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nnamon extract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4초

효소분해와 염과 당 및 항산화 작용 상승제의 첨가에 의한 계피 추출액의 특성 변화 (Changes of Properties in Cinnamon Extracts Prepared by Enzyme Hydrolysis and Addition of Salts, Sugars and Antioxidant Synergists)

  • 김나미;도재호;이종수;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4호
    • /
    • pp.272-276
    • /
    • 1994
  • 액체형태의 건강보조 식품이나 의약품에 이용하기 위한 계피 extracts의 제조방법을 실험하였다. Cellulase, hemicellulase, pectinase, ${\beta}-1.4\;glucosidase$, tannase, lipase를 사용하여 계피를 분해할 경우에 계피 중량의 1.0% 농도로 효소를 첨가하는 것이 고형분 수율 면에서 적정하였으며, 각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에서 2시간 분해시킨 후 $80^{\circ}C$에서 다시 2시간 추출한 계피 추출액의 cinnamic aldehyde의 양은 효소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형분 수율과 갈색도 및 항산화 활성도에서는 hemicellulase 처리가 효과적이었다. 염과 당, 항산화 작용 상승제, 산, 알칼리를 첨가하여 추출하였을 때 고형분 수율은 산과 알칼리 첨가구에서, 항산화 활성도는 glucose와 Na-ascorbate 첨가구에서 높았으며, 갈색도와 cinnamic aldehyde는 Na-citrate 첨가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계피 추출물 처리와 포장방법에 따른 곶감의 품질 변화 (Effect of Cinnamon Pretreatment and Packaging Materials on the Quality of Dried Persimmon)

  • 박형우;이선아;차환수;김상희;김윤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5-309
    • /
    • 2005
  • 곶감은 상온 유통 시 백분과 곰팡이가 발생하고, 갈변과 조직의 경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품성을 유지하고자 계피추출물처리와 포장재에 따른 곶감의 품질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계피추출물에 곶감을 침지한 후 대조구(무포장), LDPE(low density polyethylene)필름포장구과 적층필름포장구(Nylon/LDPE)로 각각 포장하여 상온($15^{\circ}C$)에서 100일간 저장 시 다른 포장구 보다 적층필름포장구(Nylon/LDPE)가 중량변화는 $20.2\%$, 경도는 $87\%$, 갈변도는 $56\%$ 이상 낮게 나타났다. 표면색도 변화 역시 계피추출물 처리시 0.80으로 가장 낮은 변화를 보여, 저장 중 곶감의 품질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유지됨으로써 상품성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Grapefruit seed extract와 7종의 Essential oil 및 혼합 Essential oil의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seven kinds of essential and blended essential oils)

  • 육영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98-205
    • /
    • 2021
  • 본 배경 : 질염은 항생제를 복용하는 방식으로 치료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항생제의 지속적인 치료는 내성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 방법 : Lactic acid bacteria 2종에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항균 활성을 보고자 한다. SE(Grapefruit Seed Extract), eucalyptus, tea tree, clove bud oil, cinnamon oil, lemongrass oil, thyme oil, ginger oil을 일정 비율로 넣어 배양 후, 병원성 미생물- E. coli, C. albicans와 Lactic acid bacteria은 균주에 맞는 배지를 사용하여 균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 Essential oil 7종과 GSE가 병원성 미생물에 억제 효과가 있으며, 병원성균(E. coli, C. albicans)에 대한 Grapefruit seed extract(GSE)의 억제농도를 확인하였다, 병원성균은 억제하고 Lactic acid bacteria는 억제하지 않는 배합비도 확인하였다(GSE 농도가 200ppm에서 Eucalyptus globulus(EG) oil 50㎕와 Melaleuca alternifolia oil(Tea tree oil, TTO) 50㎕(pH 5.0, 5.5, 6.0)). 결론 : 본 실험에서 Essential oil은 다양한 항균 활성 가지고 있어 항생제 대안으로도 생각할 수 있으며, 장기 항생제 치료환자에 대한 보조 항균제로서도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용매와 추출조건이 계피추출액의 항산화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vents and Some Extraction Conditions on Antioxidant Activity in Cinnamon Extracts)

  • 김나미;성현순;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4-209
    • /
    • 1993
  • 용매의 종류와 추출온도, 시간, 용매첨가량, 추출횟수 등의 추출조건이 계피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소공여능으로 나타낸 항산화활성도는 12가지 용매중 물과 70% 에탄올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나 물과 70% 에탄올을 다음의 추출조건을 조사하기 위한 적정용매로 선정하였다. 추출온도를 $20{\sim}100^{\circ}C$로, 추출시간을 $2{\sim}10$시간으로 하여 추출액을 조제했을 때 항산화활성도와 총 phenol 함량은 $80^{\circ}C$와 8시간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고 285nm와 490nm에서의 흡광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용매 첨가비에 있어서는 계피중량의 20배 이상 첨가시에 큰 변화가 없었으며 추출횟수는 3회 이상의 추출액에서 항산화활성도 및 기타 특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계피식물(Cinnamomum loureiroi)에서 분리한 coumarin과 유도체의 방오효과 (Antifouling Activity of Coumarin and its Derivatives Isolated from the Cinnamon Tree Cinnamomum loureiroi)

  • 김영도;신현웅;조지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3-58
    • /
    • 2013
  • The active antifouling compounds coumarin and its derivatives were isolated from the cinnamon tree Cinnamomum loureiroi. The antifoul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using representative soft fouling organisms: the seaweed Ulvapertusa and diatom Navicula annexa. The chemical constituents with antifoul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as coumarin, hydroxylcoumarin, coumaric acid, and cinnamaldehyde by interpret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high-resolution mass spectroscopy data.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1.09 g of crude Cinnamomum sp. methanol extract, yielding approximately 18.4, 6.3, 9.8, and 14.7 mg of coumarin, hydroxylcoumarin, coumaric acid, and cinnamaldehyde, respectively. The compounds inhibited U. pertusa zoospores with $EC_{50}$ values of $0.13-0.25{\mu}g/mL$, and the diatom N. annexa with $EC_{50}$ of $0.21-0.81{\mu}g/mL$.

Chemical Composition of Selected Forages and Spices and the Effect of These Spices on In vitro Rumen Degradability of Some Forages

  • Khan, Mohammad Mehedi Hasan;Chaudhry, Abdul Shakoo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889-900
    • /
    • 2010
  • Spices can be used as novel supplement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low quality forages (LQF) and reduce nutrient wastage by ruminant animals. However, it is essential to characterize these spices alongside LQF before testing their potential use as supplements in ruminant diets. This study characterized four spices (cinnamon, cumin, clove and turmeric) alongside three forages (rice straw, wheat straw and hay) for their chemical components before evaluating their effect at four different doses (0, 10, 30 and 90 mg/g forage DM) on the in vitro rumen degradability of dry matter (DM) (IVD) and organic matter (OM) (IVOMD) of these forages at various incubation times. It appeared that some spices could provide complementary nutrients which could improve the utilization of LQF where hay had better chemical composition than the other two forages. Cumin contained more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and mineral contents whereas turmeric contained more soluble sugars than the other spices. Cinnamon was least acceptable as a ruminant supplement due to its higher condensed tannin and saponin and lower CP and mineral contents. The IVD and IVOMD were highest for hay and lowest for wheat straw with all spices at all incubation times (p<0.001). Due to relatively better nutrient profiles, cumin and turmeric had greater effect on IVD and IVOMD of the forages. In contrast, cinnamon had negative effects on IVD and IVOMD. IVD and IVOMD were greater at 10 mg/g than at other levels of most spices suggesting that using certain amounts of spices can increase forage degradability. However, the choice of a spice will depend upon the forage type being offered to ruminants. Further studies will examine the effect of these spices on fermentation profile, methane production and nitrogenous loss by ruminants.

육계 에탄올 추출물이 HT-29 대장암 세포주의 성장 및 COX-2 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Cinnamon on the Proliferation and COX-2 Pathway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 이승연;김희석;김정옥;황성완;황성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15-1120
    • /
    • 2006
  • 육계 추출물의 대장암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HT-29 인체 결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육계 추출물은 대장 정상세포인 CCD-112CoN의 성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성장은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크게 억제하였고, 대장암의 진행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COX-2 mRNA 발현량 및 $PGE_2$ 생성, cGMP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육계 추출물은 정상세포에는 독성 없이 대장암 세포의 COX-2 및 $PGE_2$, cGMP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대장암 세포의 성장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육계는 부작용이 없는 대장암 예방 건강 보조식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으며, 암세포 사멸에 대한 더욱 정확한 작용기전의 규명과 활성성분의 분리 및 정제, 응용법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Canned Seafood with Added Spice-oil Extract

  • Yoon, Ho Dong;Shulgin, Yu.P.;Lazhentseva, L. Yu;Shulgina, L.V.;Xie, Chengliang;Mok, Jong Soo;Kim, Jeong Gy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7-11
    • /
    • 2015
  • The influence of spice (cinnamon, allspice, black pepper)-oil extract on canned seafood quality was studied. During the processing of canned seafood, the substitution of spice-oil extract for vegetable oil (refined sunflower, corn, soybean and olive oil)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heat resistance of spore microorganisms,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duration of sterilization for canned food to 5-10 min at $115^{\circ}C$. This reduction in the sterilization duration of canned seafood with spice-oil extract inhibited residual microflora in the product, thus reducing the deleterious effect of heating on the main food compounds while preserving protein digestibility.

한약재 추출물이 반추위 in vitro 건물소화율, 휘발성 지방산 생성 및 미생물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Extracts on the Ruminal Dry Matter Digestibility,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and Growth Rate of Microbes in Vitro)

  • 문여황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67-75
    • /
    • 2009
  • 본 연구는 한약재 (결명자, 계피, 산초, 감초) 추출물의 반추위내 발효와 미생물 활성에 대한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n vitro 건물소화율은 계피와 산초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0시간대, 감초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3시간대에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P<0.05) 낮았다. 한약재 추출물 첨가에 따른 발효 시간대별 휘발성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3시간대에서만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acetate 비율은 대조구가 천연 추출물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butyrate, isobutyrate, isovalerate 및 valerate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 (P<0.05). 미생물 성장율은 발효 3시간대에서 결명자 첨가구를 제외한 한약재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 (P<0.05)으로 높았으나 다른 발효 시간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계피, 산초 및 감초 추출물을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발효초기에 반추위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미생물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레분 및 향신료 추출물의 항 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Extracts of Curry Powder and Its Individual Spice)

  • 정승현;정명수;이진선;박기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2-357
    • /
    • 2002
  • 카레분 및 카레 원료로 사용되는 주요 향신료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을 하였다. 카레분 및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해 돌연변이원성 유무를 확인한 결과 돌연변이 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 직접 변이원 2-NF 처리 시Saimonella typhimurium TA 98에 대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cinnamon(42%) 및 fenugreek(38%), fennel(32%), ginger(28%), clove(24%)는 p<0.00I 유의수준에서, 그리고 turmeric (23%) 및 celery seed(20%), coriander(16%)는 p<0.01 수준에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garlic(17%)이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밖의 향신료 및 카레분 추출물은 항 돌연변이 효과가 없었다. 간접변이원 2-AT처리 시 돌연변이 수는 115.0$\pm$46.4에서 clove추출물 첨가에 의해 13.2$\pm$8.1로 감소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 clove가 116%로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elery seed(103%) 및 cardamon(100%)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p<0.01). 그밖에 red pepper, cinnamon, cumin, ginger, fennel, coriander, nutmeg, turmeric에서도 항 돌연변이 활성이 존재하였다(p<0.05). 간접변이원 2-AF에서는 clove추출물이 120%의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innamon(113%)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다(p<0.001). 그리고 cardamon(93%) 및 celery seed (80%), ginger(58%), fennel(44%) 역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보였다(p<0.05). 그밖에 coriander, black pepper는 항 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카레분 추출물의 경우, 간접변이원인 2-AT와 2-AF에서 6~23%의 항 돌연변이 율을 나타냈으나 유의성이 없었으며 직접변이원인 2-NF 에서는 항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동일한 추출물이라도 변이원에 따라 항 돌연변이율이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의 추출물에서 항 돌연변이율은 직접변이원보다는 간접변이원에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