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n indicum 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감국(Chrysanthemun indicum L.) 추출물의 항충치효과와 Glucosyltransferase 저해활성 탐색 (Anticariogenic Effects and Inhibition of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of Chrysanthemun indicum L. Extracts)

  • 김선재;박윤미;정순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1-345
    • /
    • 2005
  • 감국에 존재하는 항충치활성 물질 및 glucosyltransferase 저해 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감국 ethanol 추출물의 항충치활성을 S. mutans 및 구강세균에 대해 검색한 결과, S. mutans와 2종의 구강세균에 대하여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감국 ethanol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GTase 저해효과는 $78.4{\sim}92.3%$의 범위로 나타나 농도가 증가할 수록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감국을 ethanol로 추출,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활성성분을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TLC 그리고 HPLC 등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감국에 존재하는 항충치활성 물질은 약간의 극성을 띠는 중성물질로 분자량이 200-400정도 되는 저분자 물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국의 이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mgug (Chrysanthemun indicum L.))

  • 신영자;전정례;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6-151
    • /
    • 2004
  • 다양한 식품 소재의 창출을 목적으로 그 기초자료로서 감국꽃잎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감국꽃잎의 수분함량이 10.51% ,조단백 9.38%, 지방 3.47%, 회분 4.87%, 환원당 13.12%, 조섬유가 9.03%, 비타민 C의 함량은 0.74%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전체 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41.42%이고, 비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8.58%였다. 감국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가 13.5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alanine(11.25%), aspartic acid(10.35%)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6종의 구성지방산이 확인되었는데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23.63%)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linoleic acid(17.51%), linolenic acid(12.76%), myristic acid(4.36%)의 순이었다. 무기질 함량은 K가 847.4 $\mu\textr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Mg 369.0 $\mu\textrm{g}$/g, Ca 300.8 $\mu\textrm{g}$/g, Na 61.4 $\mu\textrm{g}$/g 순으로 나타났다. 감국꽃잎에는 45종의 휘발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docosane(9.41%), benzene, 1-(1,5-dimethyl-4-hexenyl)-4-methyl-benzene(5.78%), camphor(5.39%) 순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 0.67 mg%이었으며,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0.84 mg%으로 나타났다.

황색자생균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Yellow Chrysanthemun in Korea)

  • 이종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1995
  • 12 populatiDns of Ch indicum L. and it's variation antogenous in Tforea were se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plant height is 97.3cm. Ch. indicunl is 76.5cm and Ch. boreale is 116. 6cm in height. The number of nodes is 58 on the average. The color of the stem is generally black-red in the case of Ch. indicum and is green for Ch. boreale. 2) The leaves of Ch. inficum are smaller In size and thicker than chose of Ch. boreale, and it has a stipule. This fact enables us to distinguish one species from the other, however, the Gyukpo-population of Ch. indicum has a large leaf, and Byunsan-population of Ch. boreale has a stipule so that the above fact is not an exact criterion on which to base one classification. 3) The size of the capitulum is 24.9mm for Ch. indicum and 15.6mm in the case of Ch. boreaj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is admitted. It was confirmed hat the size of the capitulum has positive correlation to that of the pedicel and has egative correlation to the number of flowers, so that of inflorescence, Ch. indicumhas corymb, and Ch. boreale has crowed corymb or umbel-type.The number of ligulates is 19 on the average, which no the difference being founnd between species and populations.4) The cluster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h. indicum was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as shown thought to be due to the difference of speciesbetween Ch. indicum and Ch. boreale. However, it could not be shown that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xplain a geographical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