Coastal Cities in Gyeongbuk during the Heat Wave of 2018 - Comparison between Daegu and Pohang -)

  • 추승현;안은지;김해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21-628
    • /
    • 2021
  • The characteristics of time changes in air temperature, DI (discomfort index) and WBGT (wet-bulb globe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for inland city (daegu) and coastal city (pohang) of Gyeongbuk Province during the 2018 consecutive heat wave season.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dropped below 33℃ was around 19h in both regions. As such, the two region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the time up to which the heatwave warning levels continued. However, the discomfort index (DI) was higher than 27 in Pohang. Most people feel unpleasant when an discomfort index of 27 or higher appea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s night-time thermal environment during the summers is particularly poor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WBGT began at 09:00 and lasted until 21:00, with a score of 31 or higher; this score, in principle, corresponded with the duration of outdoor activity in both region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outdoor work was at a level where all day long had to be stopped in both areas during the heat wave. Although time changes in temperature and WBGT were similar in both regions, Discomfort Index (DI) differed significantly. The difference refers to the fact that Pohang is strongly affected by the high heat capacity effect and the supply of water vapor from the sea.

프랑스의 창조도시정책: 낭트의 창조도시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Creative City Policy in France: Case studies on Creative City Development Projects of Nantes)

  • 배준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16-629
    • /
    • 2016
  • 이 논문은 도시재생을 통해 창조성을 살리는 도시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여 성공을 거둔 프랑스 낭트(Nantes)시의 창조도시 개발사업 사례(추진과정, 거버넌스, 성과)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낭트는 조선소의 폐쇄로 인한 지역경제의 침체가 심화됨에 따라 창조도시사업을 통해 새로운 도시발전을 도모하였다. 낭트의 창조도시사업은 약 20년간 추진되었는데 성공적 경제전환과 함께 도시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였으며, 프랑스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평가를 받고 있다. 낭트는 창조도시사업의 추진과정에서 유럽 프로젝트 참여와 더불어 다른 도시들의 사례를 참조하고, 전문가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여 낭트 고유의 모델을 모색하였다. 낭트는 창조도시사업의 추진과정에서 규모와 여건에 맞게 다른 도시들과 차별화하고, 명확한 목표와 역동적 협동 작업에 초점을 두면서 도시와 문화 프로젝트 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낭트는 쇠퇴한 지구의 재생을 위해 건물이나 공간을 창조적으로 바꾸고, 역사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창조산업을 창출 또는 유치하였다.

年齡別 人口構成에서 본 淸州市의 居住패턴 變化 (Changes in residential patterns by the age composition in Cheongju city, Korea)

  • 한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7-67
    • /
    • 1995
  • 1970-1990년 사이 연령별 인구구성비에 의한 청주시의 동 유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밝혀졌다. \circled1 연령별 인구구성비에 의한 유형의 공간적 분포는, 1970 년에는 도심과 그 인접지역이 동심원패턴을, 주변지역은 선형패턴을 나타내었으나, 1980년에 는 도심의 인접지역과 주변지역이 선형패턴을 나타내었다. 1990년에는 도심과 그 인접지역 이 원형으로, 주변지역은 세분된 선형패턴으로 나타났다. \circled2 연령별 인구구성비에 의한 유형 의 변화는 1970년대에는 미학령 연령층과 35-49세의 장년충 인구구성비가, 1980년대에는 유.소년층과 40-49세, 55-64세의 장년층, 70-79세, 85세 이상 노년층의 연령구성비가 유형 의 공간적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화가 주로 나타난 지역은 도심과 주 변지역이다. \circled3 연령별 인구구성비에 의한 유형의 변화가 나타난 원인은 제조업의 발달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심의 인접지역이나 주변지역에 신흥 단독주택과 아파트가 많이 건 설되어 이들 지역에 청년층의 인구가 전입하여 본래 거주하고 있던 노년층과 혼재되었기 때 문이다.

  • PDF

도시 브랜딩과 이벤트 콘텐츠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ty Branding and Event Content)

  • 임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28-339
    • /
    • 2021
  • 글로벌 경쟁 시대에 도시 브랜드는 도시의 경쟁력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도시 브랜딩은 도시의 콘텐츠에 대한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이다. 이 연구는 도시를 차별화하는 다양한 콘텐츠 중에서 도시 마케팅과 이벤트 관광 문헌을 바탕으로 도시 브랜딩 과정에서 이벤트와 도시 브랜드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하이 서울 페스티벌과 하이 서울 브랜드의 변화를 탐구하면서 서울을 조사하기 위해 근거 이론 방법과 사례 연구를 사용하고, 질적 연구에는 국내외 사례 연구 및 축제 관련 2차 데이터 분석이 포함된다. 연구 분석 결과는 불일치, 정체성 결여, 정치적 영향력이라는 세 가지 한계로 결론지어진다. 본 연구는 이 한계점을 바탕으로 도시 정체성과 이벤트 콘텐츠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하여 안정적인 서울시 브랜드 전략으로 나아가는 데 시사점을 제시한다.

성별에 따른 지역 간 자살률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Regional Disparitie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 서은원;곽진미;김다양;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5-294
    • /
    • 2015
  • Background: Suicide is one of important health problems in Korea. Previous studies showed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in individual levels. However, suicide was influenced by society that individuals belong to, so it was required to analyze suicide in local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gional disparitie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and the association between local characteristics and suicide mortalit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29 city county district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Age- and sex-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and age-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male/femal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City county district types, socio-demographics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number of marriages per 1,000 population, and single households), financial variable (financial independence), welfare variable (welfare budget), and health behavior/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scores and EuroQol-5 dimension [EQ-5D]) were used to represent the local characteristics. We used hot-spot analysis to identify the spatial patterns of suicide mortality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suicide mortality.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suicide mortality and hot-spot region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provided that city county district types (city),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financial independence, and EQ-5D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ge- and sex-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per 100,000. Factor influencing suicide mortality was the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Conclusion: Study results provided evidences that suicide mortality among regions was differed by gender. Health policy makers will need to consider gender and local characteristics when making policies for suicides.

키워드 빈도와 중심성 분석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 시티 연구 동향: 미국·일본·한국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 on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City Using Keyword Fequency and Centrality Analysis : Focusing on United States, Japan, South Korea)

  • 이택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9-23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city based on papers from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We collected 7113 papers rela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city published from 2016 to 2021 in Elsevier's Scopus. Keyword frequency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abstracts of the collected papers. We found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y calculating keyword frequency and identified central research keywords through the centrality analysis by coun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on security, machine learning, and edge computing rela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city were the most central and highly mediating research conducted in each country. As an implication, studies related to deep learning, cybersecurity, and edge computing in Korea have lowe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solve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se studies with various field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city in various regions such as Europe and China.

복합 프로그램을 적용한 방문건강관리가 재가허약노인의 체력, 허약, 및 우울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me Visit Healthcare Using a Complex Program on Community-dwelling Frail Elders' Strength, Frailty, and Depression)

  • 김희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5-41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home visit healthcare using a complex program on community-dwelling frail elders' physical strength, frailty, and depression and to compare the effects among three region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86 subjects were sampled from three regions (metropolis, small city, and rural area). The program was applied for 14 weeks. This program consisted of disease management by a visiting nurse, exercise with a visiting nurse, self exercise, telephone monitoring, health education, counseling, providing handbook, and incentive. Physical strength was measured by balance, upper-limb, and lower-limb muscle strength. Frailty was measured by the Korean Frail Scale and depression was measured by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Paired t-test and ANCOVA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Results: Physical strength, frail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applying the complex program. There were not differences among the regions. Conclusion: Home visit healthcare using a complex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frail elders' physical strength, frailty, and depression. There were not differences among the regions. Therefore, home visit healthcare using a complex program needs to be expanded to other regions.

지역 의료자원 이용의 생산성 변화 분석 (A Study on the Productivity Trends of Regional Health Care Resource Uses in South Korea)

  • 동재용;이광수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1-82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productivity trends of regional health care resource uses in South Korea. Methods : Data was provided from the regional health care statistics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and collected from 2011 to 2014 at the 226 administrative regions such as Si(city in Korean), Gun(county in Korean), Gu(district in Korean). Productivity trend was analyzed with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Inpu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medical personnels, facilities, and major medical equipments. Outpu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inpatient and outpatients in model A, and the amount of inpatient and outpatient reimbursements in model B. Results : In model A, the productivity of 62 regions were increased but it was decreased in 164 regions. In model B, the productivity of 123 regions were increased but it was decreased in 123 regions. Conclusions : If these trends were continued, there will be problems with the efficiency of national regional healthcare resource utilization. Health policy makers will require to focus in solving this phenomenon.

신시가지형 혁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Metropolitan Area by the Development of the New Town-type Innovation City: A Case Study of the Daegu Innovation City in South Korea)

  • 박정일;김지혜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55-68
    • /
    • 2018
  • 본 연구는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신시가지형 혁신도시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7~2016년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와 국내인구이동통계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및 주변 시군의 인구변화를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인구이동)로 분해하여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의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경향을 보이는 반면, 도시외곽 혁신도시개발지가 위치한 동구는 해당지역으로의 인구유입에 따라 인구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2014년 이후 동구로의 높은 순 인구이동의 발생은 대구혁신도시 개발의 준공과 공공기관 이전 시기와 일치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2007~2016년 사이 동구로 이동 인구의 전출지역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으로부터 유입은 전체의 6.9%인 반면 동구 내부이동(34.5%)과 더불어 대구 내 7개 구군(35.8%)과 주변 4개 시군(8.2%)에서 유입된 인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대구혁신도시가 위치한 동구로의 전입인구는 동구 인접지역인 수성구, 북구, 경산시로부터 유입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가지형 혁신도시개발은 도시의 외연적 확산을 심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