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1초

자생초화류의 고속도로 조경식물 활용성 연구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ing)

  • 전기성;정태건;소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74-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e. The field and nurse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of 1996 to December of 1998 on the Chonju Arboretum and Honam highway in Korea Highway Corporation. We have investigated thirty species of native plants and came to a conclusion that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koraiensis, Iris nertschinskia, Fennisetum alopecuroides, Viola kapsanensis are very suitable for highway landscaping. And, if the problems raised during this investigation are resolved, it is clear that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jlorum, Belamcanda chinensis, Allium thunbergii, Ophiopogon japonicus,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Disporum sessile, Lilium tigrinum, Caryopteris incana,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Pulsatilla koreana, Aster spathulifolius etc. can be useful plants at highway landscaping.

  • PDF

야생화초지 혼파조합을 위한 몇 가지 잔디형 및 야생화 초종의 초기생육과 개화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arly Growth and Anthesis Characteristics of Some Turf Type Grasses and Wildflower Species for Mixture Combination of Wildflower Pasture)

  • 이병철;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3-182
    • /
    • 2007
  • 본 연구는 야생화 초지조성을 위한 잔디형 목초 및 야생화초종의 선정과 혼파조합구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탐색하고자 몇 가지 잔디형 목초와 야생화초종을 공시하여 초기생육, 경엽 및 근중, 건물수량, 개화특성 및 기호성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공시초종은 잔디형 목초 5종{Kentucky bluegrass(Midnight), tall fescue(Millennium), perennial ryegrass(Palmer III), redtop(Barricuda) 및 creeping bentgrass(Crenshaw)}과 야생화 11종{Chrysanthemum leucanthemum L., Coreopsis lanceolata L., Rudbeckia bicolor Nutt., Dianthus chinensis L., Chrysanthemum lindicum L.,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Veronica linariaefolia Pallas, Aster koraiensis Nakai., Chrysanthemum zanadskii var. latilobum(Maxim.) Kitamura, Lythrum anceps Makino 및 Iris nertschinskia. Lodd}을 공시하였으며,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서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된 잔디형 목초 중에서 상대적으로 야생화와 혼파가능성이 큰 초종은 Kentucky bluegrass이었으며, Kentucky bluegrass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초기생육이 왕성하고 경엽과 근중이 높아 야생화초지를 조성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보이는 야생화는 Chrysanthemum leucanthemum L.,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및 Lythrum anceps Makino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야생화는 꽃색, 개화시기 및 개화지속기간 등이 서로 중복되지 않았으며 가축에 의한 기호성도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야생화초지의 조성을 위해서는 잔디형 목초는 야생화와의 경합력이 낮은 초종을, 반대로 야생화는 경합에서 유리한 초종을 선발하되 개화특성이 서로 다른 야생화를 다양화하여 혼파조합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 차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 이상훈;황인국;노진우;장영득;이철희;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24-831
    • /
    • 2009
  •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국화차 분말의 흡습성은 국화 품종별 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당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국화 분말차의 색도는 부형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9:1로 혼합한 첨가구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 분말차의 pH는 $5.33{\sim}5.63$ 범위를 보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품종,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국화 품종별로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높았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항산화력은 산국 분말차가 각각 $6.47{\sim}6.75$, $1.95{\sim}1.99$$4.37{\sim}4.55\;mg/g$ 범위로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감국 분말차가 $24.85{\sim}27.93%$로 산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다.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국의 경우 쓴맛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화강암질 풍화토 절토비탈면의 식생구조 분석 - 경상도와 전라도 임도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Decomposed Granite Cut-slope - In case study on forest road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

  • 송호경;박관수;이준우;이미정;김효정;권오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67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s cut-slope. From one to fourteen year elapsed forest roads in eight regional areas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sample plots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soil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in the granite weathering soils were below 0.4%, 0.03%, 12.4%, and above 1.2g/$cm^3$,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oil was not good for plant growth.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species in the granite forest roads were the elapsed year, elevation, and cut-slope aspect. Invaded species with high frequency in the forest road cut-slope ordered Pinus densiflora, Lespedeza bicolor, Rubus crataegifolius, Alnus hirsuta, Youngia denticulata, Patrinia villos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Dactylis glomerata. Herbs seeded in earth stage such as Dactylis glomerata, Eragrostis curvula, Festuca arundinacea, Lespedeza sp., and Amorpha fruticosa had changed into perennial herbs and shrubs such as Youngia denticulata, Patrinia villosa, Aster scaber, Patrinia scabiosaefolia, Melica onoei,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Pueraria thunbergiana, Stephanandra incisa, and Clematis apiifolia, and had changed into plants such a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rtemisia keiskeana, Miscanthus sinensis, Pinus densiflora, Rhododendron mucronulatum, Rubus crataegifolius,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according to elapsed year of forest roads. Leguma such as Lespedeza sp., Pueraria thunbergiana, Amorpha fruticosa, etc., herbs such as Artemisia keiskean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iscanthus sinensis, etc., and woody plants such as Pinus densiflora, Rubus crataegifolius, Rhododendron mucronulatum, etc., with foreign herbs were considered as proper species for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 cut-slope.

야생화 개발을 위한 전라북도 지역산 자원식물 조사 (A study on Resource Plant from Chollabuk-do Area for Developing Wild Flower)

  • 길봉섭;김영식;김창환;최성규;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3-49
    • /
    • 1999
  • 전라북도 지역내에 분포하고 있는 야생초목화를 개발하기 위한 자원식물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결과 봄철에 꽃피는 식물은 131종류(전체의 34.7%), 여름에는 219종류(58.1%), 가을에 25종류(6.6%) 그리고 겨울에는 2종류(0.5%)이었고, 봄부터 겨울까지 피는 꽃의 색깔은 모두 26종류로 다양했으며 가장 많은 꽃색은 백색으로 전체의 28.9%, 그다음은 황색 20.7%, 자주색 16.4%, 홍자색 7.9%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군지역별로 많이 심고있는 야생화는 애기똥풀, 원추리, 붓꽃, 산철쭉, 진달래, 할미꽃, 구절초, 민들레, 산국, 맥문동, 석산 등을 들 수 있다. 야생하고 있는 식물을 채취하여 그대로 시판하고 있는 식물은 26종류로 조사되었는데 보춘화, 원추리, 석산, 구절초가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우리나라 야생화를 외국에 반출당하지 않고 개량하여 우수상품으로 만들 대상으로는 총 343종이며 국화과 식물 41종류, 장미과 25종류, 백합과 20종류 그리고 미나리아재비과 18종류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는 창포, 광릉요강 꽃, 개불알꽃, 새우난초, 금낭화, 호랑가시나무, 노각나무, 송악, 미선나무, 산개나리, 자주꽃방망이 등이다. 이들은 식물수가 격감되어서 희귀상태이거나 멸종위기 또는 학술상 중요하기 때문이다. 전북지역에는 식물분포상 남방인자와 북방인자가 섞여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하고 다양한 야생화 자원식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의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 PDF

Protection by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 from liver damage of mice caused by carbon tetrachloride is maybe mediated by modulation of QR activity

  • Seo, Ji-Yeon;Lim, Soon-Sung;Park, Ji-A;Lim, Ji-Sun;Kim, Hyo-Jung;Kang, Hui-Jung;YoonPark, Jung-Han;Kim, Jong-S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93-98
    • /
    • 2010
  • Our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methanolic extra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Compositae) has the potential to induce detoxifying enzymes such as NAD(P)H:(quinone acceptor) oxidoreductase 1 (EC 1.6.99.2) (NQO1, QR)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n this study we further fractionated methanolic extra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and investigated the detoxifying enzyme-inducing potential of each fraction. The fraction (CZ-6) shown the highest QR-inducing activity was found to contain (+)-(3S,4S,5R,8S)-(E)-8-acetoxy-4-hydroxy-3-isovaleroyloxy-2-(hexa-2,4-diynyliden)-1,6-dioxaspiro [4,5] decane and increased QR enzym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CZ-6 fraction caused a dose-dependent enhancement of luciferase activity in HepG2-C8 cells generated by stably transfecting antioxidant response element-luciferase gene construct, suggesting that it induces antioxidant/detoxifying enzymes through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ARE)-mediat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relevant genes. Although CZ-6 fraction failed to induce hepatic QR in mice over the control, it restored QR activity suppressed by $CCl_4$ treatment to the control level. Hepatic injury induced by $CCl_4$ was also slightly protected by pretreatment with CZ-6. In conclusion, although CZ-6 fractionated from methanolic extra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did not cause a significant QR induction in mice organs such as liver, kidney, and stomach, it showed protective effect from liver damage caused by $CCl_4$.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he Leaves of Fifteen Taxa of Korean Native Chrysanthemum Species

  • Kim, Su Jeong;Ha, Tae Joung;Kim, Jongyun;Nam, Jung Hwan;Yoo, Dong Lim;Suh, Jong Taek;Kim, Ki S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558-570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found in the leaves of 15 taxa of Korean native Chrysanthemum species.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the taxa were collected using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technique and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A total of 45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with six functional groups: 14 alcohols, 4 ketones, 19 hydrocarbons, 5 esters, 2 acids, and 1 aldehyde. The main functional group in 15 taxa of Chrysanthemum species was alcohols, accounting for 28.7%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followed by ketones (21.2%) and hydrocarbons (13.2%). Camphor, which is known for its antimicrobial properties, was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 (30%) in C. zawadskii ssp. latilobum and var. leiophyllum. In particular, C. indicum subspecies and C. boreale contained ${\alpha}$-thujone, which has outstanding anti-bacterial,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ti-ulcer, and anti-diabetic efficacies. C. indicum var. albescens could be used in perfumes, since it showed 21 times more camphene than C. indicum. In addition, C. indicum var. acuta contained a fairly high content of 1,8-cineole, which has an inhibitory effect on mutagenesis. C. lineare contained only pentadecanoic acid compounds, whereas other taxa hexadecanoic acids. Overall, the Korean native Chrysanthemum species had considerable variation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heir leaves. This study provides a good indication of specific potential use for various applications.

구절초 꽃 추출물의 Nitric Oxide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Flower Extra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 한지영;김영화;성지혜;엄유리;이이;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85-169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의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NO의 함량과 iNOS의 발현 및 PGE2와 COX-2의 발현을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macrophage cell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연구 결과 구절초 꽃 추출물은 NO 함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세포독성은 꽃 추출물(5~50 μg/mL)은 최고 농도인 50 μg/mL에서 약 20%의 독성을 나타냈으며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NO 생성의 억제는 iNOS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구절초 꽃 추출물이 전사단계에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PGE2와 COX-2의 발현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 결과 구절초 꽃 추출물에 의한 COX-2 단백질의 발현 억제와 PGE2 생성 억제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구절초 추출물은 염증을 일으키는 중요 인자인 NO를 저해하였고, iNOS의 발현, iNOS의 mRNA 발현 등 항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추후 산업적 응용도 가능하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 Anticarcinogenic Marker Enzyme, by Medicinal Herb Extracts

  • Kwon, Chong-Suk;Kim, Ji-Hyeon;Son, Kun-Ho;Kim, Young-Kyoon;Lee, Jeong-Soon;Lim, Jin-Kyu;Kim, Jong-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358-366
    • /
    • 2002
  • To search for novel cancer preventive agents, we assessed the quinone reductase (QR)-inducing activities of medicinal herb extracts in cultured murine hepatoma cells (hepalclc7 cells). Among 216 herb extracts tested in this study, 8 kinds of herbal extracts were found to induce QR activity in hepalclc7 cells by more than 2-fold when used at the concentration of 25 $\mu\textrm{g}$/$m\ell$. The methanol extracts of Aster koraiensis NK and Pulsatilla koreana Nakai induced QR by 252 and 223 % ,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25 $\mu\textrm{g}$/$m\ell$. Most of the herbal extracts with QR inducing-activity increased the enzyme activity in a typical dose-dependent manner. The QR activity in BP$^{r}$ cl cells was induced move than 50 % by the extracts of Pulsatilla koreana Nakai, Inula helenium,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ers) Makino,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va, Auemisia keiskeana Miquel, Chfsanthemum boreale Makino. In conclusion, hlsatilla koreana Nakai, Aster koraiensis N.K, and Chfsanthemum zawadskii var. iatilobum Kitamura, which showed relatively high QR induction, merit further animal study to evaluate their potential as cancer preventive agents.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의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및 항염증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dicinal Plants Against Acne-inducing Bacteria)

  • 이응지;배성윤;남궁우;이용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7-63
    • /
    • 2010
  • 여드름 완화 효과를 갖는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다양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검색 결과 얻어진 후보 소재들 중,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갖는 보골지, 당후박과 항염증 효과를 갖는 목향, 구절초 추출물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보골지 (Psoralea corylifolia L., AC-1), 당후박(Magnoliae officinalis. AC-2) 목향(Inula helenium L., ACF-1),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CF-2) 추출물 및 복합소재 (AC)는 $50{\mu}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골지, 당후박 추출물 및 복합소재의 경우 여드름 유발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에 대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10 % salicylic acid 대비 각각 약 2.8배, 2.5배, 3.2배의 높은 항균 효과를 보였다. 또한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에 대해서도 당후박 추출물과 복합소재의 경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10 % Methylparaben 대비 각각 약 1.4배, 1.5배 높은 항균 효과를 보였다. 목향 구절초 추출물 및 복합소재의 경우 열에 의해 사멸시킨 P. acnes에 의해 활성화된 THP-1 세포의 IL-8 발현을 $50{\mu}g/mL$ 농도에서 각각 27%. 38%, 44% 저해하였고 TNF-$\alpha$ 발현을 $50{\mu}g/mL$ 농도에서 각각 90%, 88%, 90%로 크게 저해하였다. 이러한 항균, 항염증 활성을 보이는 보골지, 당후박, 목향, 구절초 추출물의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여드름 완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