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peel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4초

폐감귤박으로 제조한 활성탄을 이용한 수중의 항생제 Amoxicillin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ntibiotics Amoxicillin in Aqueous Solution with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 감상규;이민규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369-375
    • /
    • 2018
  • 폐감귤박 활성탄(WCAC, waste citrus peel based activated carbon)에 의한 항생제 아목시실린(AMX)의 흡착에서 온도, 초기농도, 접촉시간 및 흡착제 투여량과 같은 운전변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 속도 및 등온 실험결과는 각각 유사 2차 속도식 및 Langmuir 등온 모델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었다. Langmuir 등온 모델로부터 계산된 WCAC에 의한 AMX의 최대 흡착량은 345.49 mg/g이었다. WCAC에 의한 AMX의 흡착은 흡착 과정에서 막 확산(외부 물질 전달)과 입자 내부 확산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흡착 속도는 WCAC의 입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 물질 전달보다 입자 내부 확산에 의해 더 영향을 받았고, 입자 내부 확산이 율속 단계였다. 열역학적 파라미터는 WCAC에 의한 AMX의 흡착 반응은 흡열반응이고 자발적인 과정임을 나타내었다.

카드뮴으로 유발한 간세포 자멸사에서 진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Citrus unshiu peel on the cadmium-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 노규표;변성희;이종록;박숙자;김상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9
    • /
    • 2021
  • Objective : Citrus unshiu peel (Citri Unshius Pericarpium) has been prescribed to suppress coughing and phlegm in Korean medicin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Citrus unshiu peel (CEE) on apoptosis was investigated using cadmium chloride (CdCl2) treated HepG2 cells. Methods : CEE was prepared by extracting 300 g of Citri Unshius Pericarpium in 3 L of ethanol for 72 h. Apoptosis was determined by the TUNEL assay.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was monitored using the membrane-permeable fluorescent dye Rh123. The expression level of each protein was monitor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CEE protected HepG2 cells from apoptosis as determined by the TUNEL assay. A decrease in MMP was observed in cells exposed to cadmium, indicating that mitochondria are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apoptosis. However, CEE recovered the reduction in MMP caused by cadmium. In addition, decreased expression of B-cell lymphoma 2 (Bcl-2), procaspase, and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by cadmium was increased by CEE. The anti-apoptotic effect of CEE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JNK and p38 phosphorylation when examining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ed MAPK by Western blot.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CEE exerted anti-apoptotic effects in cadmium-induced HepG2 cells by inhibiting the reduction of MMP and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 of apoptotic protein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for CEE to be used for heavy metal-induced liver damage.

가공용 감귤 신품종 하밀감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New Citrus Hybrid 'Hamilgam' Peel Extracts)

  • 안현주;박경진;김상숙;현주미;박재호;박석만;윤수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42-448
    • /
    • 2014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as cultivar for processing of new Citrus hybrid 'Hamilgam'. We investigated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radical, ABTS radical, Hydroxyl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effect, along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Citrus hybrid 'Hamilgam', C. unshiu, C. natsudaidai.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the highest in the Hamilgam. The major flavonoids of Hamilgam and Natsudaidai were naringin and neohesperidin, and those of Unshu were narirutin and hesperidin, as determined by HPLC. Especially, the neohesperidin content of Hamilgam showed much higher (100 times over) than that of Unshu. However, the aglycone form was not fou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Hamilgam peels.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 in the order of Unshu, Hamilgam and Natsudaidai.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of 3 cultivars peels displayed low activities compared to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Based on these results, Hamilgam peel extracts possess antioxidant activities and may thus serve as potential sources of functional food, cosmetic products, etc.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진피 에탄올추출물이 혈청지질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trus Peel Ethanol Extract on the Serum Lipid and Body Fat of High-fat-diet-fed Rats)

  • 박창호;정희경;정유석;홍주헌;이기동;박치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67-574
    • /
    • 2011
  • 고지방식이로 비만 및 고지혈이 유발된 실험동물에서 체중, 혈중지질, 체지방,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로 인한 혈중지질 개선, 체지방 감량 및 시험물질의 간기능 및 장기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중 및 사료이용효율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대조군에서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진피 에탄올추출물 섭취군인 O1과 O5군에서 시험물질 섭취로 인한 체중증가량 감소와 식이효율 감소현상을 보였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혈중 ALT, AST, 총단백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에 의해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혈중 creatinine과 ${\gamma}$-GT의 경우 고지방식이 및 시험물질 섭취에 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기간중 혈중지질 변화는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triglyceride, 동맥경화지수(AI) 모두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진피에탄올 추출물 섭취로 인한 혈중지질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0.1%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군인 O1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총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 지수를 유의한 수준으로 떨어뜨렸으며, 0.5%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군인 O5에서는 총콜레스테롤 및 triglyceride 수준이 정상군 수준에 가까운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고, L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지방 변화는 정상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0.1%, 0.5%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로 인한 후복강 지방조직 및 부고환 지방조직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0.5% 진피에탄올 추출물에서 내장지방 무게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에 의한 혈중지질 개선 및 체지방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ative Analyses of the Flavors from Hallabong (Citrus sphaerocarpa) with Lemon, Orange and Grapefruit by SPTE and HS-SPME Combined with GC-MS

  • Yoo, Zoo-Won;Kim, Nam-Sun;Lee, Dong-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271-279
    • /
    • 2004
  • The aroma component of Hallabong peel has been characterized by GC-MS with two different extraction techniques: solid-phase trapping solvent extraction (SPTE) and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HSSPME). Aroma components emitted from Hallabong pee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itrus varieties: lemon, orange and grapefruit by SPTE and GC-MS. d-Limonene (96.98%) in Hallabong was the main component, and relatively higher peaks of cis- ${\beta}$-ocimene, valencene and -farnesene were observed. Other volatile aromas, such as sabinene, isothujol and ${\delta}$-elemene were observed as small peaks. Also,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as employed to distinguish citrus aromas based on their chromatographic data. For HSSPME, the fiber efficien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artition coefficient ($K_{gs}$Kgs) between the HS gaseous phase and HS-SPME fiber coating, and the relative concentration factors (CF) of the five characteristic compounds of the four citrus varieties. 50/30 ${\mu}$m DVB/CAR/PDMS fiber was verified as the best choice among the four fibers evaluated for all the samples.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 Shin, Dong-Bum;Lee, Dong-Woo;Yang, Ryung;Kim, Jin-Ah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357-362
    • /
    • 2006
  • We assessed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adical scavenging effect, along with antioxidant capacity, of soybean oil with added Citrus species peel extracts (CPEs). These extract oils showed higher radical scavenging effects than grape fruit seed extract, the natural antioxidant agent, did. When CPEs were added to soybean oil, they showed peroxide value (POV) and acid value (AV) increasing inhibition effects. Furthermore, none of the CPEs showed any cytotoxicity over the tested concentration range of 0.01-100 ppm. The major flavonoid contents of Citrus junos, as determined by HPLC, were naringin ($7.5\;{\mu}g/mg$) and neohesperidin ($7.5\;{\mu}g/mg$), and those of Citrus unshiu were narirutin ($3.13\;{\mu}g/mg$) and hesperidin ($1.97\;{\mu}g/mg$). However, the aglycone form was not found. This study showed that CPEs might be a potent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without any toxic effects.

치마버섯을 이용한 진피 발효 배양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Oxidant Effect and Anti-Inflammatory of Fermented Citrus unshiu Peel Extract by using Schizophyllum commune)

  • 송민현;배준태;고현주;장용만;이종대;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1-356
    • /
    • 2011
  • 감귤은 국내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즐기는 식품 중 하나이며, 이러한 감귤류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을 진피라고 한다. 이러한 진피는 한방에서는 이뇨작용, 비장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천연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학계에서 여러 분야로 연구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를 함유한 진피 추출물을 ${\beta}$-glucosidase 효소를 이용하여 아글리콘(aglycone)으로 변환 할 수 있도록 치마버섯 배양을 실시하였다. 진피 발효 배양액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UVA에 의한 광손상 보호능을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진피 발효 배양액은 COX-2, LOX-5와 같은 항염증 관련 대사에도 관여하여 염증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질 형성세포를 이용한 interleukin-$1{\alpha}$를 측정한 결과 진피발효배양액 처리군의 저해활성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진피발효 배양액은 피부에 대한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감귤과피 물 균질액을 첨가한 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Citrus Peel Water Homogenate)

  • 권수경;이예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97-406
    • /
    • 2002
  • 감귤과피 분말을 l~5% 함유하는 물 균질액을 첨가한 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pH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산도는 반대로 높아졌다. 반죽의 부피와 빵의 loaf volume은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3% 첨가빵의 total carotenoids, hesperidin 및 naringin 함량은 각각 0.14 mg%, 38.4 mg% 및 25.3 mg%이었다. 빵의 hardness는 감귤과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1%를 첨가한 경우의 strength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그 이상으로 첨가할수록 높아졌다. Cohesiveness는 1% 첨가는 대조구와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3~5% 첨가구는 크게 감소하였다. Springiness는 0, 1 및 3% 첨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 첨가군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색상, 맛, 향, 씹힘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로 평가한 결과 3% 첨가구가 가장 양호하였다.

  • PDF

부로일러사료에 있어서 밀감피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I. 밀감피 건조분말의 사료적 가치 (Studies on Possible Utilization of Citrus Peel as a Feed Ingredient for Broilers I. Feeding Value of Dried Citrus Peel)

  • 강상열;최진호;백동훈;신원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7-101
    • /
    • 1983
  • 밀감피 건조분말의 부러일러에 대한 사료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밀감 가공공장에서 박피된 밀감피를 수거한 후 일광건조 및 분쇄하여 밀감피 건조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밀감피 건조분말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함양 및 광물질 함양을 분석하였다. 부로일러 전용종인 Maniker 초생추 암컷 192수를 12수씩 16개군으로 나누어 밀기울을 대치한 밀감피 건조분말의 수준을 0, 2. 4 및 6%의 4개 처리 4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하여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사양시험 종료시 전 공시추에 대하여 개체별로 정강이 착색도를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로일러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밀감피 건조분말의 급여수준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2: 부로일러의 정강이 착색도는 밀감피 건조분말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부로일러사료에 밀기울을 대치하여 밀감피 건조분말을 6% 수준까지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귤피가루를 첨가한 모닝빵 개발 및 인체시험을 통한 생리활성 효과 평가 (Development of morning bread fortified citrus peels powders and its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by human trial)

  • 이하늘;박태선;유옥경;변문선;차연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3호
    • /
    • pp.144-152
    • /
    • 2016
  • 본 연구는 귤피가루를 활용하여 모닝빵을 개발하고 이를 대학기숙사에 거주하고 있는 과체중 및 비만인 20대 남 녀에게 섭취하게 해봄으로써 아침결식률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식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체중과 BMI의 경우 GB 섭취군과 CPB 섭취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CPB 섭취군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 유의적으로 체중과 BMI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WHR은 GB 섭취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CPB 섭취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BFM은 두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 < 0.05) 군간에 유의성을 띄지 않았다. TC는 GB 섭취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CPB 섭취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HDL은 두군 모두에서 증가하였고 GB 섭취군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p < 0.05). LDL은 두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 < 0.05) 군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GOT와 GPT는 GB 섭취군과 CPB 섭취군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CPB 섭취군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p < 0.05). GB와 CPB를 섭취한 군간에 신체계측치와 혈액생화학적 수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으나 CPB 섭취군에서 사전에 비해 TC, LDL, GOT, GPT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는 점에서 (p < 0.05) 본 연구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변화를 추적하는 종단적 연구에 가깝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를 통하여서 귤피가 심혈관계질환의 유병률을 낮춰줄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음을 임상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와 유사한 연구들이 double blind cross-over study와 같은 대규모 임상연구로 진행되어 귤피의 지질관련 효과들을 보다 명확하게 입증해줄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